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잃어 버림
첫애 장난감 두개중 하나 잃어 버림..
아... 놔.... ㅠㅠ
'개소리 왈왈 > 육아관련 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 상담 다녀옴 (0) | 2019.03.16 |
---|---|
3년치 인화 신청 빡세다.. (2) | 2019.03.04 |
으으 피곤.. (0) | 2019.02.02 |
dustfeel - 미세먼지 측정소 상황 (0) | 2019.01.29 |
긴장이 풀린걸까? (2) | 2019.01.27 |
신용카드 잃어 버림
첫애 장난감 두개중 하나 잃어 버림..
아... 놔.... ㅠㅠ
심리 상담 다녀옴 (0) | 2019.03.16 |
---|---|
3년치 인화 신청 빡세다.. (2) | 2019.03.04 |
으으 피곤.. (0) | 2019.02.02 |
dustfeel - 미세먼지 측정소 상황 (0) | 2019.01.29 |
긴장이 풀린걸까? (2) | 2019.01.27 |
차례상 대신에 QR 코드 하나 뽑아두고 바닥에 두고는
영정 사진 대신 QR 코드 하나 뽑아두고 차례상 옆에 두고는
차례를 지내는거임
그러면... AR로 대가족들이 다 모여서 한곳에서 차례를 지내고
차례상 차리가나 설겆이로 고생안해도 되고
영정 사진 대신 영혼처럼 두둥실 떠다니는 조상님을 볼 수 있는거고 (응?)
라고 이야기 했다가 친누나와 아버지에게 퇴짜 맞음.. -_-
역사는 반복된다 (0) | 2019.08.21 |
---|---|
컨텐츠와 오리지널리티 (0) | 2019.08.21 |
이고깽이 현실적인 이유(?) (4) | 2018.08.26 |
정보의 의도적 손실과 강제적 복원 (4) | 2018.07.10 |
인간은 언어로 생각하는가 (워프-사피어 가설) (2) | 2018.07.10 |
아내는 비슷하다고 하는데
둘다 무음 - 1 - 2 - 3 으로 설정하고 비교하면
확실히 노트2가 볼륨이 더 크게 느껴진다.
노트2는 기본 음악앱
노트4는 삼성 음악앱이라 그런건가..
이퀄라이저라던가 이런건 거의 설정안하고 꺼놔서 그걸로 인한 차이는 별로 없을텐데..
다이소 이어폰이 임피던스가 달라서 그런건가.. 아니면
내 귀가 이상해진건가..
+
뜬금포 그래서.. 사람들이 블루투스 쓰는건가...
VR 헬멧 (0) | 2019.03.07 |
---|---|
바쁜.. 월..요일이 아니라 목요일이네? (0) | 2019.02.07 |
요금제 고민.. (0) | 2019.02.04 |
아내님 노트4 강탈! (2) | 2019.02.03 |
데이터 폭탄 무섭네.. (2) | 2019.02.02 |
흐음.. 오랫만에 들어가니 LTE 요금제도 개편되서 썩 나쁘지 않네
일단 설 연휴 끝나고 고객센터 전화해서 물어봐야지..
은근히 3G 음영 지대가 늘어났는지
끊어지는 데가 많아지는 느낌이라 이제 슬슬 LTE로 가야 할지도.. ㅠㅠ
+
2019.02.06
이번달 100분 통화하고 13000원 나왔는데
위에 할인적용 금액 9900원이면 더 이득 아닐려나?
근데.. 에그가 계륵이 되는 느낌이네?
어짜피 에그를 들고 다니긴 하겠지만..
바쁜.. 월..요일이 아니라 목요일이네? (0) | 2019.02.07 |
---|---|
노트2 / 노트4 볼륨이 다른가? (0) | 2019.02.05 |
아내님 노트4 강탈! (2) | 2019.02.03 |
데이터 폭탄 무섭네.. (2) | 2019.02.02 |
다음 아고라 서비스 종료 (4) | 2018.12.04 |
nload는 NIC 별로 보여주고
iftop은 합쳐서 보여주고
개인적으로는 nload가 취향인듯
[링크 : https://www.binarytides.com/linux-commands-monitor-network/]
linux multi core 압축 (0) | 2019.02.22 |
---|---|
bash history 번호 옆 * (0) | 2019.02.16 |
ls에서 전체년도 보기 (0) | 2019.02.03 |
bcache - SSD write cache (0) | 2019.02.01 |
bacahe(SSD) + RAID(HDD), 그리고 bcache(ramfs) + RAID(HDD) (0) | 2019.02.01 |
ctime을 확인해보려고 했는데 년도가 빠져서 어떻게 하면 제대로 볼 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에 검색
$ ls --full-time |
[링크 : https://unix.stackexchange.com/.../show-the-year-while-listing-files-in-the-current-directory/218887]
bash history 번호 옆 * (0) | 2019.02.16 |
---|---|
네트워크 속도 모니터링 (0) | 2019.02.03 |
bcache - SSD write cache (0) | 2019.02.01 |
bacahe(SSD) + RAID(HDD), 그리고 bcache(ramfs) + RAID(HDD) (0) | 2019.02.01 |
bash builtin 명령어 . (0) | 2019.01.28 |
백업을 하려고 하니 도메인이름을 알아야 dump를 할 수 있고
그래야 xml로 빼내서 무언가를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눈에 잘 들어 오는 문서가 없는건가..
$ virsh list --all $ virsh dominfo <domain> |
[링크 : https://unix.stackexchange.com/questions/300113/how-to-list-domains-in-virsh]
이것저것 해보다 보니
dumpxml 과 edit의 내용이 동일함을 발견하고
create 시에 파일을 인자로 받기 때문에 해당 xml을 덤프 받은 후 (dumpxml 옵션)
create xmlfile 로 해서 생성하면 간편하게 복구가 가능 할 듯
(물론 이미지 파일 경로 라던가 이런건 수정해 주어야 겠지만)
$ virsh help create 이름 create - XML 파일에서 도메인 생성 시놉시스 create <file> [--console] [--paused] [--autodestroy] [--pass-fds <string>] [--validate] 설명 도메인 생성 옵션 [--file] <string> XML 도메인 설명이 있는 파일 --console 만든 다음에 콘솔에 붙이기 --paused leave the guest paused after creation --autodestroy automatically destroy the guest when virsh disconnects --pass-fds <string> pass file descriptors N,M,... to the guest --validate validate the XML against the schema |
$ virsh help Grouped commands: Domain Management (help keyword 'domain'): attach-device XML 파일에서 장치 부착 attach-disk 디스크 장치 부착 attach-interfac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착 autostart 자동으로 도메인 시작 blkdeviotune Set or query a block device I/O tuning parameters. blkiotune Get or set blkio parameters blockcommit Start a block commit operation. blockcopy Start a block copy operation. blockjob Manage active block operations blockpull Populate a disk from its backing image. blockresize Resize block device of domain. change-media CD 또는 플로피 드라이버의 미디어 변경 console 게스트 콘솔로 연결 cpu-stats show domain cpu statistics create XML 파일에서 도메인 생성 define XML 파일에서 도메인을 정의함 (시작하지는 않음) desc 도메인 설명 또는 제목 보기 또는 설정 destroy destroy (stop) a domain detach-device XML 파일에서 분리 장치 detach-device-alias detach device from an alias detach-disk 디스크 장치 분리 detach-interfac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분리 domdisplay domain display connection URI domfsfreeze Freeze domain's mounted filesystems. domfsthaw Thaw domain's mounted filesystems. domfsinfo Get information of domain's mounted filesystems. domfstrim Invoke fstrim on domain's mounted filesystems. domhostname 도메인의 호스트 이름 인쇄 domid 도메인명 또는 UUID를 도메인 id로 변환 domif-setlink 가상 인터페이스의 링크 상태 설정 domiftune get/set parameters of a virtual interface domjobabort 동작중인 도메인 작업을 중단 domjobinfo 도메인 작업 정보 domname 도메인 id 또는 UUID를 도메인명으로 변환 domrename rename a domain dompmsuspend suspend a domain gracefully using power management functions dompmwakeup wakeup a domain from pmsuspended state domuuid 도메인명이나 id를 도메인 UUID로 변환 domxml-from-native 네이티브 설정을 도메인 XML로 변환합니다 domxml-to-native 도메인 XML을 네이티브 설정으로 변환합니다 dump 도메인을 파일에 코어 덤프하여 분석 dumpxml XML에 있는 도메인 정보 edit 도메인을 위한 XML 설정 편집 event Domain Events inject-nmi Inject NMI to the guest iothreadinfo view domain IOThreads iothreadpin control domain IOThread affinity iothreadadd add an IOThread to the guest domain iothreaddel delete an IOThread from the guest domain send-key Send keycodes to the guest send-process-signal Send signals to processes lxc-enter-namespace LXC Guest Enter Namespace managedsave managed save of a domain state managedsave-remove Remove managed save of a domain managedsave-edit edit XML for a domain's managed save state file managedsave-dumpxml Domain information of managed save state file in XML managedsave-define redefine the XML for a domain's managed save state file memtune 메모리 매개 변수를 설정할 수 없음 perf Get or set perf event metadata show or set domain's custom XML metadata migrate 도메인을 다른 호스트로 이전 migrate-setmaxdowntime 최대 허용가능 다운타임을 설정 migrate-getmaxdowntime get maximum tolerable downtime migrate-compcache get/set compression cache size migrate-setspeed Set the maximum migration bandwidth migrate-getspeed Get the maximum migration bandwidth migrate-postcopy Switch running migration from pre-copy to post-copy numatune numa 매개 변수 설정 qemu-attach QEMU Attach qemu-monitor-command QEMU Monitor Command qemu-monitor-event QEMU Monitor Events qemu-agent-command QEMU Guest Agent Command reboot 도메인을 재부팅 reset 도메인 재설정 restore 파일에 저장된 상태에서 도메인을 복구 resume 도메인을 다시 시작 save 도메인 상태를 파일에 저장 save-image-define redefine the XML for a domain's saved state file save-image-dumpxml saved state domain information in XML save-image-edit edit XML for a domain's saved state file schedinfo 스케줄러 매개 변수 보기/설정 screenshot take a screenshot of a current domain console and store it into a file set-lifecycle-action change lifecycle actions set-user-password set the user password inside the domain setmaxmem 최대 메모리 크기 제한 변경 setmem 메모리 할당 변경 setvcpus 가상 CPU 수 변경 shutdown 도메인을 종료 start (기존에 정의된) 비활성화 도메인 시작 suspend 도메인을 중지함 ttyconsole tty 콘솔 undefine 도메인을 정의하지 않음 update-device XML 파일에서 장치를 업데이트합니다 vcpucount domain vcpu counts vcpuinfo detailed domain vcpu information vcpupin control or query domain vcpu affinity emulatorpin control or query domain emulator affinity vncdisplay vnc 화면 guestvcpus query or modify state of vcpu in the guest (via agent) setvcpu attach/detach vcpu or groups of threads domblkthreshold set the threshold for block-threshold event for a given block device or it's backing chain element Domain Monitoring (help keyword 'monitor'): domblkerror 블럭 장치에서 오류 보기 domblkinfo 도메인 블록 장치 크기 정보 domblklist list all domain blocks domblkstat 도메인의 장치 블럭 상태 보기 domcontrol 도메인 제어 인터페이스 상태 domif-getlink 가상 인터페이스의 링크 상태 얻기 domifaddr Get network interfaces' addresses for a running domain domiflist list all domain virtual interfaces domifstat 도메인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 보기 dominfo 도메인 정보 dommemstat 도메인에 대한 메모리 통계를 얻음 domstate 도메인 상태 domstats get statistics about one or multiple domains domtime domain time list 도메인 목록 Host and Hypervisor (help keyword 'host'): allocpages Manipulate pages pool size capabilities 기능 cpu-baseline 베이스라인 CPU 계산 cpu-compare 호스트 CPU를 XML에 설명된 CPU와 비교 cpu-models CPU models domcapabilities domain capabilities freecell NUMA 가용 메모리 freepages NUMA free pages hostname 하이퍼바이저 호스트명 인쇄 hypervisor-cpu-baseline compute baseline CPU usable by a specific hypervisor hypervisor-cpu-compare compare a CPU with the CPU created by a hypervisor on the host maxvcpus connection vcpu maximum node-memory-tune 노드 메모리 매개 변수 설정 nodecpumap node cpu map nodecpustats Prints cpu stats of the node. nodeinfo 노드 정보 nodememstats Prints memory stats of the node. nodesuspend suspend the host node for a given time duration sysinfo 하이퍼바이저 시스템 정보 인쇄 uri 하이퍼바이저 정규 URI 인쇄 version 버전 보여주기 Interface (help keyword 'interface'): iface-begin create a snapshot of current interfaces settings, which can be later committed (iface-commit) or restored (iface-rollback) iface-bridge 브리지 장치를 생성하고 이를 기존 네트워크 장치에 부착 iface-commit commit changes made since iface-begin and free restore point iface-define define an inactive persistent physical host interface or modify an existing persistent one from an XML file iface-destroy 물리적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파괴합니다(비활성화 / "if-down") iface-dumpxml XML에 있는 인터페이스 정보 iface-edit 물리적 호스트 인터페이스에 대한 XML 설정을 편집 iface-list 물리적 호스트 인터페이스 목록 iface-mac 인터페이스 이름을 인터페이스 MAC 주소로 변환합니다 iface-name 인터페이스 MAC 주소를 인터페이스 이름으로 변환합니다 iface-rollback rollback to previous saved configuration created via iface-begin iface-start 물리적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시작합니다(활성화 / "if-up") iface-unbridge undefine a bridge device after detaching its slave device iface-undefine 물리적 호스트 인터페이스의 정의를 없앱니다(설정에서 제거) Network Filter (help keyword 'filter'): nwfilter-define XML 파일에서 네트워크 필터 정의 또는 업데이트 nwfilter-dumpxml XML에서 네트워크 필터 정보 nwfilter-edit 네트워크 필터의 XML 설정을 편집 nwfilter-list 네트워크 필터 나열 nwfilter-undefine 네트워크 필터를 정의하지 않음 nwfilter-binding-create create a network filter binding from an XML file nwfilter-binding-delete delete a network filter binding nwfilter-binding-dumpxml XML에서 네트워크 필터 정보 nwfilter-binding-list list network filter bindings Networking (help keyword 'network'): net-autostart 네트워크 자동 시작 net-create XML 파일에서 네트워크 생성 net-define define an inactive persistent virtual network or modify an existing persistent one from an XML file net-destroy 네트워크 삭제 (중지) net-dhcp-leases print lease info for a given network net-dumpxml XML에 있는 네트워크 정보 net-edit 네트워크를 위한 XML 설정을 편집 net-event Network Events net-info 네트워크 정보 net-list 네트워크 목록 net-name 네트워크 UUID를 네트워크 이름으로 변환 net-start (기존에 정의된) 비활성화 네트워크 시작 net-undefine undefine a persistent network net-update 기존 네트워크 설정의 일부분을 업데이트합니다 net-uuid 네트워크 이름을 네트워크 UUID로 변환 Node Device (help keyword 'nodedev'): nodedev-create 노드에 XML 파일로 정의된 장치를 생성합니다 nodedev-destroy 노드 상의 장치를 삭제 (중지) nodedev-detach detach node device from its device driver nodedev-dumpxml XML로 된 노드 장치 상세정보 nodedev-list 호스트상의 장치를 열거 nodedev-reattach 장치 드라이버에 노드 장치를 재부착 nodedev-reset 노드 장치 리셋 nodedev-event Node Device Events Secret (help keyword 'secret'): secret-define XML 파일의 비밀 정보를 정의하거나 변경 secret-dumpxml XML로 된 비밀 정보 특성 secret-event Secret Events secret-get-value 비밀정보 값을 출력 secret-list 비밀정보 목록 나열 secret-set-value 비밀정보 값을 설정 secret-undefine 비밀정보 정의를 해제 Snapshot (help keyword 'snapshot'): snapshot-create XML에서 스냅샷 생성 snapshot-create-as 인수 모음에서 스냅샷 생성 snapshot-current 현재 스냅샷 설정 snapshot-delete 도메인 스냅샷 삭제 snapshot-dumpxml 도메인 스냅샷의 덤프 XML snapshot-edit 스냅샷의 XML 편집 snapshot-info 스냅샷 정보 snapshot-list 도메인의 스냅샷 목록 snapshot-parent 부모 스냅샷의 이름 얻기 snapshot-revert Revert a domain to a snapshot Storage Pool (help keyword 'pool'): find-storage-pool-sources-as 사용가능한 저장소 풀 소스를 찾습니다 find-storage-pool-sources 사용가능한 저장소 풀 소스를 발견합니다 pool-autostart 자동으로 풀을 시작 pool-build 풀을 만들기 pool-create-as 매개변수로부터 풀을 생성합니다 pool-create XML 파일에서 풀 생성 pool-define-as 매개변수로부터 풀을 정의합니다 pool-define define an inactive persistent storage pool or modify an existing persistent one from an XML file pool-delete 풀을 삭제 pool-destroy destroy (stop) a pool pool-dumpxml XML에 있는 풀 정보 pool-edit 저장소 풀을 위한 XML 설정을 편집 pool-info 저장소 풀 정보 pool-list 풀 목록 pool-name 풀 UUID를 풀 이름으로 변환 pool-refresh 풀 새로 고침 pool-start (기존에 정의된) 비활성화된 풀을 시작 pool-undefine 비활성화된 풀을 정의 해제하지 않음 pool-uuid 풀 이름을 풀 UUID로 변환 pool-event Storage Pool Events Storage Volume (help keyword 'volume'): vol-clone 볼륨을 복제. vol-create-as 매개변수로부터 볼륨을 생성합니다 vol-create XML 파일에서 볼륨 생성 vol-create-from 다른 볼륨을 입력으로 사용해서 새 볼륨을 만듭니다 vol-delete 볼륨 삭제 vol-download 파일에 볼륨 컨텐츠를 다운로드함 vol-dumpxml XML로 된 볼륨 정보 vol-info 저장소 볼륨 정보 vol-key 주어진 볼륨 이름이나 경로의 볼륨 키 반환 vol-list 볼륨 목록 vol-name 주어진 볼륨 키 또는 경로의 볼륨 이름을 반환로 vol-path 주어진 볼륨 이름 또는 키의 볼륨 경로 반환 vol-pool 주어진 볼륨 키 또는 경로의 저장 풀을 반환 vol-resize 볼륨 크기 조정 vol-upload 볼륨에 파일 컨텐츠를 업로드함 vol-wipe 볼륨을 깨끗이 밀기 Virsh itself (help keyword 'virsh'): cd 현재 디렉터리를 변경함 echo echo arguments exit 대화식 터미널 종료 help 도움말 프린트하기 pwd 현재 디렉터리를 출력. quit 대화식 터미널 종료 connect 하이퍼바이저로 (재)연결 |
kvm 서비스 종료하기 (0) | 2019.02.12 |
---|---|
kvm 관리용 툴(웹) (0) | 2019.02.08 |
kvm qemu qcow2 vs raw with windows guest (0) | 2019.02.01 |
kvm 디스크 용량 늘리기 + 줄이기 (0) | 2019.02.01 |
virbr0 - libvirt NIC (0) | 2019.01.29 |
어찌어찌 아내님 노트9으로 갈아 타게 해드리고
아내님이 쓰시던 노트4로 갈아탐
기존에 내가 쓰던 노트2는 이제 딸래미 장난감으로 만들어야 하려나..
노트2 / 노트4 볼륨이 다른가? (0) | 2019.02.05 |
---|---|
요금제 고민.. (0) | 2019.02.04 |
데이터 폭탄 무섭네.. (2) | 2019.02.02 |
다음 아고라 서비스 종료 (4) | 2018.12.04 |
갤럭시 S4 Active 무선충전 패드 설치 (6) | 2018.10.17 |
아내 친구가 2.5만원 정도 더 나온다고 해서 계산을 해보니
0.011원 / 0.5KB 요율로 계산하면 대략
1200000 KB * 0.011원 / 0.5KB
으로. 단순 계산으로(1024로 안나누고) 1.2 기가 썼다고 2.6만원 더 터진다.
무서운 놈들...
[링크 : http://www.tworld.co.kr/normal.do?serviceId=S_PROD2001&viewId=V_PROD2001&prod_id=NA00004769]
요금제 고민.. (0) | 2019.02.04 |
---|---|
아내님 노트4 강탈! (2) | 2019.02.03 |
다음 아고라 서비스 종료 (4) | 2018.12.04 |
갤럭시 S4 Active 무선충전 패드 설치 (6) | 2018.10.17 |
다이소 5천원짜리 블루투스 스피커 구매! (2) | 2018.10.09 |
멀 했다고 이리 피곤하다냐 ㅠㅠ
3년치 인화 신청 빡세다.. (2) | 2019.03.04 |
---|---|
설 연휴 정산... (2) | 2019.02.06 |
dustfeel - 미세먼지 측정소 상황 (0) | 2019.01.29 |
긴장이 풀린걸까? (2) | 2019.01.27 |
스튜디오 재촬영 (0) | 2019.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