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Office2010. 12. 27. 13:28
매번 문서에서 색상으로 바꾸어 표기하는것도 귀찮고,
예전에 이런 기능이 추가되었다는 건 들은것 같은데 흐음.. 하고는 그냥 F1 검색 고고 했더니
나와서 이리저리 써봤지만, svn 등의 버전 관리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이랑은 미묘하게 다른 느낌이다.

검토 탭의 "변경 내용 추적"을 눌러야 이 기능이 활성화 된다.
기본값으로 사용시에는 다시 실행하면 꺼져있으니 주의!

변경 내용은 검토창을 눌러서 

이런창에서 내용을 보면된다.

사용자는 오피스를 설치시에 입력한 사용자 이름이 뜨게 되고,
다른 컴퓨에서 작업하면 그 이름으로 이력이 남게 된다.

하지만 동일 사용자 이름으로 돌아왔을때
삽입됨은 존재하지만, "삭제됨"은 존재하지 않고, 삽입된 내용만 내용이 줄은채로 표시된다. 

도움말에서는 삭제됨이 따로 존재하는데 어떻게 한거지?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10. 12. 26. 16:27
살려고 링크 적어 놓기 귀찮기도 하고
이래저래 지를려고 목록을 작성해놓으면
2일 이내에는 물품이 사라지는 이 현상은...


내가 지르지 못해 미치는걸 보고 싶어하는 누군가의 소행 아닐려나? -_-
덕분에 점점 지름의 금액이 커지는 느낌인데....



OTL

'개소리 왈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boot  (4) 2011.01.02
냉기 보호막 +1 ?  (2) 2010.12.28
내년 지름목록!  (0) 2010.12.22
돈과 시간과 효용 + 지름신  (6) 2010.12.19
아아 인간이란  (8) 2010.12.06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블로그2010. 12. 25. 19:51
느려터진 Firefox를 버리냐 마냐의 기로에서 고민중인데 아놔
내 블로그를 영어로 인식하는 이런 센스!


나더로 어쩌라구, 구글 잊지않겠다 -_-

'개소리 왈왈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메인 메일과 연결하기  (2) 2011.06.09
계륵  (2) 2011.06.09
크롬이 불여우를 제끼다  (8) 2010.12.21
2000번 글 돌파기념?  (2) 2010.09.15
티스토리 에디터 간단하게 링크 걸기  (4) 2010.09.09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0. 12. 25. 12:18
예전부터 봐오던 넘이지만, 약자도 모르고 그냥 머하는 넘일지만 추측만 했지 찾아볼 생각도 안한녀석 -_-
아무튼 32bit 버전으로 태어난 winXP 계열에서 16bit 호환을 위해 사용하는 녀석이라
win95 시절의 16bit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실행할때 보면
프로세스 트리가

wowexec.exe
     setup.exe

이런식으로 생성이 된다.

약어는 아래 에서 처럼 두가지가 가장 많이 쓰이는 듯하다.
Windows on Windows Executable environment process, or more specifically Win16 on Win32 - it runs on Windows NT4/2000/XP/2003. WOWEXEC is started by NTVDM. As explained elsewhere on these pages, NTVDM is itself started every time you run a 16-bit program (this may be a DOS program, a Windows 3.1 program, or even a program designed for Windows 9x/NT4 but which has a mixture of 16-bit and 32-bit programming code).

[링크 : http://searchtasks.answersthatwork.com/tasklist.php?File=WOWExec]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6  (2) 2011.01.21
windows 7/vista 잘못된 EDID 바로잡기  (2) 2011.01.07
win7에 이런 기능이?  (0) 2010.12.11
IE에서 FTP 접속이 안될경우  (4) 2010.11.10
windows7 과 WinXP 파일 공유  (7) 2010.10.21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12. 24. 18:20
중고라서 많이 떨어질줄 알았는데
헐 -_- 지금 사용중인 4200+ 따위는 발라버리네

CPU Name                                             Passmark CPU Mark(higher is better)
AMD Athlon 64 X2 Dual Core 4200+            1152
[Dual CPU] Dual Core AMD Opteron 270    2312

[링크 : http://www.cpubenchmark.net/cpu_list.php]


2010.12.25 추가
지금보니 듀얼 코어 옵테론 270 x 2와 듀얼코어 4200+ 하나의 속도 비교이니
실질적인 성능은 거의 동등하다고 보여진다.

가격대비 중고로 사는것 치고는 나쁘지 않은듯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yland에서 파생된 잡다한 용어들  (0) 2011.02.06
리니어 / 스위칭 어댑터  (6) 2011.01.30
Fiber Optic  (0) 2010.12.11
PCI-X  (0) 2010.12.05
mips, powerPC  (0) 2010.12.02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wiki2010. 12. 23. 13:23
기본적으로 위키에는 이미지 파일만 올릴수 있게 되어있다.
pdf 나 exe 등을 올리고 싶다면 아래의 도움말을 따라하면 된다.

추가적인 확장자 파일을 업로드 허용하려면?

$wgFileExtensions 설정을 변경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 LocalSettings.php 파일 안에 있습니다.
예를들어, LocalSettings.php 파일을 수정해서, PDF 파일을 업로드 허용할 수 있습니다:

$wgFileExtensions[] = 'pdf';

png, gif, jpg, jpeg, pdf, txt 파일을 업로드 허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

$wgFileExtensions = array( 'png', 'gif', 'jpg', 'jpeg', 'pdf', 'txt');

[링크 : http://www.mediawiki.org/wiki/Manual:FAQ/ko]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0. 12. 23. 00:34
사용중인 허브에서 VLAN 기능이 있는데, 하나의 허브를 여러개로 쪼개는 역활을 한다.
랜카드에서도 VLAN 기능이 존재하는데 가상 랜카드를 생성하는데 무슨차이인지는 일단 다음에 공부가 필요할듯하다.

일단 VLAN 1 을 다음과 같이 설정해서
1번 포트는 공유기 25, 26 번은 임의의 포트를 Untagged로 설정하였다.
즉, VLAN 1에서는 2번에서 24번까지만 할당이 되고 1,25,26 번은 제외된다.


그리고 VLAN 2를 다음과 같이
1번 25, 26 번만 Tagged(사용) 하고, 나머지는 VLAN1에 속하게 Untagged(VLAN 2로 할당하지 않음) 하였다.

그랬더니, 4번 포트에 꼽혀있던 내 컴퓨터 랜선은
인터넷이 끊어지고, 관리용 허브 웹페이지에도 접속이 되지 않았다 -_-

부랴부랴 다른 포트로 옮기고 1번 포트의 선도 다른 번호로 옮기니(VLAN 1으로 사용하도록)
그제서야 인터넷도 되고, 관리용 웹페이지에도 접속이 된다.

문득 떠오르는 메뉴얼..


주의 : 최소 하나의 포트는 VLAN1(관리용 VLAN)의 untagged 멤버가 되어야 한다. 만약에 모든 포트를 VLAN 1이 아닌 다른 VLAN으로 접속하도록 설정하였다면, 더 이상 웹 인터페이스로 접속하지 못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되면, 공장 초기화로 스위칭 허브를 초기화 할 필요가 생길것이다.
기본적으로, 모든 포트는 VLAN1에 untagged 멤버로 속해있다. 하지만 그것들은 복수의 VLAN에 tagged 멤버로 속할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생성된 VLAN은 아무런 포트도 속하지 않은채 초기화 될 수 있다.

흐음.. 아무튼 tagged와 untagged의 차이가 무엇인지 그리고 Not a member와의 차이점을 찾아봐야할듯하다.


일단 아래 링크의 51page의 삽화
L2 계층에서 원격지의 다른 허브와 함께 가상랜을 구축할 수 있다.
(어쩌면 랜카드 측의 VLAN은 tagged frame을 전송하여 특정 포트가 아닌 프레임의 VLAN 태그를 인식하여
몇번 VLAN 데이터로 인지하여 자동으로 broadcast 영역을 설정해주는게 아닐까 생각된다.)

[링크 : http://h20000.www2.hp.com/bc/docs/support/SupportManual/c02586145.pdf]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Mantis2010. 12. 22. 23:56
맨티스에서는 전역변수로 전체 기본 언어를 고르는것은 있지만
사용자별 언어를 고르는것에 대한 도움말을 찾아 볼수 없었다.
(머 귀찮아서 못찾았거나, 내가 쓰는 키워드가 다를지도 모르지만)

아무튼, 메뉴를 뒤지다 보니
계정 관리 - 설정상태 변경 - 언어 에서 개인별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있다.

현재로서는 로그인 시에 언어를 택하는 방법은 없는듯?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10. 12. 22. 17:43
내년까지 안팔리고 있을지 모르겠지만

이번달에 17만원 네트워크 장비로 나갔고
다음달에는 안팔리고 있다는 가정하에 대략 21만원 나갈예정?!

[링크 : http://dmall.danawa.com/sale/saleView.php?nSaleSeq=2871273] cpu는 마음에 안들지만
[링크 : http://dmall.danawa.com/sale/saleView.php?nSaleSeq=2798529] 요걸로 교체하고
[링크 : http://dmall.danawa.com/sale/saleView.php?nSaleSeq=2852335] 이걸 통해서 RAID 정식으로 돌리고?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AMD_Opteron_microprocessors]
[링크 : http://www.tyan.com/product_board_detail.aspx?pid=127]



인생이 구리구리 해서 항상 중고장비만 사는것도 있지만,
그래도 저렴한 가격에 쉽게 접해보지 못하는 특수장비(?)를 만져보는 재미도 쏠쏠하니 나쁘지는 않을듯
머.. 성능대비 전력은 회사전기로 만족?! ㅋㅋㅋ


아무튼 오랫동안 날 괴롭혀 오던
모니터는 너무 고해상도라 의외로 쓸모가 없어 보이고,
그래픽 카드는 또 다시 캐패시터가 배불러 와서 8800으로 가야하나 이런 고민을 때리게 하는중 -_-

'개소리 왈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기 보호막 +1 ?  (2) 2010.12.28
내 머리속에 도청장치가 있는것 같아!  (4) 2010.12.26
돈과 시간과 효용 + 지름신  (6) 2010.12.19
아아 인간이란  (8) 2010.12.06
헉헉 내 블로그 살아난건가?!  (2) 2010.11.30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0. 12. 22. 00:28
8600GT PCI-Ex 그래픽 카드와
Intel PRO/100+ PCI 랜 카드와
Intel PRO/1000MT Dual Port Server Adaptor PCI-X 랜 카드의 크기비교!

PCI-X는 PCI에 비해서 한줄이 더 있다.
크기는 일단 PCI-Ex와 거의 동일 -_-


아무튼 꼽고 켜면 이런 메시지가 뜬다.
서버라면서 장치명은 왜 Network Connection 이야!? 라고 투덜투덜

그냥 장치검색이 되서 추가하려고 하면 드라이버를 못 찾으므로
Intel Proset 드라이버가 이미 설치되어 있다면 삭제 후 다시 설치를 해주어야 자동으로 드라이버를 잡는다.

역시나.. SNMP는 안되는군 ㅠ.ㅠ
이라고 좌절하며 아래를 보니 윈도우에서 추가하셈~ 이라고 날려주는 센스 -_-

아무튼 장치가 설치되면 아래와 같이 Dual Port 답게(?)
하나의 랜카드가 두개의 장치로 인식이 되어 두개의 장비가 뜨게 된다.

물론 네트워크 연결에도 로컬 연결이 2개가 더 추가된다.


전에는 하려다가 안되었던 팀 구성 메뉴
오오 된다!!!


"새로운 팀"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다이얼로그가 뜬다. 머 모르면 일단 엔터 고고싱

음.. 예전에 읽은걸로는 목록에 뜨면 묶을수 있다고 했는데
내장랜카드인 Nvidia nForce GbE도 목록에 떴다! 오오오! (젠장 -_- 기가비트 허브를 새로 사야하나?)

일단 모르니까 대충 아무거나 골라잡고

마침을 누르면

가상 랜카드인 "팀:팀 번호0" 이 추가되고 등록정보 창이 뜬다.
나의 경우에는 중간에 기가비트를 위한 점보프레임이 지원하지 않는다고 다른 랜카드도 무시한다고 떴었다.
(Intel Pro/100+는 Fast Ethernet이므로 점보프레임 지원하지 않는다. 점보프레임은 기가비트용)

설정에는 팀으로 구성된 랜카드를 수정가능하고

고급에서는 머.. 이런 저런 설정을 할 수 있는듯?



설정을 해서 써보기 전에는 머라고 하긴 그렇지만
일단 테스트 된것은

1. PCI 슬롯에 PCI-X를 꼽아도 작동은 된다.
   (물론 대역폭 문제로 기가비트 2개 슬롯을 풀 스피드로 작동은 못시키는 제약이 생길듯)
2. 서버 어댑터가 있어야 NIC Teaming을 할 수 있다.

머.. 이정도 일까?


4만원 들여서 한거 치고는 좀.. 실망스런 결과라고 해야하나? ㅋ


2010/12/15 - [하드웨어 관련/Network 장비] - Intel PRO/100+
2010/12/16 - [하드웨어 관련/Network 장비] - Intel 랜카드 종류 식별하기 + Teaming
2010/12/21 - [하드웨어 관련/Network 장비] - Intel 1000MT Server Adaptor!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VPN 장비  (2) 2011.01.23
Level 2 Switching HUB, VLAN 설정하기  (4) 2010.12.23
Intel 1000MT Server Adaptor!  (4) 2010.12.21
3com Baseline Switch 2226-SFP Plus 업데이트 하기  (6) 2010.12.20
MAU, MII, AUI  (0) 2010.12.19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