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관련/전기 전자2022. 2. 22. 08:30

아.. 언넝 멀티메터 하나 질르고 싶네 -_ㅠ

 

아무튼 태양전지와 LED는 같은 원리라

태양전지는 빛을 전기로

LED는 전기를 빛으로 만들지만

 

LED에 강한 빛을 쐬어주면 전기로 되는 양방향 소자라고 해야하나.

태양전지에 전기를 흘리면 빛이... 나면 웃기겠는데?

 

[링크 : https://youtu.be/O33cfZBlEDI]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 전원 N/L/  (0) 2022.03.16
ac dc coupling  (0) 2022.02.23
FFT RBW - Resolution Band Width  (0) 2021.12.22
MPPT 컨트롤러  (0) 2021.10.10
인산철 배터리  (0) 2021.10.09
Posted by 구차니

retinex 알고리즘은 어두운 사진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보정해주는 거라고 하는데(CCTV 등?)

내용을 보면 그것과는 좀 다른 느낌?

 

Retinex improves visual rendering of an image when lighting conditions are not good. While our eye can see colors correctly when light is low, cameras and video cams can't manage this well. The MSRCR (MultiScale Retinex with Color Restoration) algorithm, which is at the root of the Retinex filter, is inspired by the eye biological mechanisms to adapt itself to these conditions. Retinex stands for Retina + cortex.

[링크 : https://docs.gimp.org/en/plug-in-retinex.html]

 

Retinex 알고리즘은
칼라의 일관성과 시각적인 개선을 제공하지만, 전역적인 contrast 감소와 후광효과 및 색왜곡 문제를 발생시
키기도 한다

[링크 :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307364424092.pdf]

 

입력 영상에 들어있는 배경 성분을 제거하는 것

[링크 : https://kipl.tistory.com/65]

'이론 관련 > 2D 그래픽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eg 헤더  (0) 2020.12.01
영상처리 관련 링크 기술  (0) 2017.04.19
HDRi / HDRI (High dynamic range imaging)  (0) 2011.04.29
BDF - Bitmap Distribution Format  (0) 2011.04.28
pbm pgm - Netpbm format  (2) 2010.06.09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1. 12. 22. 16:17

FFT에서 얼마나 세밀하게 분석을 하냐의 단위

동일한 파형이라도 RBW가 낮아질수록 원본에 가까운 형태로 볼 수 있는 듯.

 

The resolution bandwidth (RBW) determines the fast-Fourier transform (FFT) bin size, or the smallest frequency that can be resolved.

[링크 : https://zone.ni.com/reference/en-XX/help/372058U-01/nirfsa/resolution_bandwidth/]

 

 

+

2023.07.14

엇.. RBW 계산에 윈도우 타입에 따른 계수가 들어간다고..

kaiser window에서 beta1=16.7일 때 k=2.23 이라는데, k 값이 그러면 amplitude 관련 보정에 대한 그 계수가 아닌가?

Where k is a window-related coeffcient, N is the number of time-domain samples used in the DFT calculation, and Fs is the sampling frequency. For the Kaiser window with beta1 = 16.7, k is about 2.23. The RBW shape factor, defned as the frequency ratio between the spectrum amplitude at 60 dB and 3 dB, is about 4:1. On the RSA5100/6100, the spectrum analysis measurement uses Equation 2 to calculate the required number of samples for the DFT based on the input span and RBW settings.

[링크 : https://download.tek.com/document/37W_17249_6_Fundamentals_of_Real-Time_Spectrum_Analysis1.pdf]

 

 

15p
RBW의 크기에 따라 측정되는 Noise의 크기도 달라짐.
Dynamic Range 확보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RBW가 요구된다.

[링크 : http://ebook.pldworld.com/_eBook/-계측기-/Rohde-Schwarz/board/스펙트럼%20분석기술%20세미나.pdf]

 

+

2023.07.19

팔수록 이상한 용어만 잔뜩 나오냐 ㅠㅠ

RBW = (NENBW * samplerate) / input_length

인데 NENBW는 normalized effective noise bandwidth of the window 라..

RBW - Resolution bandwidth

Resolution bandwidth of the estimate, returned as a scalar.

The resolution bandwidth, RBW, is the smallest positive frequency, or frequency interval, that can be resolved. It is equal to NENBW*SampleRate/L, where L is the input length, and NENBW is the normalized effective noise bandwidth of the window.

The data type of RBW matches the data type of the input.

[링크 : https://kr.mathworks.com/help/dsp/ref/dsp.spectrumestimator.getrbw.html]

 

equivalent noise bandwidth 라는 함수인데..

이건 또 어떻게 구현되는거냐.. normalized가 빠졌는데 동일한건가?

bw = enbw(hamming(1000))
bw = 1.3638

bw = enbw(flattopwin(10000),44.1e3)
bw = 16.6285

[링크 : https://kr.mathworks.com/help/signal/ref/enbw.html]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 dc coupling  (0) 2022.02.23
led 와 solar panel  (0) 2022.02.22
MPPT 컨트롤러  (0) 2021.10.10
인산철 배터리  (0) 2021.10.09
220V 전원  (0) 2021.09.21
Posted by 구차니

대개 물병에 보면 몇 oz / ml 이런식으로 표기해서 oz는 부피 단위 같은데

(다시 찾아보니 무게 단위라고)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Ounce]

 

도대체.. PCB에 뜬금없이 왜 부피가 들어가나 검색을 해보게 됨

 

구리 1oz는 약 28.35g 이라는데

온도에 따른 부피 변화를 또 고려해야 하는건 아니겠지 -ㅁ-

아무튼 그정도 무게의 구리를 펴서 쫘악 바르면

1피트 * 1피트(약 30cm)의 PCB 기반 기분 약 35um 정도 두께로 쫘약 펴면 그 크기가 만들어 진다고

[링크 : https://my-know-how.tistory.com/3]

 

다만 얇으면 얇을수록 흐를 수 있는 전류가 낮아지고

아무래도 얇으면 열을 흡수할 수 있는 매질이 부족해지니, 이래저래 trade-off가 존재할 수 밖에 없을 듯.

게다가 원자재값 상승으로 구리가 비싸지면.. 흐음...

[링크 : https://dailylifetip.tistory.com/entry/PCB-동박두께Base-Copper-clad-관련-요약]

[링크 : https://igotit.tistory.com/entry/PCB-동박-두께-05-온스-1온스-2온스]

Posted by 구차니

RS485는 LSB 부터 전송하게 되는 듯?

일단 예제는 아래와 같은데

[링크 : https://www.best-microcontroller-projects.com/how-rs232-works.html]

 

대문자 J는 0x4A 이고

 

2진수로 계산하면 0b01001010 이고

 

실제로 찍은걸 보면 0이 Low고 1이 High로 매핑되고

LSB 부터니까 01010010 순서고

레벨을 바꾸어서 보면 10101101 인데

start bit 1개 들어가니 110101101 으로 보인다.

오호.. 신기해라(!)

 

'이론 관련 > 네트워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nrz encoding/decoding  (0) 2022.08.24
광 케이블 DAC, AOC  (0) 2022.06.30
EtherCAT - Ethernet for Control Automation Technology  (0) 2021.11.01
WiFi 프로토콜, cipher  (0) 2021.09.27
wake on patern matching  (0) 2021.06.10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 > 네트워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 케이블 DAC, AOC  (0) 2022.06.30
RS485 오실로스코프 파형  (0) 2021.11.04
WiFi 프로토콜, cipher  (0) 2021.09.27
wake on patern matching  (0) 2021.06.10
rs-422  (0) 2021.06.03
Posted by 구차니

current loop <-> 232로 변환이 되는걸 보면 신기하네

전류를 이용해서 0과 1을 구분하게 하고 전송하는 걸려나?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Digital_current_loop_interface]

 

가격이 자비가 없구만 -_-

[링크 : https://www.advantech.co.kr/products/9b61869b-9881-49a5-ae89-43f1437c14d1/bb-232cl9r/mod_aee5aa69-8a42-46eb-8bf8-10df17c4a938]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SLP - Superword Level Parallelism  (0) 2022.06.02
digital twin  (0) 2022.04.13
usb dwc  (0) 2021.09.23
fp16  (0) 2021.05.10
gps 체크섬  (0) 2020.11.17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1. 10. 10. 21:47

태양광 패널 관련해서 찾다보니 이런게 나오네..

PWM 방식도 있긴한데 MPPT가 더 효율이 좋게 최대 전력을 뽑아내주는 듯.

 

일단 솔라패널의 특성상 최대 출력 전압이 있는데

90% 정도의 전압을 뽑아낼 때 최대 전류가 나오는 듯

근데.. 어떻게 전압을 원하는 대로 빼내지?

 

[링크 : https://en.m.wikipedia.org/wiki/Maximum_power_point_tracking]

 

 

 

[링크 : https://blog.naver.com/sipeng/220035371228]

[링크 : https://electronics.stackexchange.com/.../what-is-the-best-way-to-limit-voltage-of-a-solar-panel]

[링크 : https://electronics.stackexchange.com/questions/326271/solar-charging-with-a-super-capacitor-buffer]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d 와 solar panel  (0) 2022.02.22
FFT RBW - Resolution Band Width  (0) 2021.12.22
인산철 배터리  (0) 2021.10.09
220V 전원  (0) 2021.09.21
current loop  (0) 2021.09.02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1. 10. 9. 23:01

리튬계열인데 기존에는 코발트 이런게 들어가서

LiFePO4 를 전극으로 사용하여 희소금속의 사용을 줄이는 배터리

다만 Li-ion의 3.7V보다는 낮은 전압이 걸리고 몇개 묶으면 기존의 납축전지와 동일해서 사용하는 듯.

 

[링크 : https://blog.naver.com/youni0701/221219489064]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FFT RBW - Resolution Band Width  (0) 2021.12.22
MPPT 컨트롤러  (0) 2021.10.10
220V 전원  (0) 2021.09.21
current loop  (0) 2021.09.02
라즈베리 파이 3B+ USB boot  (0) 2021.08.23
Posted by 구차니

WPA2 TKIP/AES는

프로토콜과 알고리즘(cipher) 이라는 두 개의 콤비네이션(!)으로 이뤄진 용어이다.

[링크 : https://www.netmanias.com/ko/post/blog/5376/security-wi-fi/wi-fi-wpa2-aes-ccmp-encryption-algorithm]

 

WPA : WEP 대체용

WPA2 : WPA 대체용

WPA3 : PSK(Pre-Shared Key) with SAE(Simultaneous Authentication of Equals) 대체

 

WPA-Personal = WPA-PSK

WPA-Enterpirse = RADIUS 인증 서버 요청을 필요하는 WPA

WPS = Wi-Fi Protected Setup (버튼 눌러서 암호 입력 없이 사용하는 방법)

 

Encryption protocol

TKIP = 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CCMP = CTR mode with CBC-MAC Protocol, WPA2 에서 사용하는 AES 기반 암호화 기술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Wi-Fi_Protected_Access]

'이론 관련 > 네트워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485 오실로스코프 파형  (0) 2021.11.04
EtherCAT - Ethernet for Control Automation Technology  (0) 2021.11.01
wake on patern matching  (0) 2021.06.10
rs-422  (0) 2021.06.03
FTPS  (0) 2021.02.07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