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Launch XDMCP settingsLaunch

XLaunch XDMCP settings
XDMCP settings
Settings for the XDMCP mode. This mode is the most problematic, is not secure, and usually requires altering of the remote machine's settings. The XDMCP protocol will send and receive data on port 177/UDP. But the actual connections will be made to the local port 6000+n /TCP, where n is the display number.

Connect to host
Enables XDMCP and sends 'Query' UDP packets to the specified host.
If you are having problems use Wireshark or equivalent to monitor UDP traffic on the remote host and look for the sequence 'Query' 177/UDP, 'Willing' x/UDP, 'Request' 177/UDP, 'Accept' x/UDP, 'Manage' 177/UDP and see where it stops. If it gets through the sequence then test with local and remote 'xeyes' in multiwindow mode, because the Display Manager acts just like an X client from then on in to provide its login window.

Use indirect connect
Enables XDMCP and sends 'IndirectQuery' packets to the specified host. This host presents a chooser box of several hosts or sends 'ForwardQuery' to another host depending on how it's X Display Manager is configured (via Xaccess file entries).

Search for hosts (broadcast)
Enables XDMCP and broadcasts 'BroadcastQuery' packets to the network. The first responding display manager will be chosen for the session.

XDMCP remote settings
A quick guide to setting insecure XDMCP mode on a remote machine running kdm, gdm, xdm or wdm...
On the remote *nix machine edit the following files, restart the X Display Manager and run at 'init 5'.

Edit the file Xaccess (each Display Manager has its own). Make sure you have a line like this that is uncommented.
 *         #any host can get a login window

Edit the X Display Manager config file (kdmrc, gdm.config, xdm-config or wdm-config) and change
[Xdmcp]
Enable=false (may be shown as 0 in some distributions)
  to
[Xdmcp]
Enable=true (or 1 in some distributions)

or for a xdm style configuration

DisplayManager.requestPort:    0
  to
!DisplayManager.requestPort:    0

출처 : XLaunch Wizard help for Xming - XLaunch XDMCP settings 항목

Posted by 구차니
아래의 링크에서 하는 방법역시 결국에는 SSH X11 forwarding을 사용하는 방식인데
중요한 것은 실행 파일이름이다.


putty에서 X11 forwarding 설정을 하고
gnome 환경이라면 마법의 키워드를 입력한다


gnome-session


그러면 자신의 계정으로 접속된 gnome desktop이 보일것이다!







주의 : 현재 모니터 해상도 그대로 끌려가게 되니 주의해야 한다(전체화면 강제로 됨. 창은 찾아 봐야 할 듯..)

[참고 : http://www.javarush.com/1171424845] -> 원본위치 추적
[원본 : http://blog.studioego.info/417]
Posted by 구차니
알파벳과 유사한것들이 있기에 VFD의 CGRAM을 이용하여 제한된 문자열 내에서
여러나라말을 지원해야 할 경우가 생겨 잠시 노가다를...

일단 A B E K H O ... 이러한 것들은 알파벳과 유사하게 생겼고,
제한된 크기인 5x7 에서 표시 할 수 없으므로(혹은 식별이 힘든 문자들이므로)
알파벳과 동일하게 사용한다면 상당히 문자의 갯수를 줄일 수 있다.

목표치는 총 64개에 러시아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맵핑을 해야 하므로
96개중 32개(대소문자 포함한다면 각 문자별 16개)의 문자를 제외하면 된다.

А В Е К М Н О Р С Т У Х Ѕ І Ј
а в е к м н о р с т у х ѕ і ј

총 30개의 알파벳과 유사하게 생긴 러시아어이다.
테이블의 총 92개의 문자중에 30개 제외 되므로 64보다 작은 62개가 된다.


iso8859 cyrillic used character
1 А 0x0410
33 а 0x0430
 


 

2 Б 0x0411
34 б 0x0431
65 Ё 0x0401
79 ё 0x0451
3 В 0x0412
35 в 0x0432
66 Ђ 0x0402
80 ђ 0x0452
4 Г 0x0413
36 г 0x0433
67 Ѓ 0x0403
81 ѓ 0x0453
5 Д 0x0414
37 д 0x0434
68 Є 0x0404
82 є 0x0454
6 Е 0x0415
38 е 0x0435
69 Ѕ 0x0405
83 ѕ 0x0455
7 Ж 0x0416
39 ж 0x0436
70 І 0x0406
84 і 0x0456
8 З 0x0417
40 з 0x0437
71 Ї 0x0407
85 ї 0x0457
9 И 0x0418
41 и 0x0438
72 Ј 0x0408
86 ј 0x0458
10 Й 0x0419
42 й 0x0439
73 Љ 0x0409
87 љ 0x0459
11 К 0x041A
43 к 0x043A
74 Њ 0x040A
88 њ 0x045A
12 Л 0x041B
44 л 0x043B
75 Ћ 0x040B
89 ћ 0x045B
13 М 0x041C
45 м 0x043C
76 Ќ 0x040C
90 ќ 0x045C
14 Н 0x041D
46 н 0x043D
 


 

15 О 0x041E
47 о 0x043E
77 Ў 0x040E
91 ў 0x045E
16 П 0x041F
48 п 0x043F
78 Џ 0x040F
92 џ 0x045F
17 Р 0x0420
49 р 0x0440







18 С 0x0421
50 с 0x0441







19 Т 0x0422
51 т 0x0442







20 У 0x0423
52 у 0x0443







21 Ф 0x0424
53 ф 0x0444







22 Х 0x0425
54 х 0x0445







23 Ц 0x0426
55 ц 0x0446







24 Ч 0x0427
56 ч 0x0447







25 Ш 0x0428
57 ш 0x0448







26 Щ 0x0429
58 щ 0x0449







27 Ъ 0x042A
59 ъ 0x044A







28 Ы 0x042B
60 ы 0x044B







29 Ь 0x042C
61 ь 0x044C







30 Э 0x042D
62 э 0x044D







31 Ю 0x042E
63 ю 0x044E







32 Я 0x042F
64 я 0x044F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coLinux2009. 4. 10. 14:01
colinux는 User-level kernel로 완전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게 합니다.
일단 colinux는 kernel와 linux 배포판 이미지로 나누어져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아래의 coLinux-stable은 colinux kernel 및 실행 프로그램
그리고 아래의 Images는 각 linux 배포판 root filesystem 입니다.
FC10 기준 인스톨러는 150M 정도이지만, RAR 압축을 해제 하고 나면 4기가 정도의 용량을 차지 합니다.
(이런 놀라운 압축력!)



Package Release Date Notes / Monitor Downloads

coLinux-stable 0.7.3-linux-2.6.22.18 June 8, 2008 Release notes     Monitor this package Download
Images 2.6.x ArchLinux ArchLinux 2007.08-2 February 7, 2008 Release notes     Monitor this package Download
Images 2.6.x Debian Debian 4.0 Etch May 8, 2007 Release notes     Monitor this package Download
Images 2.6.x Fedora Fedora 10 February 28, 2009 Release notes     Monitor this package Download
Images 2.6.x Gentoo Gentoo 2006.1 March 2, 2007 Release notes     Monitor this package Download
Images 2.6.x Ubuntu Ubuntu 7.10 March 14, 2008 Release notes     Monitor this package Download
[colinux : http://colinux.org/]
[colinux down : http://sourceforge.net/project/showfiles.php?group_id=98788]


인스톨러를 실행하면 나오는 화면입니다(이 앞에는 GNU 동의하냐는 것이 있어서 패스 입니다)

coLinux와 RootFS image를 받았다면 아래의 Root Filesystem image Download는 체크 해제 하시면 됩니다.

coLinux 세부내용 입니다. 귀찮으니 기본 값으로 넘어갑니다.

혹시 RootFS를 받지 않으셨다면, Root Filesystem image Download를 체크하시고 다음을 누르면
위와 같은 선택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는 아쉽게도 FC7로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설치를 진행하면 WinPCAP을 사용한다는 말이 나옵니다. 일단 귀찮으니 여전히 패스 -ㅁ-

설치가 진행되다가 이 부분에서 멈춥니다. 그리고 아래의 창이 뜹니다.

설치하면 무슨 Adaptor가 설치됩니다. 모르니 일단 계속 해주고 넘어 갑니다 -ㅁ-

Adaptor가 네트워크였나 봅니다 -ㅁ- 생각치도 못하게 로컬 영역 연결 3이 생겼습니다

일단은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바로 실행할수는 없습니다.
아직 RootFS를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이죠~!

따로 받은 RootFS를 압축해제 합니다. 용량이 4기가 정도 되어서 생각보다 오래 걸립니다.

기본 설치 위치는 C:\Program Files\coLinux 이고, 그 하위에 압축 해제된 FC10 RootFS 디렉토리를 이동시켜 줍니다.

"c:\Program Files\coLinux\colinux-daemon.exe" kernel="C:/Program Files/coLinux/vmlinux" initrd="C:/Program Files/coLinux/initrd.gz" mem=256 cobd0="C:/Program Files/coLinux/FC10/Fedora-10.img" cobd1="C:/Program Files/coLinux/FC10/swap.img" root=/dev/cobd0 eth0=slirp,,tcp:5901:5900 ro
start-Fedora-10.bat 파일의 내용을 위와 같이 수정해 줍니다.

수정된 start-Fedora-10.bat 을 실행시키면 저렇게 리눅스 커널이 부팅됩니다.

리눅스가 실행되면 저렇게 나옵니다.
친절하게도 kde나 gnome을 실행하라는군요!
그래서 gnome을 실행하려니 설치 하랍니다.
installgnome을 치면 설치가 시작됩니다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09. 4. 10. 13:24

좌(텍큐버전) / (티스토리버전)우

문득 뽀대가 난다는 이유로 설치를 해볼까 말까 고민을 하던 차에
mepay님의 블로그에 적용된것을 보고 허헉! 바로 고고싱 했습니다 *-_-*

현재 BLUE'nLIVE 님이 공개하신건 트래픽 걱정없는 버전과 트래픽 걱정있는 버전입니다 (-0-!)
물론 트래픽 걱정없는 티스토리 버전이 글씨도 깔끔하고 부드럽지만,
개인취향인지라 -ㅁ- (거기 돌 드신분 내려셔요!!)

웬지 비트맵을 확대해 놓은 듯한 느낌마저 드는 트래픽 걱정있는 버전(텍큐버전)으로 설치를 했습니다.

흐음.. 샘물체로인해 적당히 끄적여 놓은 느낌이군요 +_+!

[링크 : http://bluenlive.net/491]

'개소리 왈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블로그 방명록은 오스트레일리아다!  (4) 2009.04.11
젠장 바이러스!!  (4) 2009.04.10
RFonlie으로 돌아오라고?  (0) 2009.04.09
알텍랜싱 120i 두개 사용기  (4) 2009.04.09
질렀노라 왔노라 보았노라!  (2) 2009.04.08
Posted by 구차니
메일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내가 부족해서 -ㅁ-
왜 받은 메일의 계정 암호를 알려달라는지는 모르겠지만,
시스템 계정으로 그 사용자로 바꾸어 접속을 하면 되는거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아무튼 내가 문의한 내용은 맞고, 전화 온 곳도 맞은데 이래저래 찝찝한 생각이 드는건 왜일까 -ㅁ-

문의한 내용은 gobizmail 의 전달(forwarding) 기능이 Firefox에서 오작동 한다는 것이었다.
WYSIWYG 편집이가 FCKEditor 같아서 혹시나 해서 페이지 소스를 보니 맞긴한데...
mediawiki와 FCKEditor를 통합하면서 이러한 문제가 없었는데, 유독 여기만 이러는거 보면
구버전이거나 다른 문제가 있나 보다..

아무튼 관리자 메일로 온 편지라 관리자 계정 암호 알려줄수 없다고 버티고 그냥
메일을 그쪽 공단으로 포워딩해주고 땡~



사족 : 아무리 그래도 그렇게 암호 알려달라구 하면 안되지~!
Posted by 구차니
cvs2svn 이라는 유틸리티를 사용하면 된다고 한다.

[발견 : http://sam.zoy.org/writings/programming/svn2cvs.html]
[공식 : http://cvs2svn.tigris.org/]

'프로그램 사용 > Version Contr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의 단점  (0) 2009.05.08
svn 저장소의 위치  (0) 2009.05.08
TortoiseSVN 내장 Diff 사용시 주의사항 및 프로그램 소개  (2) 2009.03.10
CVS / SVN 차이점?  (2) 2009.03.06
SVN 사용기  (0) 2009.03.05
Posted by 구차니
이유는 모르겠지만
리스트를 덮고, 다른 사건들(예를 들면 북한 미사일?)을 덮기 위한
연막공작으로 석면탈크를 잡은게 아닐까라는 생각마저 든다.



잊지말자 장자연 리스트!




Posted by 구차니
(gdb) c
Continuing.
X connection to localhost:11.0 broken (explicit kill or server shutdown).

혹은

xterm Xt error: Can't open display:

라는 에러가 gdb를 기동할때 발생을 한다.
그래서 머하는 넘이지 하고 고심을 하다가
Xming을 설치 하고 X11 forwarding을 설정하고 실행해보았더니 아래와 같은 창이 생긴다.

머하는 놈이지?



이녀석 창이름으로 검색을 해보니 희한한게 걸려 나온다.

CROSSWORKS for MAXQ 라는 것과
debug_printf is an extension provided by CrossWorks C. 라는 내용

[출처 : http://www.rowley.co.uk/documentation/maxq_1_1/hcc_libc_debug_printf.htm]

'프로그램 사용 > gdb &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DB Insight FAQ - support target list  (0) 2009.06.26
insight - GDB GUI frontend  (0) 2009.06.26
gdb야 좀 대충 속아라~ 응?! 아 쫌!  (6) 2009.06.18
gdb 한글 문서  (0) 2009.06.18
sh4-linux-gdb 의 load 명령어  (0) 2009.02.16
Posted by 구차니


Naked CSS day 기념 홀땃 벗겨 놓았더니.. 트랙백과 리플이 저렇게 나온다 -ㅁ-
아무튼 순간 움찔하게 한 저 넘의 0...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