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ded/Cortex-M4 Ti2016. 11. 1. 11:04

예전에는 다른거(timer라던가 uart라던가) 초기화 다 하고

hibernate 모듈을 해주어도 부팅이 문제가 없었는데

tm4c 되면서 그런가.. 안켜짐!


아무튼 초기화 루틴중 hibernate 쪽을 가장 앞으로 놓고

SysCtlPeripheralEnable(SYSCTL_PERIPH_HIBERNATE);

if(HibernateIsActive())

{

    HibernateIntClear(HibernateIntStatus(0));

return;


이렇게 처리해주니 일단 부팅은 정상적으로 잘 진행된다.

(몇번 껏다 켜야 겨우 부팅이 되었음)

'embeded > Cortex-M4 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tm4c rtc trim...  (0) 2016.11.23
tm4c rtc 빨라...  (0) 2016.11.02
32.768kHz 크리스탈과 1Mohm 저항 유무에 따른 파형 차이  (0) 2016.10.28
tm4c FIFO 길이  (0) 2016.10.26
tm4c hibernate module oscillator 관련  (0) 2016.10.26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6. 10. 31. 16:38

예전에 eMMC 어댑터를 이용해서 rpi에 연결했을때

깜박이지도 않았는데

SD.CARD.DET 핀 자체가 탐지되지 않으면 SD가 없는걸로 간주하고 배째는게 아닐까 싶은데

(그러니까 핀인식이 안되면 SD 읽을 시도조차 하지 않음?)

나중에 머라도 덧대서 한번 다시 시도는 해봐야 할 듯?



[링크 : https://www.raspberrypi.org/.../Raspberry-Pi-Rev-2.0-Model-AB-Schematics.pdf]

[링크 : http://electronics.stackexchange.com/.../how-can-i-hardware-protect-a-microsd-from-writing-to]


Check the ACT LED to determine if the Pi is booting

The ACT LED is essential in determining if the Pi can actually read from the card. It indicates that it can read from the card by blinking, If the ACT LED doesn't blink quickly in an irregular pattern for at least twenty seconds, this indicates that the Pi cannot read from the SD card, and that booting is not taking place. By the way, It doesn't matter if the ACT LED initially starts on or off. It is only the blinking of the ACT LED that is significant. A dim ACT LED also has no significance beyond the fact that you are using a B. From the model B+ onwards, the LED is driven differently, and it wont be dim.


With no SD card inserted, note how the ACT LED behaves (hint, it won't blink!). Now insert a programmed card and that behaviour should change. If it does not, this indicates that Pi cannot see the necessary files on the SD card. For a demonstration, watch this video of a model B: the ACT LED is the one on the left-hand side. Note that on later models the ACT LED will start on on power up, instead as off like the model B. 


With working firmware, Meaning the PI can read files from the card, the ACT LED will flicker intermittently for 20-30 seconds. The LED is actually driven by the software read from the card using a dedicated GPIO pin turning it on whenever the card is read. It can also blink in a regular "Morse" pattern, which usually indicates an error condition. See the Additional Information section at the end of this post for details.  


[링크 : https://www.raspberrypi.org/forums/viewtopic.php?t=58151]

Posted by 구차니

오늘 용문사 다녀왔는데..

잠시 지호를 옆에 두고 먹을껄 계산하는 동안

다른데서 지호를 찍는 남자 발견

핸드폰으로 찍고 있는데

이거 막아야 하나 말아야 하나 먼가 꽁기꽁기 한데


미안한 제스쳐와 무지 귀여워 하는 표정으로 그냥 고개만 끄덕이고 와버리게 되긴했는데

찍게 하고 나서 이 찜찜함은 왜일까....




+

똥강아지 손이 차가워서 손 잡아 주니 손 팽개치고

허벅이 아래 손넣고 있음 ㅋㅋㅋㅋ


'개소리 왈왈 > 사진과 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 그리고 나들이(흑백 사진)  (0) 2017.02.16
EOS M 1년 남짓한 컷수..  (0) 2017.02.16
굿바이 USB 케이블  (0) 2016.10.17
쌍무지개  (0) 2016.08.29
장노출 테스트 - 자동차 궤적사진  (0) 2016.08.13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16. 10. 29. 22:47

저번에 X 시작 제대로 안된거

아무래도.. 용량 부족해서

패키지 깔다가 오류 난듯 -_-


원인은.. 언어팩 설치 하면서 gimp랑 libreoffice쪽 언어팩이 용량 왕창 잡아 먹은거..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odroid fb Driver  (0) 2016.11.03
odroid u3 - mali 400  (0) 2016.11.02
X 시작을 못하는 이유..2  (0) 2016.10.25
X 시작을 못하는 이유..?  (0) 2016.10.24
odroid에서 blender 재시도.. 실패 -_-  (0) 2016.10.23
Posted by 구차니
embeded/Cortex-M4 Ti2016. 10. 28. 09:23

4.19MHz에서는 1Mohm 문제 없었는데

32.768kHz에서는 아래와 같이 파형이 완전 차이가 난다.


흰색(ref)가 32.768k + 1Mohm

노란색이 32.768k + 저항없음



결론 : lm3s1607 -> tm4c123 마이그레이션 중 hibernate module 클럭에서 저항은 빠져야 함


+

lm3s1607 데이터 시트상 회로

X1에 평행하게 RL이 존재하는데 저항 용량은 알아서?


tm4c1231e6pm 데이터 시트상 회로

X1에 평행한 RL이 사라졌다.

LM3S devices support a 4.194304-MHz crystal. This crystal is not supported for TM4C devices,
however a 32.768-kHz crystal is supported. In addition, an external load resistor is not required
  

[원본 : spma049a.pdf]

'embeded > Cortex-M4 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tm4c rtc 빨라...  (0) 2016.11.02
tm4c hibernate module 초기화 관련..  (0) 2016.11.01
tm4c FIFO 길이  (0) 2016.10.26
tm4c hibernate module oscillator 관련  (0) 2016.10.26
tm4c 비교표  (0) 2016.10.26
Posted by 구차니

참 오랫만인데


오랫만에 반가운 게임이네

그런데 내가 이거 해본적이 있던가?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6. 10. 26. 19:28

캐패시터를 통과하면 phase가 늦어지고(sine 파를 기준으로 하니)

(다르게 보면 충전하면서 충전하는 시간 만큼 늦어짐)


저항을 통과하면 저항으로 인해 최대값은 낮아져도 조금더 빨리 신호가 전송된다. 인가?


Usually something like a high-value bias resistor is supplied internally for a Pierce oscillator configuration typically used on IC crystal oscillators

[링크 : http://electronics.stackexchange.com/questions/105335/load-resistor-across-crystal]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Pierce_oscillator] 피어스 오실레이터


we had to place a 10M Ohm phase shifting resistor in parallel with the crystal.

[링크 : http://www.avrfreaks.net/forum/1-meg-load-resistor-across-crystal]


직렬로 연결된 RC회로에 전압을 정현파로 인가하면, 저항의 전압 Vr이 전원전압 Vs 보다 앞서서 나타나고, 캐패시터의 전압 Vc은 전원전압 Vs보다 뒤져서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류가 Vs보다 앞서서 나타나는 현상도 관찰할 수 있는데요. 이런 위상차이를 고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링크 : http://pinkwink.kr/246]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스탈 정밀도 - PPM  (0) 2016.11.23
자전거 속도계 센서 - 리드 스위치  (0) 2016.11.23
Load Capacitor - CL  (0) 2016.10.26
NTSC, PAL, CVBS  (0) 2016.05.25
bayer 포맷 출력...?  (0) 2016.04.14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6. 10. 26. 19:21

간단하게 맞추는게 가장 좋은게 CL 이지만

CL 양에 따라 클럭이 늦어지고 빨라진다고 하니.. 의외로 중요한거였네?!?!


크리스탈을 사용하더라도,

기본적으로 LRC 회로를 통해서 동등한 회로를 구성하고

회로 전체의 capacitance를 계산해서

외부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양으로 맞춰줘야

의도한 클럭이 발진된다.

인가?



v.  Load capacitance가 주파수에 미치는 영향

CL 을 계산했을 때 XTAL의 load capacitance 보다 크면: 느려진다.

CL 을 계산했을 때 XTAL의 load capacitance 보다 작으면: 빨라진다.

CL 을 계산했을 때 XTAL의 load capacitance 과 일치하면: 정확하다.

즉, XTAL 외부에 연결된 모든 capacitance의 합이 XTAL spec과 일치해야 정확한 주파수로 발진이 되며, 더 큰 값을 연결하면 느려지고, 더 작은 값을 연결하면 빨라진다.


[링크 : http://blog.naver.com/subbylife/80065226362]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전거 속도계 센서 - 리드 스위치  (0) 2016.11.23
27MHz에 1Mohm 저항을 왜 달까?  (2) 2016.10.26
NTSC, PAL, CVBS  (0) 2016.05.25
bayer 포맷 출력...?  (0) 2016.04.14
패럿(farad) / 암페어(ampere) 변환  (0) 2016.04.14
Posted by 구차니
embeded/Cortex-M4 Ti2016. 10. 26. 18:10

기본값은

RX 0x02

TX 0x10


라이브러리에서 확인하면

#define UART_FIFO_TX4_8         0x00000002  // Transmit interrupt at 1/2 Full

#define UART_FIFO_RX4_8         0x00000010  // Receive interrupt at 1/2 Full


1/2이 차면 한번씩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게 되어 있다.

Posted by 구차니
embeded/Cortex-M4 Ti2016. 10. 26. 17:17




main clk

0~2.6V


hibernate clk

0.5~1.2v


문제 없어야 하는거 아닌가?

~HIB도 계속 high도 도대체 머가 문제지.. ㅠㅠ


+


[링크 : http://www.ti.com/lit/an/spma065/spma065.pdf]


the problem is resolved. the 1Mresistor is just the problem. thanks very much! regarding this problem, your answer is the best answer i have see in this forum.

[링크 : https://e2e.ti.com/support/microcontrollers/tiva_arm/f/908/t/385581]


+

아마도.. lm3s1607에서 4.1MHz 클럭을 쓰면서 1Mohm 저항을 달아서 섰는데

그걸 그대로 사용해서 그런걸지도?


+

2016.11.01

1M 저항 달아서 발진이 억눌리면서 안된 문제였음 -_-

'embeded > Cortex-M4 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768kHz 크리스탈과 1Mohm 저항 유무에 따른 파형 차이  (0) 2016.10.28
tm4c FIFO 길이  (0) 2016.10.26
tm4c 비교표  (0) 2016.10.26
tm4c HibernateEnableExpClk() 차이점  (0) 2016.10.22
tm4c ..어라? hibernate...  (0) 2016.10.20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