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6일 토요일에야 현충원에 가셨다. 겸사겸사 아들은 1+1 식으로 끌려감
아무튼 기억상으로는 2번째 현충원인거 같은데
자리마다 꽂혀있는 노란색과 빨간색의 꽃이 흐린날 임에도 눈이 아프도록 눈부시게 빛을 발했다.
아래는 정체불명의 깃털. 닭둘기는 아니고 아마도... 까치인듯?
More pin-outs see at http://www.ocdemon.net/pinouts.pdf
Usual pin-out for 14-pin JTAG header (often used for ARM)
|
1 -Vddh (+3.3v) |
2 - Vss (ground) |
|
3 - nTRST |
4 - Vss (ground) |
|
5 - TDI |
6 -Vss (ground) |
|
7 - TMS |
8 -Vss (ground) |
|
9 - TCK |
10-Vss (ground) |
|
11- TDO |
12-nRESET (optional) |
|
13- Vddh (+3.3v) |
14-Vss (ground) |
Usual pin-out for 20-pin JTAG header (sometimes used for ARM)
|
1 - Vddh (+3.3v) |
2 - Vddh (+3.3v) |
|
3 - nTRST |
4-Vss (ground) |
|
5 - TDI |
6-Vss (ground) |
|
7 - TMS |
8-Vss (ground) |
|
9 - TCK |
10-Vss (ground) |
|
11 -------- |
12-Vss (ground) |
|
13 –TDO |
14-Vss (ground) |
|
15 – nRST |
16-Vss (ground) |
|
17--------- |
18-Vss (ground) |
|
19--------- |
20-Vss (ground) |
Usual pin-out for 8-pin JTAG header, often used for PLD programming
|
1 – vddh (+3.3v) |
|
2 – TDO |
|
3 – TDI |
|
4 – nTRST |
|
5 |
|
6 – TMS |
|
7 – vss (ground) |
|
8 – TCK |
| ARM용(암용) 툴체인, 컴파일러 - arm-linux-gcc : tool chain for ARM (0) | 2010.07.03 |
|---|---|
| ARM JTAG 14pin / 20pin 변환하기 (0) | 2010.07.01 |
| Cortex-A8 ? (2) | 2010.05.10 |
| 별 시덥지 않은 이야기 (ST40 core 와 ARM) (0) | 2010.05.03 |
| ARM JTAG DIY (0) | 2010.05.03 |
|
|
DVC-430(COLOR) |
DVC-410(BLACK & WHITE) |
DVC-470(COLOR) |
|
신호방식 |
NTSC Color / (PAL Color) |
||
|
주사선 주파수 |
NTSC:15.734KHz (수평), 59.94Hz (수직) PAL:15.626KHz(H),50Hz(V) |
||
|
주사방식 |
525 Lines(NTSC), 625 Lines(PAL) 2:1 Interlace |
||
|
촬상소자 |
1/3" Sony CCD Image Sensor |
1/3" Samsung CCD Image Sensor |
1/3" Sony CCD Image Sensor |
|
최대화소수 |
510(H)X492(V)-NTSC(270K), 500(H)X582(V)-PAL(320K) |
768(H)X494(V)-NTSC(410K), 752(H)X582(V)-PAL(470K) |
|
|
S/N 비 |
46dB 이상 (AGC Off) |
||
|
영상출력 |
VBS 1.0 Vp-p / 75Ω, Unbalanced, (BNC출력) Composite |
||
|
수평해상도 |
350 TV Lines |
470 TV Lines |
|
|
최저조도 |
0.5 Lux |
0.1 Lux |
0.5 Lux |
|
동기방식 |
내부동기 |
||
|
화이트 밸런스 |
자동(Auto)/실내/실외/수동 |
||
|
전자 셔터 속도 |
1/60~1/10,000 sec (NTSC), 1/50~1/10,000sec (PAL) (8단계) |
||
|
AGC Control |
자동(Auto) |
||
|
RIS Control |
자동/수동 |
||
|
사용온도 |
영하10℃ ~ 40℃ |
||
|
보관온도 |
영하20℃ ~ 60℃ |
||
|
동작습도 |
10% RH ~ 80% RH |
||
|
사용전원 |
DC 9.0V ~ 15.0V(권장사양 DC12.0V±10%) 300~500mA |
||
|
소비전력 |
4W 이하 |
||
|
크기 (W×H×D) |
63.5w x 55.6h x 74.1d mm |
63.5w x 55.6h x 74.1d mm |
63.5w x 55.6h x 74.1d mm |
|
중량 |
350g, |
350g |
350g |
| mplayer, gnome-mplayer (0) | 2010.07.07 |
|---|---|
| xawtv / v4l-conf 관련 끄적임 (0) | 2010.07.06 |
| CSE PotoTV on Linux (0) | 2010.07.05 |
| xawtv (for linux) (0) | 2010.07.03 |
| DVC-430 연결! (4) | 2010.06.30 |
| 아 슈발 동양생명 나랑 싸울래연? (19) | 2010.07.20 |
|---|---|
| 담배에 대한 주저리 (2) | 2010.07.13 |
| 수리온이 날아올랐어요! (0) | 2010.06.22 |
| 남침 북침? (4) | 2010.06.22 |
| 한글은 왜 까여야 하는 존재가 되었는가? -> 한글로 시작해서 안드로메다로 가는 이야기 (10) | 2010.06.17 |
| 백수가 더 힘들어 ㄱ- (2) | 2010.06.28 |
|---|---|
| 카테고리를 바꺼야 하나? (8) | 2010.06.28 |
| "하루늦은" 퇴근일기 - 20100610 (6) | 2010.06.11 |
| 퇴직일자만 기다리는 신세 (2) | 2010.06.09 |
| .............. (10) | 2010.05.25 |
| 그런데 이번에는 출력측의 임피던스에 비교하여 입력측의
임피던스가 큰 경우. 이 경우는 전송 로스는 있지만 일단 신호의 주고 받음은 할 수 있다. 최악인 것은 출력측의 임피던스에 비교하여 입력측의 임피던스가 낮은 경우에 이 경우는 신호의 주고 받음이 매끄럽지 않아 신호가 일그러지거나 고역의 열화를 생긴다. [링크 : http://raindol572.tistory.com/tag/임피던스] |
| Kicad - open source PCB / circuit program (11) | 2010.07.08 |
|---|---|
| MAX232(RS-232) 용 캐패시터 타입 (0) | 2010.07.02 |
| 가속도 센서 / 자이로 센서 / 기울기 센서의 차이점 (0) | 2010.06.24 |
| 심심해서 만든거 치고 오래걸린 LED 조명 ㅠ.ㅠ (4) | 2010.06.22 |
| 3.5 파이 이어폰 잭 극성 (18) | 2010.06.20 |
기울기 센서의 응답속도(현재 500ms)가 가속도센서에 비하면 현저히 느리기 때문 [링크 : http://pinkwink.kr/121] [링크 : http://devicemart.co.kr/mart7/mall.php?cat=049005000&query=view&no=34308] AM-Gyro (IDG-300) 5만 [링크 : http://devicemart.co.kr/mart7/mall.php?cat=049005000&query=view&no=16576] M-3AXIS (MMA7260Q) 2만 [링크 : http://devicemart.co.kr/mart7/mall.php?cat=049012000&query=view&no=14502] SA1 2.2만 |
|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의 차이는 자이로센서는 회전관성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가속도센서는 가속도를 감지합니다. 그래서 자이로센서는 로봇이 회전할 때 회전각을 알 수 있을때 사용하므로 주로 항법장치에 많이 사용하고요, 가속도센서는 외부의 충격량과 방향을 감지합니다. 로봇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때 그 충격의 방향을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는 장치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외부의 충격이 없을때는 항상 중력방향을 감지하므로 기울기센서의 기능도 있습니다. 로봇이 쓰러져 있거나 비스듬한 곳에 있을때 로봇의 기울어진 방향과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휴머노이드에는 가속도센서가 여러가지로 활용할 수 있겠죠. 로봇의 외부로 부터 공격을 받았을때나 바닥의 상태에 따라서 넘어질때 스 스로 중심을 잡을 수 있는 기능으로 프로그램할 때 가속도센서가 유용합니다 [링크 : http://robobuilder.net/board/user_qna/board_index.asp?cmd=view&page=7&info_ref=97&info_idx=98] |
| MAX232(RS-232) 용 캐패시터 타입 (0) | 2010.07.02 |
|---|---|
| 임피던스 (impedance) (0) | 2010.06.24 |
| 심심해서 만든거 치고 오래걸린 LED 조명 ㅠ.ㅠ (4) | 2010.06.22 |
| 3.5 파이 이어폰 잭 극성 (18) | 2010.06.20 |
| LCD 관련 용어 (0) | 2010.06.12 |
| 빵집4 (build 2262)를 공개합니다. 몇 년만인지 모르겠습니다. 감회가 새로울 정도입니다. 아직 완성하지 못한 기능도 있어서 좀 더 있다가 발표를 할 생각이었으나 '반드시' 공개하지 않으면 안되는 사유가 생겼습니다. 아마도 그 이유를 곧 아시게 될겁니다. 빵집4 개선 사항 ● 유니코드: 빵집 프로그램을 유니코드로 하여 외국어 윈도우에서도 사용하기 편하게 했습니다. ● 위젯기능: 탐색기 메뉴에서 실행시 나타나는 프로그레스 윈도우를 위젯으로 만들었습니다. ● 대용량 강화: 4G 이상의 Zip 파일을 빠르게 처리합니다. ● EGG 포맷 지원: 이스트소프트사의 EGG 포맷을 풀 수 있습니다. ● 탐색기 리스트뷰 미리보기: 탐색기의 리스트뷰에서 미리보기를 할 수 있습니다. [링크 : http://www.bkyang.com/] |
| PINNACLE Studio DC10 Plus for linux ? (8) | 2010.06.28 |
|---|---|
| Sound Blaster Audigy2 드라이버 (SB0240) (2) | 2010.06.28 |
| 그리기 프로그램 - 사이툴(SAI), 오캔(오픈캔버스, opencanvas) (4) | 2010.05.20 |
| rawrite for windows (2) | 2010.05.05 |
| REC(Reverse Engineering Compiler) / Decompiler (0) | 2010.05.01 |
| CONDITIONAL EXPRESSIONS -e file True if file exists. -f file True if file exists and is a regular file. -s file True if file exists and has a size greater than zero. |
| verbose가 모야? (4) | 2010.07.29 |
|---|---|
| 쉘스크립트의 stdout / stderr 리다이렉션(redirection c) (0) | 2010.07.07 |
| gcc 프로파일링 / 디버깅 정보별 어셈블리 차이 - gcc profiling / debug info (0) | 2010.06.15 |
| ulimit (1/3) (0) | 2010.06.03 |
| putenv (3) (2) | 2010.06.03 |
| 우오오! 멀티코어 패치! (0) | 2010.07.09 |
|---|---|
| 마비노기 영웅전 자동낙시를 해보자! (2) | 2010.06.27 |
| 아놔 역시 마왕! (4) | 2010.06.16 |
| 그르르르르르르릉! (0) | 2010.06.12 |
| 헉 영어다! (0) | 2010.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