embeded/raspberry pi2015. 2. 27. 22:41

raspbian

openelec 구우려고 raspian으로 구운녀석 한번 꽂아봤다가

문득 생각이 나서 한번 확인해보니

나의 사랑스런 8GB 하드가 이렇게 보이네?


무려 56메가!!! -_-????


파티션 정보를 보니

boot 영역으로 56MB씩이나 할당해주는 여유!를 보이고

느끼으로는.. 원래 3기가 짜리 이미지로 되어 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까.. 이렇게 8기가 중에 4.4기가가 버려졌겠지?


FAT로 설정된 boot 영역은

커널.img 라... 멀 어떤식으로 부팅하는 걸려나?

나중에 다시 구워서 리눅스에서 좀더 세밀하게 파티션 정보를 봐야 알것 같지만


bcm2709-rpi-2-b.dtb 파일을 열어보니 웬지 모를 uboot의 스멜?

dwc_otg.lpm_enable=0 console=ttyAMA0,115200 console=tty1 root=/dev/mmcblk0p2 rootfstype=ext4 elevator=deadline rootwait


아마도 bootcode.bin이 부트로더 같고.. 커널은 커널이고

kernel7.img는 라즈베리 2용 armv7용 커널로 생각된다.


그나저나.. start*.elf는 정체가 머지?


---

openELEC


raspbian보다는 단순한데

dtb 가 데이터나 바이너리로 바뀌고

cmdline.txt에 디스크 설정내용이 있다.

그나저나. p1이 boot p2가 disk 라는데

boot=/dev/mmcblk0p1 disk=/dev/mmcblk0p2 quiet 



암만봐도.. p2가 rootfs + xbmc 라고 하기에는 너무 적어 보이는데..

p1의 SYSTEM이 rootfs 같기도 하고? 



아무튼

start*.elf는 부트로더

cmdline.txt 나 *.dtb는 부트로더 환경파일

kernel.img는 커널

파티션 2는 rootfs로 라즈베리 파이가 구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Posted by 구차니

openELEC는 xbmc를 기반으로 하는 배포판(?)인데

일단 ARMv6와 ARMv7 용으로 커널이 달라서

별도로 배포하는 듯


업데이트를 지원은 하는데

[링크 : http://wiki.openelec.tv/index.php?title=Raspberry_Pi_FAQ#How_can_I_update_a_Pi1_sdcard_to_work_on_Pi2]


걍 여기서 2용으로 버전 맞춰서 받는게 나을듯 하다.

[링크 : http://openelec.tv/get-openelec]



+ openELEC에서

xbmc 기본값이 네트워크 수동 연결이라 좀 헤매는 불쌍한(?) 어린양이 있었음

'프로그램 사용 > kodi(xbmc)'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ELEC 8.0 관련  (0) 2017.05.16
kodi, openELEC / smb2 미지원?  (0) 2017.05.15
kodi remote  (0) 2015.04.07
xbmc on winXP / IrDA 실패  (0) 2015.04.01
ubuntu + xbmc + ion(nvidia)  (0) 2015.03.22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2. 26. 22:27

하드웨어 ::

일단은.. 5V 2A 어댑터를 먼저 구해야겠구나 -_ㅠ

그리고 900MHz / 450MHz가 기본이고

라즈비안으로는 700MHz / 400MHz 으로 다운클럭해서 사용되는게 기본값으로 보인다.


[링크 : http://www.element14.com/.../raspberry-pi-2-model-b-frequently-asked-questions-faqs...whsoftware]

[링크 : http://www.element14.com/community/community/raspberry-pi]


하드웨어 정보 링크는 있는데.. 핀배열도 라즈베리 2도 동일한건지 알 방법이 없다.

[링크 : http://www.raspberrypi.org/documentation/hardware/README.md]


언급된 내용으로는 Pi 1(Model B+)와 동일한 폼팩터와 호환성을 지닌다는거 보면

B+를 기준으로 Pinout을 보면 될 것으로 보인다.

The Raspberry Pi 2 has an identical form factor to the previous (Pi 1) Model B+ and has complete compatibility with Raspberry Pi 1

[링크 : http://www.raspberrypi.org/products/raspberry-pi-2-model-b/]


오디오 잭은 4극으로 L/R/C/G 순서로 연결이 된다.

콤포짓 비디오니까.. 그럼 듀얼 모니터 사용이 가능하려나?


GPIO 쪽은 설명이 무언가 많이 부실...

SPI / UART / I2C 정도 밖에 안보이는 기분...



[링크 : http://www.raspberrypi.org/.../Raspberry-Pi-B-Plus-V1.2-Schematics.pdf]


라즈베리 R1 R2의 핀 배열 음.. B+는 어디서 찾지?

[링크 : http://www.megaleecher.net/Raspberry_Pi_GPIO_Pinout_Helper]


구글느님 만세!

B+에서는.. PWM이 사라진건가?!


구매한 업체가 여기니까.. 이게 확실할듯?


[링크 : http://www.element14.com/community/docs/DOC-68203/l/raspberry-pi-b-gpio-40-pin-block-pinout#]


윈도우즈 10

윈도우즈 10 IoT 버전은 공짜! 단, 가입은 필수

(내 msn 아이디로 되려나...)

[링크 : http://dev.windows.com/ko-kr/featured/raspberrypi2support]

'embeded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 pi 2 - openELEC  (0) 2015.02.27
raspberry SD 메모리 구조  (0) 2015.02.27
라즈베리 2 시작! - raspbian  (0) 2015.02.26
으헤헤헤헤 라즈베리 2  (0) 2015.02.26
라즈베리 파이 2 구매!!  (0) 2015.02.25
Posted by 구차니
embeded/ARM2015. 2. 26. 22:08

예전에 dd로 부팅디스크 만들어 보려다 실패했는데..

한번 다시 도전해 봐야겠다?


[링크 : http://www.tldp.org/HOWTO/Bootdisk-HOWTO/buildroot.html]

[링크 : https://wiki.ubuntu.com/ARM/RootfsFromScratch]

'embeded > A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goMIPS가 너무 낮게 나오네  (0) 2015.03.03
arm7l softfp hardfp fmac  (0) 2015.02.28
SD 메모리를 메인 스토리지로 쓰는 녀석...들?  (0) 2015.02.24
eMMC / UFS / PCM(PRAM)  (0) 2015.02.20
arm linux patch  (0) 2015.02.20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2. 26. 20:33

일단 펌웨어(?) 다운로드

정확하게는 OS 이미지라고 해야겠지만 귀찮으니까?!


[링크 : http://www.raspberrypi.org/downloads/]


설치법은 dd로 밀어 넣으면 되는 img 파일이다.

다운로드 시간은 대략 Raspbian/라즈비안 1기가 약 10분

snappy ubunutu/우분투 700메가 약 5분 걸린다.


라즈비안은 pi / raspberry

우분투는 ubuntu / ubuntu 가 로그인 계정이다.



압축풀면 3GB에 달하는 이미지가 나오니까 

SD 메모리도 4GB microSD 로 최소한 구매를 해야 한다.


메뉴얼에는 라즈비안 기준으로 기본 계정이 적혀있으니 참고!

[링크 : http://www.raspberrypi.org/documentation/installation/installing-images/README.md]

  [링크 : http://www.raspberrypi.org/documentation/installation/installing-images/linux.md]

  [링크 : http://www.raspberrypi.org/documentation/installation/installing-images/windows.md]


일단.. SD 메모리와 리더가 없으니 하나 구매!

오프매장에서 사서 좀 비싼게 바로 가지고 놀고 싶으니.. ㅠㅠ 끄응

아무튼.. 트래센드 8GB 로도 부팅이 되니 문제 없음! SDHC까지는 인식되나 보다


+

2015.05.23

머야 다시 보니 SD 메모리 자체에 써있는건 class 10 -_-

케이스랑 안맞네?! ㄷㄷㄷ

+


SD가 생겼으니 굽자굽자!


윈도우에서는 sourceforgr의 win32 disk imager 라고 해서 dd 의 윈도우 버전 같은걸 제공하는데 나름 빠르고 쓸만한듯?

트레센드 class 6 8GB를 사용했는데 16MB/s 최대라서 굽는데 대략 5분 걸린듯(3기가를 이렇게 빠르게 굽다니 ㄷㄷ)

[링크 : http://sourceforge.net/projects/win32diskimager/]


아무튼

SD 메모리 굽고

HDMI / microUSB 케이블 데탑 본체에 연결하니! 뚜둥!

유윳빛깔 라.즈.베.리!



음.. 이런저런 설정을 하라고 하는데 귀찮으니 그냥 Finish 하려다가


남자를 끌어 드리는 마력의 키워드 7. Overclock!!!!

기본값은 None 700MHz / 250MHz / 400Mhz 인데

생각해보니까... Modest 정도 까진 해볼걸 그랬나?


8. Advanced Options는 별건 없..(?)다

각종 주변기기 설정이랑 SSH 정도?

아.. A3 Memory Split을 안봤구나 ㅠㅠ

이건 PC에서 내장 메모리를 사용할때 GPU에 얼마의 RAM을 할당 해줄지 결정하는 것과 같은 설정이라고 한다.


위에서 Finish 하면 그냥 로그인 한채로 떨어지고

다음번 리부팅 시에는 pi / raspberry로 로그인 해야한다.


끄응.. BogoMIPS는 38.40 측정법이 잘못되었나 먼가 잘못되었나.. 왜케 저조해?

암튼 LD_SHOW_AUXV 플래그에 의하면 vfp vfpv3 neon이 활성화!! 우오옹!!

(이거 하나 보려고 산거 같은 기분인데 -_-a)


startx 로 Xwindow도 구동했는데..

생각해보니 마우스를 연결안했네 -_-

윈도우키(리눅스에서는 Super) 누르면 Menu 눌리니까 적당히 종료 ㅠㅠ)


오늘은 요기까지~

'embeded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spberry SD 메모리 구조  (0) 2015.02.27
라즈베리 2 하드웨어 관련 정보 및 win10 IoT  (0) 2015.02.26
으헤헤헤헤 라즈베리 2  (0) 2015.02.26
라즈베리 파이 2 구매!!  (0) 2015.02.25
망했어요 -_-  (6) 2015.02.24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2. 26. 17:49

횡격막을 두드리는 소리!!1 ㅋㅋ

그나저나 패키징 깔끔하게 잘 만든듯?


앜ㅋ 앙대 내얼굴이 보이잖아 ㅠㅠ

메뉴얼은 무려!!!! 10개국어 넘게 되어있다 ㄷㄷ


아이이뽀 케이스에 고정도 안하고 그냥 넣어두기만 했는데

이~~ 뻐~~~ ㅋㅋ


---

그나저나.. 크롬에서는 깨지는 나쁜 녀석들 흑 ㅠㅠ

(해상도 문제였나.. 브라우저를 좌우로 크게 켜주면 문제없다 --a)

암튼! OS 배포된 것들 중 라즈베리 1만 쓸수 있는 녀석도 있으니 적당히 골라서 써야 하고

로그인 계정은 default login에 써있으니 참고해야 한다.



Posted by 구차니

1950에서 깨서 아깝다라는 생각보다

왜.. 폭락 전의 잠시 올려주는 타이밍이라고 생각이 될까?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2. 25. 21:01

와라와라와라!!!



근데 생각해보니까..

나 microSD 리더랑

microSD가 없다? -_ㅠ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2. 24. 22:47

품절에 대처하는 구차니의 자세.. -_-a



[링크 : http://eleparts.co.kr/EPXDVFC8]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qt2015. 2. 24. 18:04

qt에서 qml을 통해 다국어를 지원하는 방법


ts 파일은 qml에서 스캔해서 메시지 파일을 생성하고

qtcreator를 통해

ts를 qm 파일로 컴파일 한다.





웬지.. poedit에서 po를 mo로 바꾸는 기분이야...


[링크 : http://qt-project.org/doc/qt-4.8/linguist-manager.html]

[링크 : http://qt-project.org/doc/qt-4.8/linguist-translators.html]

[링크 : http://qt-project.org/doc/qt-4.8/linguist-hellotr.html]

'Programming >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5 fb reset  (0) 2021.02.23
qt framebuffer에 출력하기  (0) 2021.02.09
qt 5.3 cross compile 조사  (0) 2015.01.21
qt 4.x/5.x INSTALL_PATH  (0) 2015.01.20
qt font path  (0) 2015.01.20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