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사용/eclipse2012. 1. 29. 17:07
Windows - Preferences 에서 설정이 가능하며
jdt와 cdt는
언어 - Editor - Syntax Coloring에 설정이 존재한다.



Posted by 구차니
Help - Install New Software에서
필요한 주소를 입력하고 (ubuntu 에서 galilieo로 하고 있으니 난 아래 경로로)
Programming Languages 에서 Eclipse C/C++ Development Tools를 선택한다.


머 이런게 깔린다~ 라는건데 검색어에서 cdt로 때리면 Support 녀석들만 나오니 이래저래 위의 항목에서 선택하는게 유리할듯.


네 감사히 쓰겠습니다 굽신굽신 해주고 다 깔면 이클립스 재시작하면 하면됨.


Window - Open Perspective - Others
에서 C/C++을 추가해주면 끝 



예전의 이클립스는 조낸 하늘을 날아가도록 빠르고 잘 죽어서 싫었는데
이번에 한번 용기를 내서 cdt를 써서 해보니 헐 이건 신세경이야!
소스인사이트 처럼 가져다 대면 미리보기 되고, F3 누르면 이동하고 Alt-왼쪽화살표로 이전 위치로 돌아올수도 있고
내가 소스인사이트에서 사용하는 주요기능 두개는 이걸로 확보!

일단 함수라던가 이런 것들에 대한 syntax highlighting만 찾으면 될 듯하고,
추가로 확인한 코드 포맷을 사용하면 킹짱왕이 될 듯하다.

미안해 netbeans. 나 이제 이클립스가 좋아졌어 ㅠ.ㅠ


[링크 : http://ioriy2k.pe.kr/archives/3620]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12. 1. 28. 22:30
모르는 사람에게 전화가 와서 전화해보니
부재중으로 찍혀서 걸었었다고 하는 경우인데

전화번호 도용으로 하는 케이스 같고
아무튼, 위키트리에 보이스피싱 유형이 있는데 보면서도 헐~ 이정도면 나도 당하겠는데? 싶은 수준들이 많다 -_-

[링크 :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26740]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eclipse2012. 1. 28. 21:32
Project - Properties 에 들어가서


Java Code Style - Formatter 에서 "Enable project specific settings" 를 체크하면 설정이 가능해지는데


이런 세세한 설정을 통해서 전혀 다른 indent와 괄호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적용은 화면에서


프로젝트 별로 설정이 가능하다는게 아쉽다고 해야하나 장점이라고 해야하나. 

[링크 : http://www.ibm.com/developerworks/opensource/library/os-eclipse-clean/index.html]
Posted by 구차니
embeded/Cortex-M3 Ti2012. 1. 27. 19:49
Driverlib 사용하는 방법과 핀을 직접 설정하는 예제비교이다.

원래 stellarisware에는 핀을 직접 설정하는 blinky 라는 예제가 있고
그걸 어떤 분이 driverlib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경한 소스이다.

(물론 작동은 안될지도?)

[링크 : http://e2e.ti.com/support/microcontrollers/stellaris_arm_cortex-m3_microcontroller/f/471/t/123089.aspx]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2. 1. 27. 19:17
딱딱해진다 -_-
당연한건가?




타블렛 펜이 맛이 가서 고무 버리고
수축튜브로 하면 줄어들면서 딱 맞고 눌리겠지~ 하고 했더니
말랑말랑하긴 개뿔 -_- 눌리지도 않어!!!! OTL 



결론 1 : 줄어들면 딱딱해짐
결론 2 : 대개 길이방향으로는 줄어들지 않음. (길이 방향이라 함은 릴에 감긴 방향)
           단 길이방향으로 늘어난 상황에서는 원래길이로 복원됨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산 네트웍스 VoIP 단말기 기본 계정  (0) 2012.02.08
open drain / open collector  (0) 2012.01.31
USB to Parallel 주의사항  (0) 2012.01.27
Intel Turbo Memory Console  (0) 2012.01.26
PC 기반 오실로스코프(USB Oscilloscope)  (2) 2012.01.09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2. 1. 27. 11:30
가끔이라기에는 매우 많은 상품들이
LPT를 추가해주는게 아닌, USB Printer 라는 제품이라는게 문제인데..

winXP 이상에 연결시 LPT가 생기는게 아니라
"USB 인쇄 지원"이라는 걸로 해서 프린터 포트에 USB001 이런식으로 프린터 설정 페이지에서만 보이는 걸로 생긴다.
제품 설명에 보면 뒷면에 프린터 목록이 쭈~욱 적혀 있는 넘은 살때 이 점을 주의해야 할 듯 -_-

대부분인진 모르겠지만, 구매했던 제품은
prolific사의 칩셋을 사용했고, PL-2305 USB to Printer Bridge Controller 라는 칩셋을 사용하며
포트가 패러럴이나 센트로닉스 커넥터로 구성되어 USB to parallel이 라고 팔아먹고 있다 ㅠ.ㅠ

[링크 : http://www.prolific.com.tw/eng/Download-2.asp?ID=17 ]



결론 : USB to Parallel인지 USB to Printer인지 확인하고 사자 ㅠ.ㅠ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 drain / open collector  (0) 2012.01.31
수축튜브는 수축하면 네모가 된다.  (0) 2012.01.27
Intel Turbo Memory Console  (0) 2012.01.26
PC 기반 오실로스코프(USB Oscilloscope)  (2) 2012.01.09
URB  (0) 2012.01.09
Posted by 구차니
embeded/Cortex-M3 Ti2012. 1. 27. 10:53
제목이 모호하지만 기분탓으로 넘기고

일단 H-JTAG
LM Flash Programmer
MDK(KEIL) 을 이용한 플래시 read/write 관련 내용이라고 요약!

H-JTAG LPT를 이용한 READ
주의 : Evaluation board가 hibernate 모드면 못 읽어옴. 보드가 살아있는지 확인할 것!
보충 : USB 로 연결되어도 문제는 없음

Step 1. Settings - USB/LPT Selection - LPT 선택하고
           아래와 같이 장비명이 UNKNOWN에서 CORTEX-M3로 바뀌면 정상인식!


Step 2. F 아이콘 눌러 Flasher를 실행, 칩을 선택한다.
          칩모델은 LUMINARY - LMS1968


Step 3. Ext XTAL은 몰라서 그냥 1Mhz로 찍고(어짜피 1 이하로 입력하면 배쨈 -_-)
           INIT / PGM TCK는 그냥 안전빵으로 125KHz로 설정 


Step 4. 가장 아래의 칩 아이콘 눌러주고(Entire Chip 아이콘) Read를 눌러 파일로 저장!


Step 5. 만약 보드가 hibernate 모드라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읽어옴!


MDK를 이용한 USB 시리얼 JTAG
주의 : 읽어 오는것에 대한 설정은 없음.
보충 : 아직 안써봤음 -_-

Step 1. Stellaris ICDI 로 선택하고 Settings 누르면 


Step 2. 정상적으로 FTDI 드라이버가 설치 되어 있다면, 아래와 같이 Attached Devices에 뜨게 된다.


LM Flash Programmer - USB 를 이용한 ERASE / WRITE
주의 : Evaluation board에 패러럴과 USB JTAG 둘다 연결되면 인식을 못함
보충 : -

Step 1. LM3S1968 Evaluation Board로 설정


Step 2. 위에서 빼낸 bin 파일 선택하고 Program 누르면 3초 정도 내에 구워진 기분?


Step 3. Erase는 1초도 안걸린 기분?
---
2012.1.28 추가
"Upload Flash Contents to a .bin file" 에 파일 이름을 적고 entire Flash를 눌러준후 Upload를 누르면 파일로 저장된다.
---


Step 4. 이건 아직 쓸데 없는듯?


머.. 겁나서 읽어서 쓰기도 손이 덜덜덜 ㅠ.ㅠ
안에 들어있는거 날아가면 어떡해 ㅠ.ㅠ
막 이러면서 쑈함 -_-
Posted by 구차니
Xnote R200 / RB200
[링크 : http://dmall.danawa.com/sale/saleView.php?nSaleSeq=3545711...]

Intel Turbo Memory 2GB pci-ex
[링크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589050110...]

R200과 RB200은 같은거라는데
RB는 Business 모델로 XP가 깔려있다는거 봐서는 Turbo memory는 제거되어 있고
슬롯의 유무가 알수가 없으니 주말에 한번 매장 들러서 보고 구매한 다음에
터보 메모리가 없으면 옥션으로 구매해서 날아다니는 시스템을 한번 구축해 봐야하려나..

근데 show me the money가 좀 필요할 듯 ㅠ.ㅠ 


만약 RB200에 Turbo memory 자체가 설치 불가능 하다면 다음 기회를 노릴수 밖에 ㅠ.ㅠ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닭집으로도 부족한건가 ㅠ.ㅠ  (0) 2012.01.31
공유기랑 공유기  (0) 2012.01.30
... OTL  (0) 2012.01.20
아빠 컴퓨터 맞춰드릴려고 하는데요~  (4) 2012.01.18
인디언식 / 서구식 이름 짓기  (4) 2012.01.10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2. 1. 26. 23:58
터보메모리가 먼지 궁금해서 이제야 검색 ㅠ.ㅠ
아무튼 터보메모리가 설치되면(vista 이상지원) intel turbo memory console 이라는게 있고
그걸 실행해서 readyboost나 readydisk readydrive를 사용하도록 하면 된다고 한다.

아는 사람의 컴퓨터 인데
ReadyDrive는 Enable이고 ReadyBoost는 꺼져있는데 켜고 나서 리부팅하니 두번 리부팅할때 까지는 꽤나 버벅대는듯 -_-


[링크 :  http://www.intel.com/support/chipsets/itm/sb/CS-026012.htm]
[링크 :  http://www.intel.com/support/chipsets/itm/sb/CS-025861.htm
[링크 :  http://www.intel.com/support/chipsets/itm/sb/CS-026004.htm


BIOS에 robson 이 먼가 했는데 이녀석이 intel turbo memory 군 -_-
[링크 :  http://www.notegear.com/...?spage=2&gotopage=&TNum=569&kind=2&SearchString=&Search=]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축튜브는 수축하면 네모가 된다.  (0) 2012.01.27
USB to Parallel 주의사항  (0) 2012.01.27
PC 기반 오실로스코프(USB Oscilloscope)  (2) 2012.01.09
URB  (0) 2012.01.09
LG Recovery의 신기함  (6) 2011.12.25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