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소리 왈왈2012. 1. 20. 14:52
문득 결혼하려면 상대 부모님을 만나야 하고
자네 사는 목적이 먼가~

라는 질문에 무슨 대답을 해야 하나라는 망상(!)에 고민을 해보니


1. 그걸 알면 이러고 있겠습니까?
2. 그걸 알면 이미 죽었겠죠. 목표를 찾아서 이룩했는데 무슨 재미로 사나요
3. 아버님은요?


이런 오만 개드립 시뮬레이션 중 게임이 떠오르는데...





아마도 신이 인간에게 있어 삶의 목표를 히든 퀘스트로 해서 준 이유는
목표가 태어나자 마자 뿅~ 하고 주어지고
그걸 달성하고 나면 의욕저하로 다들 뒈질테니 적당하게 숨겨놓고는 목표를 찾아봐라~ 이러는거 아닐까? 라는 망상 -_-

솔찍히 인생이 퀘스트가 주어지는대로 사는것도 아니고
어떤 목적이나 목표가 주어진다고 하면 그것만 달성하면 전역시켜주지 않는 말년병장의 느낌일것 같은데
오히려 그러한 목적이 숨겨지거나 정해지지 않음으로서
인생의 즐거움을 주려는 창조주의 선물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만약, 정말 노력해서 인생의 목표나 목적을 알아냈고 달성했다면
살아갈 이유나 가치가 있을까? 자살하지 않을까? 


+
만약 찾는다고 해도. 그게 정답인지 알 수 없고
만약 찾는다고 해도, 미련으로 인해 놓칠 수도 있고
만약 찾는다고 해도, 더 좋은게 있을꺼라는 희망으로 놔버릴 수도 있고
결국은 사악한 작가(창조주)의 독자들이 싫어하는 열린 결말? 

'개소리 왈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 피곤  (4) 2012.02.03
보이스피싱 업그레이드~!  (0) 2012.01.28
전국고딩들의 로망 노스페이스!  (0) 2012.01.20
falinux 공개세미나 - arm pc / zeroboot  (0) 2012.01.13
신분당선 비싸 ㅠㅠ  (2) 2012.01.13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컴퓨터2012. 1. 20. 10:55
또 이 펜을 분해하게 될줄이야 -_-
그래도 불행중 다행인건, 완전하게 분해/조립이 되었다는 정도?
 
일단 전체 부품 전개도.
왼쪽 중앙의 녀석이 무게추(?) 인데 5g 정도 나간다. 근데 부러졌으니 버려!!!


전자유도식 타블렛의 핵심부품중 하나인 펜!
가장 앞에 코일이 있고 그걸 버튼인식으로 가고 어떻게 타블렛으로 보내는진 내가 알게 모람~


문제의 부러진 무게추(?) 원래 복원하면 대충 이런 모양인데
이게 무려 4동강이 나서 분해되어 버렸다 -_-


펜 앞부분 오른쪽의 홈에 맞추어서 녹색 기판을 넣어주면 된다.


뒷쪽 펜 부분, 홀이 있긴한데 대충 위치는 맞춰주고 그냥 밀어넣으면 됨 -_-



결론 : 무게도 5g 줄어서 편해지고 돈도 굳고 좋아좋아~

'개소리 왈왈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불안  (2) 2012.02.28
어디까지가 그 컴퓨터일까?  (4) 2012.02.22
Xnote LW20 Express  (4) 2011.09.27
으헝헝 노트북 배터리 단종이라니!!!!  (0) 2011.04.18
배터리야 잘가~  (2) 2011.04.16
Posted by 구차니
embeded/Cortex-M3 Ti2012. 1. 20. 10:40
Atmel avr에만 너무 찌들었나 -_-
cortex m3 관련 구조는 너무 달라서 이리저리 헤매는 중 ㅠ.ㅠ

stellarisware 데모 코드들을 뜯어보고 이리저리 보니
avr이 아래와 같이 ISR() 식으로 정해진 코드로 한다고 한다면
#include <avr/interrupt.h>

ISR(ADC_vect)
{
    // user code here
} 

arm ti cortex m3 는 초기화 코드중 isr_vector 섹션에 들어갈 변수에 함수 포인터를 등록해주는 식으로 구성된다.
말을 쉽게 하자면, 원하는 함수 명으로 대충 void func(void) 식으로 만들고 등록만 해주면 땡~
__attribute__ ((section(".isr_vector")))
void (* const g_pfnVectors[])(void) =
{
    (void (*)(void))((unsigned long)pulStack + sizeof(pulStack)),
                                            // The initial stack pointer
    ResetISR,                               // The reset handler
    NmiSR,                                  // The NMI handler
    FaultISR,                               // The hard fault handler
    IntDefaultHandler,                      // The MPU fault handler
    IntDefaultHandler,                      // The bus fault handler
    IntDefaultHandler,                      // The usage fault handler
    0,                                      // Reserved
    0,                                      // Reserved
    0,                                      // Reserved
    0,                                      // Reserved
    IntDefaultHandler,                      // SVCall handler
    IntDefaultHandler,                      // Debug monitor handler
    0,                                      // Reserved
    IntDefaultHandler,                      // The PendSV handler
    IntDefaultHandler,                      // The SysTick handler
    IntDefaultHandler,                      // GPIO Port A
    IntDefaultHandler,                      // GPIO Port B
    IntDefaultHandler,                      // GPIO Port C
    IntDefaultHandler,                      // GPIO Port D
    IntDefaultHandler,                      // GPIO Port E
    IntDefaultHandler,                      // UART0 Rx and Tx
    IntDefaultHandler,                      // UART1 Rx and Tx
    IntDefaultHandler,                      // SSI0 Rx and Tx
    IntDefaultHandler,                      // I2C0 Master and Slave
    IntDefaultHandler,                      // PWM Fault
    IntDefaultHandler,                      // PWM Generator 0
    IntDefaultHandler,                      // PWM Generator 1
    IntDefaultHandler,                      // PWM Generator 2
    IntDefaultHandler,                      // Quadrature Encoder 0
    IntDefaultHandler,                      // ADC Sequence 0
    IntDefaultHandler,                      // ADC Sequence 1
    IntDefaultHandler,                      // ADC Sequence 2
    IntDefaultHandler,                      // ADC Sequence 3
    WatchdogIntHandler,                     // Watchdog timer
    Timer0IntHandler,                       // Timer 0 subtimer A
    IntDefaultHandler,                      // Timer 0 subtimer B
    Timer1IntHandler,                       // Timer 1 subtimer A
    IntDefaultHandler,                      // Timer 1 subtimer B
    IntDefaultHandler,                      // Timer 2 subtimer A
    IntDefaultHandler,                      // Timer 2 subtimer B
    IntDefaultHandler,                      // Analog Comparator 0
    IntDefaultHandler,                      // Analog Comparator 1
    IntDefaultHandler,                      // Analog Comparator 2
    IntDefaultHandler,                      // System Control (PLL, OSC, BO)
    IntDefaultHandler,                      // FLASH Control
    IntDefaultHandler,                      // GPIO Port F
    IntDefaultHandler,                      // GPIO Port G
    IntDefaultHandler,                      // GPIO Port H
    IntDefaultHandler,                      // UART2 Rx and Tx
    IntDefaultHandler,                      // SSI1 Rx and Tx
    IntDefaultHandler,                      // Timer 3 subtimer A
    IntDefaultHandler,                      // Timer 3 subtimer B
    IntDefaultHandler,                      // I2C1 Master and Slave
    IntDefaultHandler,                      // Quadrature Encoder 1
    IntDefaultHandler,                      // CAN0
    IntDefaultHandler,                      // CAN1
    IntDefaultHandler,                      // CAN2
    IntDefaultHandler,                      // Ethernet
    IntDefaultHandler                       // Hibernate
}; 

void
ResetISR(void)
{
    //
    // Jump to the CCS C Initialization Routine.
    //
    __asm("    .global _c_int00\n"
          "    b.w     _c_int00");
}

static void
IntDefaultHandler(void)
{
    //
    // Go into an infinite loop.
    //
    while(1)
    {
    }
} 

[링크 : http://e2e.ti.com/support/microcontrollers/stellaris_arm_cortex-m3_microcontroller/f/471/t/85136.aspx#294202]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12. 1. 20. 08:52
카피문구가 손이 오그라드는 수준이...
편강탕을 능가하는데?


Posted by 구차니
부제 : 아류ㅗ갸더ㅜㄹ혼야자ㅡ유쳐ㅓ링

출근길에 타블렛펜을 놓쳤고 경쾌한 타격음
"탁!"
주워드니 먼가 덜그럭 거리는 소리..
괜찮겠지? 하고 우클릭을 하는데... 읭?
안된다 -_-!!!!

펜을 살까? 8만원인데 으아아
나 초긴축재정인데 ㅠㅠ
일주일전 테스트한 갤노트 펜을 사야하나?
사면 어디에 넣고 다니지? 으아앙

정신줄 유체이탈중 ㅠㅠ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기랑 공유기  (0) 2012.01.30
지를까 말까?  (2) 2012.01.27
아빠 컴퓨터 맞춰드릴려고 하는데요~  (4) 2012.01.18
인디언식 / 서구식 이름 짓기  (4) 2012.01.10
아 출근하기 싫다  (2) 2012.01.08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2. 1. 19. 19:16
라우팅 관련해서 보다 보니 먼가 익숙하면서도 기억에 없는 녀석이 떡~하고 나타나서 찾아보니
zeroconf 관련 대역이라고 한다.

[링크 :  http://my.oops.org/111

$ ip rule show
0:      from all lookup local
32766:  from all lookup main
32767:  from all lookup default

$ ip route show
192.168.10.0/24 dev eth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10.10  metric 1
169.254.0.0/16 dev eth0  scope link  metric 1000
default via 192.168.10.1 dev eth0  proto static 

다시 살아난(!) 위키에서 검색하니 Link-Local 용으로 RFC 3927에 정의된 녀석이라...

Reserved address blocks
CIDR address blockDescriptionReference
0.0.0.0/8 Current network (only valid as source address) RFC 1700
10.0.0.0/8 Private network RFC 1918
127.0.0.0/8 Loopback RFC 5735
169.254.0.0/16 Link-Local RFC 3927
172.16.0.0/12 Private network RFC 1918
192.0.0.0/24 Reserved (IANA) RFC 5735
192.0.2.0/24 TEST-NET-1, Documentation and example code RFC 5735
192.88.99.0/24 IPv6 to IPv4 relay RFC 3068
192.168.0.0/16 Private network RFC 1918
198.18.0.0/15 Network benchmark tests RFC 2544
198.51.100.0/24 TEST-NET-2, Documentation and examples RFC 5737
203.0.113.0/24 TEST-NET-3, Documentation and examples RFC 5737
224.0.0.0/4 Multicasts (former Class D network) RFC 3171
240.0.0.0/4 Reserved (former Class E network) RFC 1700
255.255.255.255 Broadcast RFC 919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IPv4#Special-use_addresses]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2. 1. 18. 23:46
집에서 사용하는 케이블 모뎀과 핸드폰의 테터링을 이용해서 동시에 해볼려고 했는데 영 안되네 -_-


공유기를 쓰므로 eth0(유선)은 192.168.0.1
테터링은 eth1(무선) 192.168.1.1 로 연결되는데

$ sudo ip route add default scope global nexthop via 192.168.0.1 dev eth0 weight 1 nexthop via 192.168.1.1 dev eth1 weight 1
RTNETLINK answers: File exists  
이런 에러를 뱉는다. -_-

Did you try to remove the old default gw? 
ip route del default ... 
And add your multipath route with several nexthops sfter that.

[링크 : http://www.debian-administration.org/articles/377
찾아보니 ip route del default 명령과 추가를 하라는데. 추가는 몰라서

$ ip route del default  
로 삭제만 하니 일단 외부로 보내려고 시도는 하지만 영안되는듯 -_-

아무튼, 위의 명령어를 수행하고 나니 아래처럼 default가 두줄로 나오는 신기한 현상!
$ ip route show
192.168.1.0/24 dev eth1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1.148  metric 2 
192.168.0.0/24 dev eth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0.154  metric 1 
169.254.0.0/16 dev eth0  scope link  metric 1000 
default via 192.168.0.1 dev eth0  proto static 
 
$ ip route show
192.168.1.0/24 dev eth1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1.148  metric 2
192.168.0.0/24 dev eth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0.154  metric 1
192.168.10.0/24 dev eth2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10.2
169.254.0.0/16 dev eth0  scope link  metric 1000
default
        nexthop via 192.168.0.1  dev eth0 weight 1
        nexthop via 192.168.1.1  dev eth1 weight 1 

[링크 : http://www.linuxhorizon.ro/iproute2.html]
2011/12/17 - [Linux/Ubuntu] - 여러개의 업링크 / 인터넷 업체를 사용할 경우 라우팅 설정하기 



----
2012.1.20

connection timed out이 뜨는데 왜그런걸까.. rule이 문제일까.. iptable의 문제일까?
[링크 : http://www.linuxquestions.org/.../mail-sending-problem-%96-postfix-connection-timed-out-port-25-a-713108/]
[링크 :  http://wiki.mikrotik.com/wiki/Manual:IP/Route


---
2012.1.21
혹시나 해서 /etc/iproute2/rt_tables 에 추가하고 나서
해당 테이블 별로 default 설정을 해주고 나서 테이블 별로 룰을 추가해주니
connection timed out도 안뜨고 잘되는데

# ip route add default via 192.168.0.1 dev eth0 table CABLE
# ip rule add from 192.168.0.1/24 table CABLE

# ip route add default via 192.168.1.1 dev eth1 table CELLPHONE
# ip rule add from 192.168.1.1/24 table CELLPHONE 

아직까지는 확인은 해봐야겠지만, Round-Robin처럼 작동하는 기분?

$ dstat -n -N eth0,eth1,total 

명령을 해 놓고 나오는 결과를 보고 있노라면
두개를 동시에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한다고 해도 몰빵을 해주는 경향을 보인다.
단지, 어려개 탭을 띄워놓거나, 다운로드는 동시에 여러개 하지 않는 이상에는 대역폭이 합쳐지지 않고
단순하게 multiple gateway를 순차적으로 쓰는 것으로 보인다.

link aggregation을 하지 않아서 그러려나?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eclipse2012. 1. 18. 23:06
호기심이 화근인데 -_-


"Always run in background"를 눌렀다가 복구할 방법이 없었는데
Windows - Preferences 에서
General의 "Always run in background"를 꺼주면 된다는데 내일 테스트 해봐야지 ㅠ.ㅠ


[링크 : http://www.eclipse.org/forums/index.php?t=msg&th=33137/]

---
2012.1.19
오~ 된다 된다! 
Posted by 구차니
embeded/AVR (ATmega,ATtiny)2012. 1. 18. 21:31
Atmega128 에 내장된 녀석은 ADC 뿐이며 그것도 10bit 밖에 안된다.


윈도우 녹음기에서 미리설정된 "전화 음질"만 해도 16bit 모노이다 -_-


일단 AVR에서 FFT 연산이 거의 실시간에 가능하다고 해도
전화 음질만도 못한 녀석이어서는 좀.. 안습?

[링크 : http://www.micombox.com/index.php?document_srl=223459]

    [링크 : http://elm-chan.org/works/akilcd/report_e.html] << 아무튼 FFT + LCD 예제

[링크 : http://www.jjj.de/fft/fftpage.html]

인터넷 찾아보니, MAX195 / MAX542 라는 외부 ADC/  DAC 를 구매해서 했다는데
가격을 찾아보니 이거머.... ADC야 만원 미만이지만 DAC는 5만원 정도 -_-
I've used MAX195 as ADC and MAX542 as DAC. Sampling frequency is 24kHz
[링크 : http://www.youtube.com/watch?v=BNmr3Sd7UZc]  



머.. 간단하고 성급하게 결론을 내리자면 AVR에 내장된 ADC로는 조금 많이 아쉬운 성능.
그리고 DAC는 드럽게 비싸니 이 프로젝트는 심각히 고심을 -_-

---
ATxmega 시리즈에는 12bit ADC / DAC가 내장되어 있다.
12bit가 충분하다면 ATxmega 칩도 고려 해볼만 할 듯 

'embeded > AVR (ATmega,ATtin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R ATmega128 i2c  (0) 2012.02.20
AVR ISP 핀 순서  (0) 2012.01.22
AVR TWI 예제  (0) 2012.01.11
AVR EEPROM / CODE section 관련  (0) 2012.01.03
AVR ATmega용 JTAG과 AVR32 호환성?  (0) 2011.12.29
Posted by 구차니
라는 글을 보면은...

어째.. 견적이 좀 저렴한 느낌?
자기가 쓸려는 것에 비해서는 일단 싸게 싸게 하려는 느낌이고
머.. 솔찍히 게임을 안하면 저사양이면 된다고는 하지만
착하긴 착한데 착한게 아닌거 같은 그런 기묘한 느낌이 든다고 해야하나?



머 나도 언젠가는 컴터부품 신경 놔버리고 대충 살겠지만 (아니 이미 그러고 있는거 아니었나?)
나중에 내가 결혼해서 자식이 컴터 맞춰준다고 하면
이런걸 보면서 좋아해야 하려나 싫어해야 하려나?


나도 좋은거 사줘!!! 이럴까? ㅋ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를까 말까?  (2) 2012.01.27
... OTL  (0) 2012.01.20
인디언식 / 서구식 이름 짓기  (4) 2012.01.10
아 출근하기 싫다  (2) 2012.01.08
아 힘들다  (4) 2012.01.05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