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는 개콘보다 뉴스가 더 웃긴다.

오늘도 나에게 dog 폭소를 터트려 주신 대통령에게 감사의 인사를 (-_-)(__)(-_-)




이 대통령, 위기때 목숨을 던지는 게 선비의 도리"

개그맨들 조심해~ 개그맨이 대통령 만큼도 못 웃기면 어떡해~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08. 11. 26. 20:19
예전의 만행(!)을 만회하기 위해
제 블로그에 회색 poto tv cse 장치의 드라이버 / 어플리케이션 + 시리얼키를 올려 놓습니다.



--- 프로그램(개당 9MB) + 시리얼키 ---


어플리케이션은 7zip으로 압축하였으며,
압축이 풀리지 않을 경우에는 http://www.7-zip.org/ 에서 다운받아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그동안 수고해주신 따듯한바람님께 감사와 죄송의 말씀을 ^^;



2010.03.15 추가

오랫만에 프로그램 설치하고 눌러봤더니, 공식홈페이지 들어가진다. ㄱ-
프로그램 내려야 하나? 순간 고민되게 하던데 음..
홈페이지를 뒤져봐도 poto tv cse 관련된 내용은 보이질 않는다.
완전 제작사에서도 손 놓은 녀석이려나..

아무튼, 정직한 기업(주) / honestech 인데
대충 보다 보니 훈테크와 헷갈렸나보다. 그러니.. 검색을 해도 될리가!

[공식 홈페이지 : http://kr.honestech.com/main/index.asp]


간단한 프로그램 사용방법

아래는 메인프로그램인 TVR2.0의 구동화면이다.
왼쪽에 TV/CABLE/COMPOSITE/S-VIDEO로 입력을 고른다.
공중파를 보고 싶다면 공중파 TV 안테나에 연결후 TV를
케이블을 보고 싶다면 케이블 TV 케이블을 연굴후 CABLE을 누른다.(CABLE은 안해봐서 모르겠다 ㄱ-)
COMPOSITE나 S-VIDEO는 S-VHS 비디오를 녹화하고 싶을때 연결하면 된다.


File Size 아래의 아이콘은 순서대로
스케쥴 설정 / 설정 창 / 검색 / 스킨변경 / 캡쳐 / 캡쳐된 이미지 보기
인데, 세번째 "검색" 을 누르면 자동으로 TV나 Cable을 검색한다.(통상 스캔 이라고 이야기 한다.)


그리고 두번째 설정 창 아이콘을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채널을 검색하거나 여러가지 설정을 할 수 있다.
음.. CATV는.. 말그대로 케이블 TV인가? ㄱ-?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amViewer  (0) 2009.08.03
UFO:AI 임시 번역본  (0) 2009.03.07
Dual time clock  (0) 2009.02.04
공개 시리얼 프로그램(터미널) - free terminal program(RS-232)  (6) 2009.01.21
Notepad2 개궁극의 버전 - 트래픽 분산용  (4) 2009.01.16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08. 11. 26. 20:06
네이버 블로그는 떠났지만, 블로그 폐쇄를 하지 않았고
지식인에 아직 미결중인 지식인도 있고, 간간히 오는 메일과 카페로 인해서
네이버 탈퇴라는 강수는 들지 못했습니다.


그런 이유로 간간히 네이버에 접속을 하는데...
떠난지 한달이 넘은 블로그에 400명 hit는 당췌... OTL


이런 걸 보고 있으면 네이버 검색 엔진의 한계를 느끼기도 하고,
조금은 쓸모가 있는 정보를 모아 놨구나 라는(펌질이자나!!!) 뿌듯함을 느끼긴 합니다.
그래도.. 그래도.. 돌아가면 안될꺼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네이버 검색 엔진의 틀에서 하루 300~400 명 오는 인원에 만족할 것이고,
조금은 덜 주의하면서 타인의 글을 펌질할 것 같아서만 입니다.



그나저나.. 언제 한번 하루 100명 넘게 와보나~ 라고 낚시질의 충동을 받는 중입니다
Posted by 구차니
embeded/80512008. 11. 25. 16:05
sfr - Special Function Register
sbit - SFR Bit

sbit name = sfr-name ^ bit-position;
sbit name = sfr-address ^ bit-position;
sbit name = sbit-address;

두번째나 세번째나 매한가지 이지만, readability를 따지자면 1번이나 2번으로 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define P0 0x80 // port 0 SFR address
sbit P0_1 = P0 ^ 1;
sbit P0_1 = 0x80 ^ 1;
sbit P0_1 = 0x81;

이런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한데,
문제는 sfr 0x81은 SP로 정의 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주의하는게 좋을 듯 하다.

세번째 방법의 경우,
0x80 + bit 식으로 사용하며 예를 들어 7번째 비트를 사용하고 싶다면 0x87을 사용하면 된다.
0xC8의 6번째를 사용하고 싶다면 0xC8 + 6 = 0xCE 가 된다.

제약 조건으로는 세번째 방법의 경우 lower nibble이 0이거나 8이어야 한다고 기술 되어 있는데,
다르게 말하자면
0x80인 P0은 sbit으로 사용가능하지만
0x81인 SP는 sbit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간단하게 아래 표의 가장 왼쪽 라인의 P0 P1 P2 P3 P4 TCOn SCON IE IP T2CON PSW ACC B 만 사용가능할 듯 하다.




[sfr : http://www.keil.com/support/man/docs/c51/c51_le_sfr.htm]
[sbit : http://www.keil.com/support/man/docs/c51/c51_le_sbit.htm]

'embeded > 8051' 카테고리의 다른 글

Keil compiler - Error : Segment too large  (0) 2009.04.13
8051 TIMER 에 대하여  (0) 2008.12.18
Keil evaluation Limitation  (0) 2008.12.07
KEIL Cx51 - Warning L5: CODE SPACE MEMORY OVERLAP  (0) 2008.12.01
8051에 관하여  (0) 2008.11.28
Posted by 구차니
이 게시판은 답변이 필요 없는 자기의 주장, 하고싶은 이야기, 기타 의견등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 할수 있는 곳입니다.
답변이 필요한 사항은 "민원상담" 또는 "시정에 바란다" 코너를, 광고성글은 생활정보(무료홍보)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라며, 아울러 내용이 공익을 침해하거나 타인을 비방할 경우,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이 있는 경우, 공직선거법 제82조의 4 및 제93조 규정을 위반한 경우는 별도의 통보없이 직권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자유 게시판이라며?

2MB 어린이 동상 세운다고 난리쳐서 항의 글이라도 적을려고 했더니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이 있는 경우에 해당될께 뻔히 보인다.
그리고는 콤보로 좌파라고 몰아 가겠지?


[포항시청 자유게시판: http://www.ipohang.org/home/www/Sub_Part/free_board]
Posted by 구차니
헤드라인을 보자마자

"아이 시펄!" 소리 바로 나오게 하는데
(아이 시펄은 욕이 아니에요~ 국회의원들이 쓰는 고급 용어 랍니다. 콤보용어로 "어우 성질 뻗쳐서"가 있습니다.)


고향은 오사카인데 왜 포항에? ㄱ- 



MB어린이
니 땜시 내가 내 출신은 두가지나 숨기고 살아야 해
림하 젭라!!!!!


[기사 : http://media.daum.net/society/nation/gyeongsang/view.html?cateid=100008&newsid=20081125131321179&p=segye&RIGHT_COMM=R7]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08. 11. 25. 00:14




문득 MSN을 둘러 보다가 간만에 보는 대화명들에 마음이 찡하다.
이제는 볼 수 없는 차가운 재가 되어 대전에 모셔져 있는 후배.
이녀석의 시간은 아직도 2006년 11월 에 멈춰 있다.

이녀석을 잃은 이후로 군대 가는 모든 후배들에게 이야기를 한다.
절대 군대에서 능력 100% 보이지 말고, 적당히 남들 하는 만큼만 해라




군대 전역 한달 전...


사인은 뇌수막염.
직접적인 원인은 과로로 인한 면역력 약화 일려나.. 군병원에서도 민간 병원에서도 별 원인을 밝혀 내지 못하고
근 이주일을 앓다가 저 세상으로 가버린 내가 가장 아끼던 남자 후배이다.
나랑은 손발이 착착 맞을 정도로 남일을 무시하지 못하고 앞서서 도와주는 성격이라
군대 갈때에도 부디 나 처럼 고생하지 말고, 튀지 말고 적당하게 남들 하는 만큼만 하라고 이야기 했거늘
후임복이 지지리도 없어서 혼자서 고군분투 하다가 결국에는 계단에서 실신해서 구르고는 그 이후로는 일어 나지 못했다고 한다.


학교 후배들과 찾은 삼일장 날.


학교 후배들과 장례식장으로 갔고, 떠나지 않는 발에
익숙하지 않은 후배들과의 자리가 꺼려지는걸 하늘에서 눈치를 챘었는지

맑은 하늘 밤 9시에 갑자기 부슬부슬 비가 내렸다.
"형 왔어"
"응. 나 갈께"

마음속에서 이런 말이 들리고, 나도 모르게 대답을 했다.
형 왔어? 형 왔어. 어느건지도 모를 미묘한 어감에
그래도 그 녀석이 마지막 인사로 비를 뿌려준다는 생각에 조금은 가볍게 발을 돌릴 수 있었다.




그래도 떠난 지금에도 사람들이 와서는 싸이에 글을 남겨 주는걸 보면
"넌 잘 살았구나" 싶다.

내가 죽어서도 사람들이 내 블로그, 내 흔적이 남아 있는 곳에 와서 한번쯤은
술안주 삼아 이야기를 해줄려나...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08. 11. 22. 12:49
피트니스 하시는 분들이나 미스터 코리아 하는 분들이 TV에 나오면
항상 귀에 딱지 박히도록 듣는 말은 닭가슴살을 먹고 고기를 먹지 않는다 였는데..

그래서 슈퍼에 닭가슴살이 통조림으로 나왔길래 덜컥샀다.
아마도 프로모션 기간이라 개당 900원 정도의 가격으로 나온 듯 한데, 이 기간이 지나면 얼마가 되려나..




아무튼 칼로리 표는 아래와 같다.

참치 150Kcal / 100g
 열량  150Kcal
 탄수화물  4g 1%
 단백질  20g 33%
 지방  6g 12%

닭가슴살 120Kcal / 100g
 열량 120Kcal
 탄수화물
 6.5g 2%
 단백질
 12.7g 21%
 지방  4.9g 10%


결론 : 살뺄려면 그냥 풀이나 먹어야 겠다. 닭가슴살이 생각보다 칼로리가 높구나아 OTL
Posted by 구차니
Linux2008. 11. 21. 11:29

일단 mkfs는 DOS로 치자면 format 명령인데
linux에서는 ext2는 이제 잘 안쓰고 ext3를 주로 쓴다.

흥미롭게도 mkfs 과정중에 mkfs.ext2 와 mkfs.ext3 의 결과의 차이가 한줄 뿐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부가적으로는 자동으로 체크하는 mount 횟수의 차이도 있다.


[root@localhost mnt]# mkfs.ext2 /dev/sda2
mke2fs 1.39 (29-May-2006)
Filesystem label=
OS type: Linux
Block size=4096 (log=2)
Fragment size=4096 (log=2)
3842720 inodes, 7679070 blocks
383953 blocks (5.00%) reserved for the super user
First data block=0
Maximum filesystem blocks=0
235 block groups
32768 blocks per group, 32768 fragments per group
16352 inodes per group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4096000

Writing inode table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This filesystem will be automatically checked every 39 mounts or
180 days, whichever comes first.  Use tune2fs -c or -i to override.

 [root@localhost mnt]# mkfs.ext3 /dev/sda3
mke2fs 1.39 (29-May-2006)
Filesystem label=
OS type: Linux
Block size=4096 (log=2)
Fragment size=4096 (log=2)
2093056 inodes, 4178908 blocks
208945 blocks (5.00%) reserved for the super user
First data block=0
Maximum filesystem blocks=4282384384
128 block groups
32768 blocks per group, 32768 fragments per group
16352 inodes per group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4096000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32768 block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This filesystem will be automatically checked every 28 mounts or
180 days, whichever comes first.  Use tune2fs -c or -i to override.





사진 : 클릭하면 크게 보입니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2008. 11. 21. 10:04
MS Office 2007 이상은 신형 포맷은 docx, pptx, xlsx 로 저장이 됩니다.
모든 분들이 이러한 포맷을 사용가능한게 아니므로 매번 기존 포맷으로 저장하기 번거로우시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기본 저장 포맷을 변경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Open Office의 경우 ODF 라는 Open Document Format으로 되는데 아무래도 번거로우시다면
MS Office 포맷으로 기본 저장을 하도록 하시면 됩니다.


MS Office 2007

1. 좌측 상단의 오피스 아이콘을 누르면 메뉴가 나오는데 메뉴의 우측 하단에
    Excel 옵션 / PowerPoint 옵션 / Word 옵션이라고 나오는 곳을 클릭합니다.


2. Office 옵션에서 저장 탭을 보시면
   통합 문서 저장 부분이 있고 다음 형식으로 파일 저장에서
   Office 97 - 2003 통합 문서 (*.doc/*.ppt/*.xls) 를 선택하시고 저장하시면 다음 부터는
   기본적으로 구형 파일로 저장이 됩니다.




Open Office

1. 도구 - 옵션을 클릭하여 옵션 선택에 들어 갑니다.

2. 로드/저장 탭의 하위 항목인 일반에 들어가서
    우측 하단의 항상 다음 형식으로 저장에서
    Microsoft Word 97/2000/XP 으로 설정 합니다.



상기 방법은 하위 호환성 문제로 저장시, 의도한 색상이 아닌 다른 색으로 나올수 있으며,
계산식이나 상위 버전의 기능을 사용한 문서의 경우에는 사용할수 없게 저장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