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vscode2019. 12. 2. 16:22

vscode에서 복사하면

일반 텍스트가 아니라 서식이 들어간 syntax highlight가 된 문장으로 복사가 된다.

그래서 일일이 메모장에 붙여넣어서 서식을 날리는데

그런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찾다보니..

syntax highlight 된 복사 키를 할당하고 할당되지 않는 복사키를 할당하라고 한다.

(기본값으로 crtl-c에 copy with syntax highlight 가 할당되어 있으니)

editor.action.clipboardCopyWithSyntaxHighlightingAction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4461520/how-to-turn-off-copy-with-syntax-highlighting]

 

editor.action.clipboardCopyAction
edtior.action.clipboardCopyWithSyntaxHighlightingAction

[링크 : https://github.com/Microsoft/vscode/issues/21820]

'Microsoft > vs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code git 플러그인  (0) 2020.01.21
python + vscode  (0) 2019.12.13
vscode에서 *로 검색하기 (대신 정규표현식)  (0) 2019.11.09
vscode node.js 디버깅  (0) 2019.08.08
ubuntu에 vscode 설치하기  (0) 2019.05.04
Posted by 구차니

상봉에서 갈아타야하는데

12시 7분 도착

전역에서 2분 연착..

 

4분에 어찌 상봉왔는데(예상보다 1분 늦음)

 

3분내로 가야해서 달리는데

중앙선 환승을 가려는데 셔터가 내려왔다?!

 

7호선 아저씨의  쿨내나는 대응이 압권

찍지말고 1번 출구로 나가서 8번으로 달리세요

 

그렇게 세남자는 달리기 시작했고

중앙선 들어오니 역무원 아저씨와 무임으로 들어와서 딱 마주쳤고

 

무임이 문제가 아니라

"지하철 끝났어요 어디서 오셨어요"

 

다른 달리기 멤버와 난

"덕소행 지금 도착이라는데요 7호선 쪽 막혀서 돌아가라셔 왔어요"

 

언넝 가세요

 

 

아무튼 1분 연착한 덕에 겨우겨우 safe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 무능력합니다  (4) 2019.12.03
생애 첫 볼펜 끝까지 쓰기 성공  (0) 2019.12.03
작업일지 겸 반성문 쓰는데..(?)  (0) 2019.11.30
점점 부족한 것만 보인다.  (0) 2019.11.27
언제나 야근  (0) 2019.11.26
Posted by 구차니
카테고리 없음2019. 12. 1. 13:58

고차원 공간의 표본을 선형연관성이 없는 저차원 공간의 표변으로 변환하는 방법이라고 보면 되나?

(라고 하는데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다..)

[링크 : https://ko.wikipedia.org/wiki/주성분_분석]

 

일단은 통계학 영역의 내용이고

문득 드는 생각이 내가 잘못 기억하는게 아니라면..

SVM(Support Vector Machine)은 차원을 올려서 분류를 용이하게 한다면.. 얘는 그것의 정 반대 접근 방법인 건가?

[링크 : https://darkpgmr.tistory.com/145]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xml2019. 12. 1. 13:50

DOM은 메모리에 다 올리고 한번에 로드해서 여러번 읽는데 유리하다면

SAX는 스트림 파서에 가까워서 쭈욱 읽어 가면서(메모리 적게 사용) 이벤트 방식으로 중간중간 값을 빼내기 불리함

 

dom방식

1. 처음 xml 문서 전체를 메모리에 로드하여 값을 읽습니다.

2. xml 문서 전체가 메모리에 올라가 있으므로  노드 들을 빠르게 검색 하고 데이터의 수정과 구조 변경이 용이 합니다.

3. 호불호가 갈리지만 dom방식으로 xml문서를 핸들링 하는것이 sax방식보다 직관적입니다.

 

sax방식

1. xml 문서를 순차적으로 읽어 내려가며 노드가 열리고 닫히는 부분에서 이벤트가 발생 합니다.

2. xml 문서 전체를 메모리에 올리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량이 적고 단순히 읽기만 할때 빠른 속도를 보입니다.

3. 발생한 이벤트를 핸들링 하여 변수에 저장하고 활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문서의 중간 중간 검색하고 노드를 수정하기가 어렵습니다.

4. dom방식에 비해 구현이 방식이 복잡하고 직관적이지 않습니다.

[링크 : http://stg.etribe.co.kr/2014/08/09/xml-파싱시-dom과-sax의-차이/] 원본으로 추정

[링크 : https://humble.tistory.com/23]

[링크 : https://cache798.blog.me/130009188949]

'Programming > x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xpath exist boolean()  (0) 2019.09.29
xpath 복수개의 attribute 동시에 만족하는 항목 찾기  (0) 2019.09.14
xsd minOccurs, maxOccurs  (0) 2019.09.11
xpath count()  (0) 2019.09.09
xpath xsi  (0) 2019.08.12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