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Windows2010. 3. 12. 16:40
윈도우에서 특정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이름을 확인해야 할때가 있다.
예를들어 80번 포트가 열려있는데 난 웹서비스 안쓸때
어떤놈이지? 라고 확인할일이 생기다면 말이다.

Step 1. netstat -o
           를 실행하여 열려있는 포트의 PID를 확인한다.

Step 2. 작업관리자에서 PID를 보이도록 하여
           수작업으로 PID를 확인한다. (열 선택 에서 PID(프로세스 식별자) 를 선택한다.)


C:\>netstat /?

프로토콜 통계 및 현재 TCP/IP 네트워크 연결을 표시합니다.

NETSTAT [-a] [-b] [-e] [-n] [-o] [-p 프로토콜] [-r] [-s] [-v] [시간]

  -a            모든 연결 및 수신 대기 포트를 표시합니다.
  -b            각 연결 또는 수신 대기 포트를 만드는 데 관련된 실행 프로그램을
                표시합니다. 잘 알려진 실행 프로그램에서 여러 독립 구성 요소를
                호스팅하는 경우에는 연결 또는 수신 대기 포트를 만드는 데
                관련된 구성 요소의 시퀀스가 표시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실행 프로그램 이름이 아래쪽 대괄호 안에 표시되어 있고 위에는
                TCP/IP에 도달할 때까지 호출된 구성 요소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 옵션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며 사용 권한이 없으면
                실패합니다.
  -e            이더넷 통계를 표시합니다. 이 옵션은 -s 옵션과 같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n            주소 및 포트 번호를 숫자 형식으로 표시합니다.
  -o            각 연결의 소유자 프로세스 ID를 표시합니다.
  -p 프로토콜   지정한 프로토콜에 해당되는 연결을 표시합니다. 프로토콜은
                TCP, UDP, TCPv6 또는 UDPv6 중 하나입니다. -s 옵션과 함께
                사용하여 프로토콜별 통계를 표시할 경우 프로토콜은 IP, IPv6,
                ICMP, ICMPv6, TCP, TCPv6, UDP 또는 UDPv6 중 하나입니다.
  -r            라우팅 테이블을 표시합니다.
  -s            프로토콜별로 통계를 표시합니다. 기본값으로 IP, IPv6, ICMP,
                ICMPv6, TCP, TCPv6, UDP 및 UDPv6에 관한 통계를 표시합니다.
                -p 옵션을 함께 사용하면 기본값의 일부 집합에 대한 통계만
                표시할 수 있습니다.
  -v            -b 옵션과 함께 사용하면 모든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연결
                또는 수신 대기 포트를 만드는 데 관련된 구성 요소의 시퀀스를
                표시합니다.
  시간          다음 화면으로 이동하기 전에 지정한 시간 동안 선택한 통계를
                다시 표시합니다. 통계 표시를 중단하려면 CTRL+C를 누르십시오.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구성 정보를 한 번 표시합니다.

[링크 : http://bearpro.tistory.com/31]
    [링크 : http://support.microsoft.com/kb/281336/ko]

리눅스에서는 netstat -p를 주면 되는듯 하다.
복잡하게 조회하지 않아도 netstat 자체에서 프로세스 번호와 프로그램 이름을 띄워준다.
# netstat -nap | grep -i VNC
tcp        0      0 0.0.0.0:5901                0.0.0.0:*                   LISTEN      2261/Xvnc
tcp        0      0 0.0.0.0:6001                0.0.0.0:*                   LISTEN      2261/Xvnc
tcp        0      0 :::6001                     :::*                        LISTEN      2261/Xvnc

# ps -ef | grep 2261
root      2261     1  0 Mar10 ?        00:00:04 Xvnc :1 -desktop devdesk:1 (root) -auth /root/.Xauthority -geometry 1024x768 -depth 16 -rfbwait 30000 -rfbauth /root/.vnc/passwd -rfbport 5901 -pn
root     27753 23326  0 16:38 pts/1    00:00:00 grep --color=auto 2261



[링크 : http://linuxis.tistory.com/665]
Posted by 구차니
주민등록번호 별 피로도 시스템이 아니라면 별 의미도 없고~
캐릭별 피로도라면 멀티캐릭하면 되는거지 ㄱ-


대책을 세울려고 책상에 앉아만있지 말구
게임을 좀 해보란 말이야!!



결  론 : 데브켓 처럼 운영하면 게임중독을 막을수 있을지도?!
데브켓 : 이자를 삶아라 냐옹~
Posted by 구차니
*.py는 파이썬 텍스트 소스파일이다.
*.pyc는 컴파일된 파이썬 바이너리파일이다.
*.pyo는 최적화된(Optimized) 컴파일된 파이썬 바이너리파일이다.

컴파일이 되었으므로, pyc나 pyo는 py에 비해 속도 향상이 있으며
pyc는 py를 -O 옵션을 통해(모든 py파일에서 pyc를 생성)
pyo는 py를 -OO 옵션을 통해 생성이 가능하다.
(이부분은 확인필요. py 파일을 이상없이 실행가능하면 컴파일 가능하며, 자동으로 pyc가 생성된다고 하지만, 밑에
-O 옵션으로 디렉토리 내의 모든 py를 pyc로 컴파일 한다는 내용도 존재한다.)

pyc는 assert 문만을 삭제함으로 속도 향상폭은 크지 않으며
pyo는 pyc에 비해 __doc__ 구분도 삭제하므로 더욱 작이진다.(일부 프로그램은 __doc__ 구분 사용할수 있으니 주의)



[링크 : http://docs.python.org/tutorial/modules.html]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Office2010. 3. 11. 19:59

엑셀에서 숫자를 표기하는 방법은 두가지이다.
하나는 숫자로 표기하는 방법
다른 하나는 문자로 표기하는 방법이다.

예를들어 1000 이라는 숫자를 표기하려면
단순하게 1000 이라고 입력하거나(숫자로 표기)
'1000 이라고 입력을 한다.(문자로 표기)

물론 두가지 경우에 대해서 정렬할 시도할 경우 전혀 다른 결과가 나타나게 되며
2007에서는 이러한 경우 아래와 같은 경고를 발생시킨다.



예를들어
60000
'70000
'8E000
6E000

을 입력하여 "일반 숫자와 텍스트로 저장된 숫자를 모두 숫자로 정렬" 하면
6E000
'8E000
60000
'70000
으로 정렬이 된다.
(E는 지수적 표기방법으로 6E000 은 6*E^0 으로 실제로 6을 의미하게 되어 가장 작은 수가되며
'8E00의 경우에도 기본값인 숫자로 인식하여 8*E^0 으로 8을 의미하게 된다.)


하지만  "일반 숫자와 텍스트로 저장된 숫자를 구분하여 정렬"하면
60000
6E000
'70000
'8E000
로 정렬이 된다.


시리얼번호와 같이 우연히 E만 들어갈수 있는 문자열에 대해서는
그리고, 숫자와 문자가 혼용된 것을 위해서는 되도록이면 문자열로 강제지정('로 시작)하여
저장 후 정렬해주는 것이 좋을듯 하다.

사족 : 더 좋은 정렬방법 아시는분 알려주세요!
사족 : 강제로 셀을 텍스트로 지정해도 정렬이 안되는건 왜 그럴까? ㄱ-
Posted by 구차니

친구의 말을 빌리자면
"폐인을 위한 침낭이에요"
라는데


초큼 귀엽다?


게르드 : 어디 오티가서 저거 입고 있으면. 최고일듯.
구차니 : 진정한 용자가 될수 있어 ㅋㅋ




근데.. 난 왜 이게 떠오른겨 ㄱ-



[링크 : http://item.rakuten.co.jp/azumishoji/abge143/]
[링크 : http://heroes.inven.co.kr/dataninfo/item/detail.php?code=90032]
Posted by 구차니
Linux2010. 3. 11. 14:44
설치하고 나니..
/sbin/init 부터 실행을 못해 ㅠ.ㅠ
= 부팅 불가


Freeing unused kernel memory: 104k freed
/sbin/init: error whiKernel panic - not syncing: Attempted to kill init!
 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c.so.6: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니미 ㄱ-


추가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ep으로 원하는 문자열 색상 바꾸기?  (2) 2010.03.17
MIME + nautilus(GNOME)  (0) 2010.03.15
glibc 컴파일하기  (0) 2010.03.11
*.la 파일 - libtool  (0) 2010.03.09
fribidi - Unicode BIDIrectional Algorithm  (0) 2010.03.09
Posted by 구차니
Linux2010. 3. 11. 13:30
이 녀석은 특이하게(?) 도 build 용 디렉토리를 따로 구성해야 한다.
그냥 configure 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configure: error: you must configure in a separate build directory"

추천 방법은
# git clone git://sourceware.org/git/glibc.git
# cd glibc
# mkdir build
# cd build
# ../configure
소스를 받고 그 아래와 디렉토리를 만들어 그 곳에서 상위의 configure를 호출하는 것이다.

만약, configure에서 --prefix, --exec-prefix 를 설정해주었다면
make install 시에 그 위치로 설치된다.

하지만, 각종 실행파일의 기본 경로가 --exec-prefix로 고정되서 삽입되는 듯한데 어쩌리오..
# cat Changelog.10
2138 Line
2000-01-04  Ulrich Drepper  <drepper@cygnus.com>

        * Makefile (install): Pass $(install_root) to ldconfig.
        Patch by Akira YOSHIYAMA <yosshy@tkf.att.ne.jp>.

ldconfig 에만 install_root을 넣나본데,
이녀석은 configure에서 설정가능한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다.
config.make 파일을 수정해야 하는데, 이값을 넣지 않으면 -prefix 값이 들어가는것으로 생각된다.


[링크 : http://kldp.org/node/39946]
[링크 : http://www.gnu.org/software/libc/manual/html_node/Configuring-and-compiling.html#Configuring-and-compiling]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ME + nautilus(GNOME)  (0) 2010.03.15
glibc는.. 설치시 매~~~우 주의를 요합니다 ㄱ-  (0) 2010.03.11
*.la 파일 - libtool  (0) 2010.03.09
fribidi - Unicode BIDIrectional Algorithm  (0) 2010.03.09
chkconfig  (0) 2010.03.06
Posted by 구차니
회사일2010. 3. 11. 10:53
겨우겨우 컴파일 해놓고 보니.. 이런 레알 십라 ㄱ-

# vlc
VLC media player 1.0.5 Goldeneye
LibVLC has detected an unusable buggy GNU/libc version.
Please update to version 2.8 or newer.
Aborted

이런건 좀.. 컴파일이나 configure 레벨에서 경고를 하던가 에러를 내던가
경고도 눈에 좀 팍팍들어 오게 하던가!!! ㅠ.ㅠ



..
요즘 대세는 git인가 ㄱ-
예전에 git를 소스로 깔아놓아서 다행.. 안했음 또 삽질삽질 - 무한 삽질!!
[링크 : http://www.gnu.org/software/libc/]

'회사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4 관련 정보  (0) 2010.05.03
oscam - open source CAM  (4) 2010.04.06
인증서 복사하기  (0) 2010.03.04
H.26x MPEG2, MPEG4  (6) 2010.01.19
ERP, SCM, CRM, EIS, MIS, DSS  (0) 2009.12.17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10. 3. 10. 16:28
컴파일 하다보니 요런 에러를 뱉어 주신다.
혹시나 해서 모든 헤더파일을 검색해서 아래와 같은 정의는 Fedora Core 6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도대체.. FC6에서는 VLC도 설치 못하는건가?

아무튼, 아래의 *_SUPER_MAGIC 선언을 포함한 헤더는
/usr/include/linux/magic.h 에 존재해야 하며
/usr/include/magic.h 를 링크한다고 해서 되진않는다.

#ifndef __LINUX_MAGIC_H__
#define __LINUX_MAGIC_H__

#define ADFS_SUPER_MAGIC        0xadf5
#define AFFS_SUPER_MAGIC        0xadff
#define AFS_SUPER_MAGIC                0x5346414F
#define AUTOFS_SUPER_MAGIC      0x0187
#define CODA_SUPER_MAGIC        0x73757245
#define CRAMFS_MAGIC            0x28cd3d45      /* some random number */
#define CRAMFS_MAGIC_WEND       0x453dcd28      /* magic number with the wrong endianess */
#define DEBUGFS_MAGIC          0x64626720
#define SYSFS_MAGIC             0x62656572
#define SECURITYFS_MAGIC        0x73636673
#define SELINUX_MAGIC           0xf97cff8c
#define RAMFS_MAGIC             0x858458f6      /* some random number */
#define TMPFS_MAGIC             0x01021994
#define HUGETLBFS_MAGIC         0x958458f6      /* some random number */
#define SQUASHFS_MAGIC          0x73717368
#define EFS_SUPER_MAGIC         0x414A53
#define EXT2_SUPER_MAGIC        0xEF53
#define EXT3_SUPER_MAGIC        0xEF53
#define XENFS_SUPER_MAGIC       0xabba1974
#define EXT4_SUPER_MAGIC        0xEF53
#define BTRFS_SUPER_MAGIC       0x9123683E
#define HPFS_SUPER_MAGIC        0xf995e849
#define ISOFS_SUPER_MAGIC       0x9660
#define JFFS2_SUPER_MAGIC       0x72b6
#define ANON_INODE_FS_MAGIC     0x09041934

#define MINIX_SUPER_MAGIC       0x137F          /* original minix fs */
#define MINIX_SUPER_MAGIC2      0x138F          /* minix fs, 30 char names */
#define MINIX2_SUPER_MAGIC      0x2468          /* minix V2 fs */
#define MINIX2_SUPER_MAGIC2     0x2478          /* minix V2 fs, 30 char names */
#define MINIX3_SUPER_MAGIC      0x4d5a          /* minix V3 fs */

#define MSDOS_SUPER_MAGIC       0x4d44          /* MD */
#define NCP_SUPER_MAGIC         0x564c          /* Guess, what 0x564c is :-) */
#define NFS_SUPER_MAGIC         0x6969
#define OPENPROM_SUPER_MAGIC    0x9fa1
#define PROC_SUPER_MAGIC        0x9fa0
#define QNX4_SUPER_MAGIC        0x002f          /* qnx4 fs detection */

#define REISERFS_SUPER_MAGIC    0x52654973      /* used by gcc */
                                        /* used by file system utilities that
                                           look at the superblock, etc.  */
#define REISERFS_SUPER_MAGIC_STRING     "ReIsErFs"
#define REISER2FS_SUPER_MAGIC_STRING    "ReIsEr2Fs"
#define REISER2FS_JR_SUPER_MAGIC_STRING "ReIsEr3Fs"

#define SMB_SUPER_MAGIC         0x517B
#define USBDEVICE_SUPER_MAGIC   0x9fa2
#define CGROUP_SUPER_MAGIC      0x27e0eb

#define FUTEXFS_SUPER_MAGIC     0xBAD1DEA

#define STACK_END_MAGIC         0x57AC6E9D

#define DEVPTS_SUPER_MAGIC      0x1cd1
#define SOCKFS_MAGIC            0x534F434B

#endif /* __LINUX_MAGIC_H__ */


[링크 : http://tomoyo.sourceforge.jp/cgi-bin/lxr/source/include/linux/magic.h]

libtool: compile:  gcc -std=gnu99 -DHAVE_CONFIG_H -I. -I../.. -I../../include -I../../include -DSYS_LINUX -I/usr/local/include -D_FI
LE_OFFSET_BITS=64 -D__USE_UNIX98 -D_LARGEFILE64_SOURCE -D_REENTRANT -D_THREAD_SAFE -D__LIBVLC__ -D__PLUGIN__ -DMODULE_NAME=access_fi
le -DMODULE_NAME_IS_access_file -DMODULE_STRING=\"access_file\" -O2 -ffast-math -funroll-loops -fomit-frame-pointer -Wall -Wextra -W
sign-compare -Wundef -Wpointer-arith -Wbad-function-cast -Wcast-align -Wwrite-strings -Wmissing-prototypes -Wvolatile-register-var -
Werror-implicit-function-declaration -MT libaccess_file_plugin_la-file.lo -MD -MP -MF .deps/libaccess_file_plugin_la-file.Tpo -c fil
e.c  -fPIC -DPIC -o .libs/libaccess_file_plugin_la-file.o
In file included from ../../include/vlc_common.h:516,
                 from file.c:33:
../../include/vlc_mtime.h:80: warning: 'error' attribute directive ignored
../../include/vlc_mtime.h:90: warning: 'warning' attribute directive ignored
../../include/vlc_mtime.h:108: warning: 'error' attribute directive ignored
file.c: In function 'IsRemote':
file.c:142: error: 'AFS_SUPER_MAGIC' undeclared (first use in this function)
file.c:142: error: (Each undeclared identifier is reported only once
file.c:142: error: for each function it appears in.)
file.c:143: error: 'CODA_SUPER_MAGIC' undeclared (first use in this function)
file.c:144: error: 'NCP_SUPER_MAGIC' undeclared (first use in this function)
file.c:145: error: 'NFS_SUPER_MAGIC' undeclared (first use in this function)
file.c:146: error: 'SMB_SUPER_MAGIC' undeclared (first use in this function)


'프로그램 사용 > VLC'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C 크로스컴파일 - 멀고도 험하다 ㅠ.ㅠ  (0) 2010.03.17
VLC GLIBC runtime error  (0) 2010.03.16
x264 , libavcodec 다운로드  (0) 2010.02.24
vlc-1.0.5 cross compile  (3) 2010.02.09
VLC cross compile시 오류 (vlc-1.0.4)  (0) 2010.02.03
Posted by 구차니
눈이 와서 그런걸꺼야




그렇게 믿고 싶을뿐 ㄱ-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오는 사무실에서  (4) 2010.03.20
직업병 - 안구인식  (0) 2010.03.17
직장일기 - 20100303  (0) 2010.03.03
일하기 싫어서 미친짓!  (0) 2010.02.24
회사에 나갔다.  (8) 2010.02.21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