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사용/Putty2016. 2. 3. 09:36

속도까지 잰건 아니지만

아무튼.. putty - X11 forwarding - Xming

을 통해서 


Xnest :1 -query localhost

명령 수행시 화면 로딩 속도를 보면


DES, ARCFOUR > AES > 3DES > blowfish

정도의 느낌?


putty에서는 AES가 기본이긴 한데

보안을 희생하고 속도를 올리려면..

ARCFOUR 정도가 무난할지도?



일단 벤치상으로는 arcfour가 가장 빠르고 blowfish가 그걸 뒤따르는데

체감이랑은 좀 많이 다른 듯..



[링크 : http://xmodulo.com/how-to-speed-up-x11-forwarding-in-ssh.html]

2015/09/24 - [프로그램 사용/ssh / scp / sftp] - ssh X11 forwarding 속도 향상


'프로그램 사용 > Put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tty - CR+LF 전송하기 불가?  (0) 2015.07.14
putty chrome socks5 / dns remote  (0) 2014.12.18
putty로 proxy 설정하기 (socks5 + firefox)  (0) 2014.12.17
linux용 putty  (2) 2011.09.21
putty를 이용한 vnc 터널링  (1) 2011.06.21
Posted by 구차니

올ㅋ




'게임 > 오리진&스팀&유플레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리진의 선물!  (0) 2016.03.26
오리진의 낚시  (0) 2016.03.18
스팀 195개.. 오리진 45개?  (0) 2016.01.12
인디갈라 획득 실패 ㅠㅠ  (0) 2015.12.18
indiegala giveaday  (0) 2015.12.13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openGL2016. 2. 2. 19:24


8.010 How does the camera work in OpenGL?


As far as OpenGL is concerned, there is no camera. More specifically, the camera is always located at the eye space coordinate (0., 0., 0.). To give the appearance of moving the camera, your OpenGL application must move the scene with the inverse of the camera transformation.


8.020 How can I move my eye, or camera, in my scene?


OpenGL doesn't provide an interface to do this using a camera model. However, the GLU library provides the gluLookAt() function, which takes an eye position, a position to look at, and an up vector, all in object space coordinates. This function computes the inverse camera transform according to its parameters and multiplies it onto the current matrix stack.


[링크 : https://www.opengl.org/archives/resources/faq/technical/viewing.htm]

    [링크 : http://gamedev.stackexchange.com/.../why-do-we-move-the-world-instead-of-the-camera] 


[링크 : http://blog.secmem.org/132]

[링크 : http://darkpgmr.tistory.com/84]

[링크 : http://gcland.tistory.com/189]


[링크 : https://www.opengl.org/archives/resources/code/samples/redbook/]

'Programming > openGL' 카테고리의 다른 글

glxgears 소스  (0) 2016.09.07
opencv opengl  (0) 2016.02.26
myAHRS cube 예제  (0) 2016.02.02
openCV <-> openGL  (0) 2015.09.24
openGL triangle winding  (0) 2015.07.22
Posted by 구차니

이번에 이걸 몰라서 헤맸...

연말정산간소화 - 자료제공동의/취소신청



제공동의시 공인인증서가 필요하고

미성년의 경우 공인인증서 없이 가능(애가 어려서 그런가..)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FI - Made For iP....  (0) 2016.02.17
사진 인화 준비..  (0) 2016.02.11
롯데마트 할인 신용카드 흐음...  (0) 2016.01.07
2015년 끝  (0) 2015.12.31
무료..  (0) 2015.12.26
Posted by 구차니

Ubuntu 12.04 LTS 서버측 설정

$ sudo vi /etc/lightdm/lightdm.conf

[SeatDefaults]

autologin-guest=false

autologin-user=cynix

autologin-user-timeout=0

autologin-session=lightdm-autologin

greeter-session=unity-greeter

user-session=ubuntu


[XDMCPServer]

enabled=true


$ sudo service lightdm restart

[링크 : https://wiki.ubuntu.com/xdmcp]


xming 클라이언트 설정(윈도우)







VNC보단 확실히 빠른느낌이다.


나중에 로컬이 아닌 외부에서 시도해봐야지..

XDMCP protocol on port 177/UDP. But the actual X11 protocol connections will be made to the local port 6000+n /TCP, where n is the display-number.

[링크 : http://www.straightrunning.com/XmingNotes/IDH_XDMCP.htm]


Open up TCP port 6000-6005 (plus X-Win32’s base display number) in both directions

Open up UDP port 177 to accept incomming connections from any port.

[링크 : https://www.starnet.com/xwin32kb/what-ports-need-to-be-opened-for-xdmcp/]


2009/04/10 - [프로그램 사용/cygwin / Xming] - Xming XDMCP 관련 도움말

2009/05/19 - [프로그램 사용/cygwin / Xming] - Xming --help


'프로그램 사용 > cygwin & X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ygwin/X XDMCP  (0) 2016.02.12
XDMCP over SSH ? / xnest  (0) 2016.02.03
cygwin bash 쉘 시작 위치 지정하기  (0) 2015.12.02
Xwin DISPLAY 고찰(?)  (0) 2015.08.13
Xming vs cygwin/x  (0) 2012.01.25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16. 2. 2. 16:03

리눅스에서 실행하는 윈도우용 프로그램 런쳐?


[링크 : https://www.playonlinux.com/en/]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idemux & Free Video Editor  (0) 2016.03.04
스크롤 캡쳐  (0) 2016.02.15
hfs - HTTP file server  (0) 2015.11.23
바탕화면 달력  (0) 2015.10.14
라즈베리 파이 오디오 스트리밍 관련 문서  (0) 2015.09.18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6. 2. 2. 15:59

xdrp를 이용하면 리눅스에서

윈도우의 mstsc(윈도우 터미널 접속)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다고 한다. ㄷㄷ

해볼까..


[링크 : http://abydos.tistory.com/3]

[링크 : http://dustjrdk.iptime.org/?p=34]

[링크 : http://www.whatwant.com/481]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multiseat 설정  (0) 2016.02.04
LXDE 에서는... XDMCP 미지원?  (0) 2016.02.04
wicd / network-manager ?  (0) 2016.01.04
리눅스 콘솔 한글 출력?  (0) 2016.01.04
debian openbox 단축키  (0) 2016.01.04
Posted by 구차니



• Coded slice (regular VCL data),

• Coded data partition A, B, C (DPA, DPB, DPC),

• Instantaneous decoder refresh (IDR),

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SEI),

Sequence and picture parameter set (SPS, PPS),

• Picture delimiter (PD) and filler data (FD).

[링크 : http://iphome.hhi.de/wiegand/assets/pdfs/DIC_H264_07.pdf]

[링크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2320604/embedding-metadata-to-h-264-encoded-file]


[링크 : http://egloos.zum.com/yajino/v/782492]

[링크 : http://mmlab.knu.ac.kr/Lecture/hci/multi_2008_2/H.264_AVC_2008_7.pdf]


SODB (String Of Data Bits)

RBSP (Raw Byte Sequence Payload)

NAL(Netwrok Abstract Layer)

[링크 : https://codesequoia.wordpress.com/2009/10/18/h-264-stream-structure/]



[링크 : http://vaplab.ee.ncu.edu.tw/~mktsai/data/h264_introduction.ppt]


format pdf

[링크 : http://www.itu.int/rec/dologin_pub.asp?lang=e&id=T-REC-H.264-200305-S!!PDF-E&type=items]

[링크 : http://mmlab.knu.ac.kr/Lecture/hci/multi_2008_2/H.264_AVC_2008_4.pdf]

[링크 : http://iphome.hhi.de/wiegand/assets/pdfs/DIC_H264_07.pdf]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T SMT?  (0) 2017.03.06
db shading  (0) 2016.05.08
RAID6  (2) 2016.01.28
file system snapshot  (0) 2016.01.28
tsl - test and set lock  (0) 2015.11.23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openGL2016. 2. 2. 12:47

openGL 공부할겸 소스 뜯어 봐야겠다.




[링크 : https://github.com/...master/odroid_c1/opengles_20/samples/opengles_20/cube_with_myahrs]

    [링크 : https://github.com/withrobot/myAHRS_plus/tree/master/odroid_c1/opengles_20]


대충 봤는데.. EGL 초기화하고 vertex shader 쓰고...

흐음.. 내가 생각하던 그 예제랑은 달라서 의미가 없으려나? ㅠㅠ

'Programming > openGL'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cv opengl  (0) 2016.02.26
opengl camera의 이해  (0) 2016.02.02
openCV <-> openGL  (0) 2015.09.24
openGL triangle winding  (0) 2015.07.22
openGL super bible 3rd ed - 깊이, 은면처리  (0) 2015.07.21
Posted by 구차니
분류가 모호한 글2016. 2. 1. 12:29

보안관련 취약점 데이터 베이스 인데

CVE 라던가 이런식으로 명칭이 붙은건 여기서 공식적으로 배포하는 듯


[링크 : https://nvd.nist.gov/]

'분류가 모호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샘플 pcb 5만원!  (0) 2017.02.24
크롬 주소표시줄 한글 강제 인코딩 관련  (0) 2017.01.02
dense 3d reconstruction  (0) 2015.09.22
입식 책상  (0) 2015.09.01
acoustic phased array speaker  (0) 2015.08.20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