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4개가 있는데 하나로 몰빵하고

(1. 서비스 돌리는 것도 없는데 쓸데없이 분산되서

2. 하드가 부족해서. 서버가 3대가 2.5인치 하드랙인데 16개 디스크 뿐임

3. 예산 문제로 하드 고장난다고 해서 바로 대응이 될 것 같지도 않아 예비 디스크를 확보해야 함)


RAID0의 악몽을 걷어내기 위해서 

SSD * 2 RAID1

SAS 10k 1.2T * 6 RAID6로 구성


이전에 SAS 10k 1.2% * 4 RAID5 에서 경험한 걸로는

VM 여러개의 IOPs를 처리하기에는 무리! 그렇기에 SSD로 일단은 VM을 때려박자라는 결론을 내리고

몇번의 서버 이전끝에 겨우겨우 한 단락을 지은 것 같다.


이제 남은건..

svn / smb / vm(git, db) 전체 백업과 증가분 백업을 수행할 백업 서버 구성 및 운영과

UPS 사주세요 잉잉잉 인가? 

Posted by 구차니
embeded2019. 3. 10. 19:37

회사에 굴러 다니는 상자가 있어서 봤더니

i.MX6 Dual Lite @ 1Ghz / 1GB DDR3 / Fast Ethernet  사양이네


나중에 가지고 놀아볼까나?


[링크 : https://www.solid-run.com/nxp-family/cubox-i/]

[링크 : http://download.solid-run.com/pub/solidrun/cubox-i/SolidRun_UM_Cubox-i.v-2.0.pdf]

'embed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x6 solo 비디오 성능 문제?  (0) 2020.10.19
간만에 부품 지름  (2) 2020.03.04
udoo 보드  (0) 2018.11.29
아싸~ 득템  (7) 2018.07.16
avr과 8051 DMIPS?  (0) 2018.01.26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자전거2019. 3. 10. 19:22

이번달 말까지만 하고 접으신다고

다행히도 다른데 취업되셨다는데, 2년 동안 적자였고

일년에 6개월 겨우 장사하는데 그나마도 미세먼지로 인해서 접는다는 분들이 꽤 있으시다고 하길래

저도 자전거 팔까 이러고 있었다고 미세먼지 때문에 탈수도 없고 라며 말을 흐리게 되었다.


머랄까.. 슬프네

미세먼지가 직종을 또 하나 없애게 될줄이야..



아무튼 거의 5년 만에 꺼낸 내 자전거

바 테잎은 다 삭아서 떨어지고,  바 엔드는 또 하나 어디론가 사라졌고 슬프네..

내일부터 회사에 두고 조금씩 타고

열심히 물 티슈로 닦아줘야지..

Posted by 구차니

하여간에 인코딩이 머리 아프게 하나보네..

UTF-8로 하는게 아니라 EUC-KR인가?


[링크 : https://smisrt.com/]

[링크 : http://blog.naver.com/doosmoon/220985807963]

Posted by 구차니

Class 10 이고 UHS는 없는데

저 속도가 나올수 있나 싶긴 하지만 싸니까 한번 써볼까?


[링크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B573271368]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Java(Spring)2019. 3. 8. 19:19

이걸 어찌들어내냐.


[링크 : https://blog.naver.com/talag/220094862895]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19. 3. 8. 19:15

머.. 링크는 저런데 실제로는 14개의 대체 프로그램 목록

(좀 자세히 봐야겠지만 요즘 무료가 무료가 아닌지라..)


[링크 : http://freealt.selfhow.com/froala/]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터리 체크 유틸리티  (2) 2019.03.25
hdsentinel  (0) 2019.03.15
glusterFS  (0) 2019.02.28
extplorer  (0) 2019.02.28
pydio 대체할 녀석들..  (0) 2019.02.25
Posted by 구차니

당연하지만.. 얘도 db인지라 인코딩 언어를 설정해주어야 한다..

아무생각없이 그냥 initdb 하면 en_us로 설정되는 망할 centos ㅠㅠ


[링크 : http://linux.systemv.pe.kr/postgresql-과-문자셋/]

[링크 : https://www.postgresql.org/docs/9.5/app-initdb.html]

[링크 : https://www.postgresql.org/docs/9.3/multibyte.html]


+

이런 에러 발생 -_-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strange-postgresql-value-too-long-for-type-character-varying500]


+

윈도우용 postgresql에서 언어설정에 따라 collate가 정해지는데

ko_KR.UTF-8은 포기해도 UTF-8은 포기 못하니 영어(English_United State)로 하라고..

(auto로 하니 한글 윈10에서는 cp949로 되어버린다)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0673339/creating-utf-8-database-in-postgresql-on-windows10]

'프로그램 사용 > postgre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gresql 계정은 있는데 로그인 안될때  (0) 2019.03.20
postgresql WAL?  (0) 2019.03.14
postgresql 설치(centos)  (0) 2019.03.08
postgreSQL centos 패키지  (0) 2019.02.01
postgreSQL 명령어 정리  (0) 2019.02.01
Posted by 구차니

읽지 않은 메일에 있길래 호기심에 눌러보았거늘 크롬이 차단해버리네 ㅠㅠ



Posted by 구차니

설치

postgresql 은 client

postgresql-server 는 server

# yum install postgresql  postgresql-server 


db 초기화

# service postgresql initdb

(그냥 centos7 에서 이렇게 하니 Encoding이 SQL_ASCII로 Collate가 C로 된다.. 아놔..)

+

$ su -l postgres -c "initdb -E UTF8 --locale=ko_KR.UTF-8 --locale=en_US.utf8"



설정 확인

# chkconfig postgresql on 


서비스 시작

# systemctl start postgresql 

[링크 : https://wiki.postgresql.org/wiki/YUM_Installation]

[링크 : https://www.lesstif.com/pages/viewpage.action?pageId=31850584]


사용자 생성 (암호 없이)

# sudo -i -u postgres

# psql

postgres=# create user [계정아이디] with password '';

postgres=#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 이름];

postgres=# \q

# exit

[링크 : https://www.lesstif.com/pages/viewpage.action?pageId=61899197]

[링크 : http://database.sarang.net/database/postgres/tutorial/lecture/x58.htm]


+

2019.06.18

sudo -u postgres psql postgres

# \password postgres

Enter new password:  

[링크 : https://serverfault.com/questions/110154/...]


암호 바꾸기

postgres=# ALTER USER postgres WITH PASSWORD '';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421807/set-blank-password-for-postgresql-user]


접속되지 않을 경우

connect to PostgreSQL server: FATAL: no pg_hba.conf entry for host

# vim /var/lib/pgsql/data/pg_hba.conf

host all all      ::1/128      trust

host all postgres 127.0.0.1/32 trust 


# vim /var/lib/pgsql/data/pg_hba.conf 

listen_addresses = '*'

[링크 : https://dba.stackexchange.com/.../connect-to-postgresql-server-fatal-no-pg-hba-conf-entry-for-host]

[링크 : https://sysops.tistory.com/8]


+

2019.06.18

서비스 재시작만으로는 포트가 안바뀌는 듯..(ubuntu 18.04) 그래서 완전히 재기동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음


[링크 : https://blog.bigbinary.com/2016/01/23/configure-postgresql-to-allow-remote-connection.html]


+

2020.01.16

psql 상에서 현재 db의 locale을 확인할 수 있다.

# show LC_COLLATE;

[링크 : https://linux.systemv.pe.kr/postgresql-과-문자셋/]

'프로그램 사용 > postgre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gresql WAL?  (0) 2019.03.14
postgresql encoding / collate  (0) 2019.03.08
postgreSQL centos 패키지  (0) 2019.02.01
postgreSQL 명령어 정리  (0) 2019.02.01
psql - postgreSQL CLI client  (0) 2019.02.01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