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버전 정보를 보니 초기버전이다.
현재 올라온건 2009년 버전으로 1.1.0.15 버전인데 이녀석은 1.0.0.3으로 극초기형이다
그래서 펌웨어 받고 업그레이드 했는데..
성격이 급한 죄로.. 업그레이드가 덜 되었는데 전원을 뽑는 바람에 켜지질 않는다. -_-
일단 연결된 랜선에는 불이 들어 오지만, POWER LED에는 불이 들어오지 않고 있는 상황
그냥 컴퓨터에 연결하니 인터넷은 연결되는거 보면 관리기능을 제외한 나머지는 이상이 없이 작동하나보다.
Menu options: --------[1m3Com Baseline Switch 2226-SFP Plus[0m-----------------------
? - Displays Help information
initialize - Reset the device to factory default, except IP.
ipSetup - Configures IP address.
logout - Logout from this session.
ping - Ping a remote station.
password - Change password.
reboot - Power cycles the device.
summary - Summarises IP setup and software versions.
upgrade - Software upgrade over TFTP.
Type ? for help.
_M#]
신기한건.. 로그인은 안바뀌고..
CLI를 통해 접속하여 건드리는 부분도 회사의 것과는 다른 모습 -_-
Login: admin
Password:
Menu options: --------3Com Baseline Switch 2226-SFP Plus-----------------------
? - Displays Help information
initialize - Reset the device to factory default, except IP.
ipSetup - Configures IP address.
logout - Logout from this session.
ping - Ping a remote station.
password - Change password.
reboot - Power cycles the device.
summary - Summarises IP setup and software versions.
upgrade - Software upgrade over TFTP.
Type ? for help.
아래는 원래 회사에서 사용하던 녀석의 도움말(메뉴얼 캡쳐)
<Command-Line> ?
display Display current system information
ip IP configuration commands in an interface
localuser Configure WEB user manager
ping Ping function
quit Exit from current command view
reboot Reset device
restore Restore configuration
save Save current configuration
undo Cancel current setting
결론 : 웹페이지 개발회사였는거 같은데.. 담배를 얼마나 폈길래 허브에서 담배 냄새가 솔솔 날까..
팬이 없어서 방안 가득 니코틴이 채워지진 않아 다행이지만... 머랄까....
작동시간이 길어지면서 열이 나기 시작하고 그러면서... 조금씩 은은하게(!) 퍼지는 느낌이랄까?!
진짜결론 : 진득하게 기다리자 ㅠ.ㅠ
괜히 개고생하지 말구!
사족 : 이녀석 업데이트 참 특이하게 한다. 웹으로 올리고 리부팅하고, 리부팅 이후에 응답이 없는데 그 때 업데이트를 한다.
업로드 중 3분간도 먹통이 되고(왜 100Mbps의 0.01% 속도로 밖에 못 받냐고 -_-)
다 받고 나면 업그레이드 안되어 있고!
리부팅 하고 나면서 그제서야 업그레이드를 시작하는데 별티도 안나고 후우.. 빡신녀석이다 ㅠ.ㅠ
자세히 보니, 끝에 H의 유무에 따라 달라지는 듯한 느낌이 든다.
26H는 현재 생산중이고 26은 단종되었다.
예전 UFO:AI 번역시에 어순의 차이로 인해 번역에 곤혹을 치뤘던게 떠올라서
관련글에 문의를 했더니, 다음과 같은 답변이 달렸다.
gettext에서도 말씀하신 모든 것이 지원이 됩니다.
이러한 예가 broken sentence의 한 종류입니다. 비슷한 경우는 수많은 케이스가 있습니다. gettext를 제대로 쓰르면 "%1d of %2d"와 같이 처음부터 그렇게 코드를 작성해야 나중에 번역만 하면 됩니다.
Although format strings with positions that reorder arguments, such as
"Only %2$d bytes free on '%1$s'."
which is semantically equivalent to
"'%s' has only %d bytes free."
are a POSIX/XSI feature and not specified by ISO C 99, translators can rely
on this reordering ability: On the few platforms where printf(),
fprintf() etc. don't support this feature natively, libintl.a
or libintl.so provides replacement functions, and GNU <libintl.h>
activates these replacement functions automatically.
As a special feature for Farsi (Persian) and maybe Arabic, translators can
insert an ‘I’ flag into numeric format directives. For example, the
translation of "%d" can be "%Id". The effect of this flag,
on systems with GNU libc, is that in the output, the ASCII digits are
replaced with the ‘outdigits’ defined in the LC_CTYPE locale
category. On other systems, the gettext function removes this flag,
so that it has no effect.
Note that the programmer should not put this flag into the
untranslated string. (Putting the ‘I’ format directive flag into an
msgid string would lead to undefined behaviour on platforms without
glibc when NLS is disabled.)
The MII may be used to connect the MAC to an external PHY via a
pluggable connector (see photo), or to connect a MAC chip to a PHY chip
on the same printed circuit board.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edia_Independent_Interface] MII
결론만 말하자면 "안된다"
드물게 다른 기종간에 되는것이 있는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저 예외 조차도, 공정만 바뀐 동일 코어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돈 버리지 말구 그냥 싼걸 사서 SLI 다시 구축해야겠다 -_-
In an SLI configuration, cards can be of mixed manufacturers, card model names, BIOS revisions or clock speeds. However, they must be of the same GPU series (e.g. 8600, 8800) and GPU model name (e.g. GT, GTS, GTX). There are rare exceptions for "mixed SLI" configurations on some cards that only have a matching core codename (e.g. G70, G73, G80, etc.), but this is otherwise not possible, and only happens when two matched cards differ only very slightly, an example being a differing amount of video memory, stream processors, or clockspeed. In this case, the slower/lesser card becomes dominant, and the other card matches. Another exception is the GTS 250, which can SLI with the 9800 GTX+, as the GTS 250 GPU is a rebadged 9800 GTX+ GPU.
은행이자 해봤자 꼴랑 5%
100만원 넣어두면 1년뒤에 5만원이 붙고, 그 나마도 세금공제 하면 수중에 떨어지는건 4만원 겨우 될까 말까 한 돈
하지만 경제성장율은 낮게 잡아도 3%는 넘어가는 시점에서
돈을 쓰지않고 모으고 통장에 묶어 두는게 재테크일까? 라는 생각이 든다.
돈잘버는 방법으로 부동산이라던가 펀드 증권 이런건 일단 열외로 두더라도
법률이 정하는 적당한 방법으로는 돈을 벌기 어렵고,
이러한 일반적인 재테크 방법으로는 돈을 버는게 아닌 현상유지 정도에 급급하다는 것이고,
그런 이유로 대한민국에서의 최고의 재테크는 부잣집과의 결혼 혹은 부동산이 되는 것이다.
이럴 바에는 차라리 시간을 아끼는데 돈을 쓰고
공부하는데 돈을 쓰고, 그 만큼 돈을 더 버는게 옳바른 재테크가 되는게 아닐까?
아무튼, 너무 이리저리 튀면서 CUDA하다 말고 뜬금없이 network로 튄감이 없진 않지만...
일단 아래녀석을 지르고 공부하는게 효율이 좋을듯하다.
$ dmesg | tail -15
[ 325.324377] Ethernet Channel Bonding Driver: v3.5.0 (November 4, 2008)
[ 325.324388] bonding: Warning: either miimon or arp_interval and arp_ip_target module parameters must be specified, otherwise bonding will not detect link failures! see bonding.txt for det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