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장을 대체 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notepad2 와 notepad++가 있다.

1. notepad2

2. notepad++


notepad++을 실행 만 시켜 봤는데, 상당히 화려하고, 먼가 기능이 매우 많아 보인다.
단순하게 용량을 비교 하자면 sourceforge notepad++ 프로젝트 에서 받은
최신 버전의 용량은 3.23MB (3,397,310 바이트)
그리고 압축이 해제된(ANSI/UNICODE 버전 두가지 포함)
디렉토리의 용량은 10.7MB (11,295,036 바이트) 이다.
그리고 실행하는데 시간이 약간 걸린다. 내 시스템에서 화면 나오는데 대략 1초 미만 정도로 추정된다.
[notepad++ 공식 : http://notepad-plus.sourceforge.net/uk/site.htm]

하지만 notepad2는
누르자 마자 실행이 되고, 용량은 한글판 최신 버전 기준 300KB 미만이다.
용량/속도 대비로는 notepad2가 상당히 우세하나, 눈에 보이는 기능이라던가 글꼴은 notepad++가 낫다.

메모장 대체라는 가벼운 용도라면 notepad2를
ultraedit 등의 에디터를 대체하는 용도라면 notepad++를 하는 것이 나을 듯 하다.
[notepad2 공식 : http://www.flos-freeware.ch/notepad2.html]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2008. 12. 29. 16:28
UPX는 실행프로그램을 압축해 주는 유틸리티 입니다.
예를 들어 컴파일한 프로그램의 용량이 500KB 인데 MTD 등에 저장을 해야 해서 용량을 줄이고 싶다면
UPX를 통해 압축을 하면, 프로그램의 용량이 절반 정도로 줄어 듭니다.

C:\cvsdown\upx303w>upx.exe
                       Ultimate Packer for eXecutables
                          Copyright (C) 1996 - 2008
UPX 3.03w       Markus Oberhumer, Laszlo Molnar & John Reiser   Apr 27th 2008

Usage: upx [-123456789dlthVL] [-qvfk] [-o file] file..

Commands:
  -1     compress faster                   -9    compress better
  -d     decompress                        -l    list compressed file
  -t     test compressed file              -V    display version number
  -h     give more help                    -L    display software license
Options:
  -q     be quiet                          -v    be verbose
  -oFILE write output to 'FILE'
  -f     force compression of suspicious files
  -k     keep backup files
file..   executables to (de)compress

Type 'upx --help' for more detailed help.

UPX comes with ABSOLUTELY NO WARRANTY; for details visit http://upx.sf.net

notepad2의 용량이 커서 이것으로 압축을 해보았습니다.
 명령어 : upx.exe -9 -o notepad2_packed.exe notepad2.exe

그랬더니 프로그램의 크기가 절반정도로 줄어 드는군요!
 2008-12-24  오전 12:47           580,096 Notepad2.exe
 2008-12-24  오전 12:47           221,696 Notepad2_packed.exe

알려주신 okto님께 감사의 말씀을 +_+

[링크: http://upx.sourceforge.net/]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i2008. 12. 24. 15:13

메모장에서도 많이 쓰는 기능들을 기술하자면

 

1. 문자 쓰기 (당연하자나!!)

2. 문자 지우기

3. 영역 선택

4. ctrl-f (find)

5. ctrl-c (copy)

6. ctrl-v (paste)

7. ctrl-z (undo)

 

가 아닐까 싶다.

 

문자 쓰기ai두가지 인데 두개의 차이점은, append 냐 insert 냐 이다.

append는 덧붙이는것으로, 만약에

I am a boy.<CR> 이 한줄이라면,. 뒤에는 입력할 방법이 없다.이 경우에 . 뒤에 입력하고 싶으면 . 에서 a를 누르면 된다.

i는 insert 이므로 .에서 i를 누르면 I am a boy insert. 이런식으로 .이 밀려 난다(그 앞에 입력이 시작됨)

 

 append

 

 I am a boy.<CR>

 I am a boy. <CR>

 I am a boy.append<CR>

 

 insert

 I am a boy.<CR>

 I am a boy.<CR>

 I am a boyinsert.<CR>

 

문자 지우기편집 모드(위에서 a나 i 누르고 들어 가는 상태)에서 back space / del 키로 지울 수 있다.

명령어 모드에서는 dd를 하면 한 줄이 지워지고 dw를 누르면 한 단어가 지워진다.

 

영역 선택은 명령어 모드에서 v 를 누르면 visual mode 라고 메모장에서 shift를 누르고 선택하는 것과 비슷하게 선택이 된다.

영역을 선택후에는 삭제나, 하고 싶은 작업을 하면된다.

 

ctrl-f (find) 문자열 검색은 명렁어 모드에서 /문자열 을 입력하면 된다.

다음 문자열 검색은 /<CR> 혹은 n을 하면 다음 문자열을 찾는다. 이전 문자열 검색은 N을 누르면 된다.

 

ctrl-c (copy) 문자열 복사는 한줄을 지우거나 단어를 지우면 그 만큼의 문자열이 자동으로 저장이 된다.

비쥬얼 모드에서 선택영역을 복사하는 방법은 y를 누르면 된다.(사족으로 비쥬얼 모드에서 삭제는 d이다.)

 

ctrl-v (paste) 문자열 붙여넣기는 명령어 모드에서 p를 누르면 insert 된다.

 

ctrl-z (undo) 되돌리기는 명령어 모드에서 u를 누르면 된다. 다시 하기(redo는) ctrl-r 이다

 

---------------

 

테스트 편집기의 기본 기능 중에 추가적인 것으로

 

라인 보기는 명령어 모드에서 :set number <-> :set nonumber

라인으로 이동 은 명령어 모드에서 <라인번호>gg 혹은 <라인번호>G 가장 위로 이동은 gg 가장 아래로 이동은 GG


'프로그램 사용 > vi'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sybox 1.14.3 vi editor  (0) 2009.09.16
vi 에서 대소문자 구분 하지 않고 검색하기 + 단어단위 검색  (0) 2009.09.02
VI에 ctags 사용하기  (0) 2009.07.21
VI syntax highlight 사용하기  (0) 2009.05.26
VI - hex mode  (2) 2009.03.03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GIMP2008. 12. 16. 17:55
GIMP를 쓰면서 불편했던 점은, 매번 곤혹을 치루게 했던 Smooth edge / Hard edge 옵션을
매번 클릭해서 바꾸어서 써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니까.. GIMP 환경 설정은 들어 가본적도 없었다 -ㅁ-!

부랴부랴 찾아 보니 설정 저장에 대한 항목은 있지만
기본 값은 '자동저장 하지 않음'

그런 이유로 매번 설정을 해주는 문제가 발생했던 것이다!


step 1. 편집 - 기본 설정을 살포시 누질러 준다.



step 2. 도구 옵션 항목에 "마칠 때 도구 옵션 저장" 을 확인해주고 겸사겸사
          "도구 옵션 저장" 버튼을 눌러 내친김에 저장하자!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GIMP2008. 12. 15. 17:36
 
 

GIIMP의 도구 상자인데, 주의해야 할 부분은 아래의 부드럽게 하기 , 가장자리 딱딱하게 라는 녀석이다.
이녀석이 기본으로 선택되어 있으므로 의도하지 않은 부분까지도 선택이 된다.
그리고 선택 영역의 점선 표기도 Adobe Photoshop과는 다르게 기본 선택 영역만 점선으로 둘러 쌓인다.
포토샾의 경우에는 흐리게 선택되는 부분까지 점선이 표기 되는데, 이러한 표기법의 차이로 인해서 의도하지 않은
부분까지 한픽셀씩 벗어 나거나 분명히 점선 밖의 영역인데 색이 칠해지는 이해 하지 못할 현상이 발생이 된다.

위의 이유로 인해서 발생한 모습


점선의 우측이 선택된 영역인데 불구하고, 선택 영역이 아닌 좌측 영역 일부에 붉은색이 칠해 진것이 보인다.
위의 부드럽게 선택으로 인해서 약간은 근처까지 선택이 되는 문제인데, 조금은 심각한 버그라고 느껴질 정도이다.


이러한 것을 방지 하기 위해서는 선택과, 칠하는 녀석을
부드럽게 하기는 끄고 가장자리 딱딱하게는 켜고 사용하기 바란다.

Posted by 구차니
2008년 12월 12일 기준 최신 버전은 1.10.9 stable 이다.
간만에 집에 설치하고 사용을 해봤더니 Checkout에서 상당히 다른 부분이 보인다.

1. 버전 정보.


2. Checkout 화면이 바뀌었다!!


3. Fetch List를 하면 예전에는 최상위 폴더만 보이던 것이 이제 하위 폴더도 보이게 변경 되었다.


4. 환경설정에서 속썩이던 WebLog 추적 기능이 사라졌다.


이번 버전에서 아쉬운 점은 아직 한글이 지원되지 않는 다는 점
(인스톨러는 한글이 지원되지만 문맥메뉴(Context-menu : 우클릭 메뉴)에서는 한글이 없다)이다.
Posted by 구차니
WinMerge의 기본 폰트는 한글 Windows 기준 굴림 12pt 이다.
말이 좋아 12pt이지 상당히 어색하게 보이고, 우리가 편하게 보는 폰트는 10pt이다.


WinMerge의 폰트는 폴더 비교/파일 비교 별도로 설정이 된다.

1. 폴더 비교 설정
 폴더 비교에서 보기 - 글꼴 선택에서 원하는 폰트/크기로 설정하면 된다.

2. 파일 비교 설정
 파일 비교에서 보기 - 글꼴 선택에서 원하는 폰트/크기로 설정하면 된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GIMP2008. 12. 10. 15:32

GIMP를 쓰다보니 불편한 점이 포토샾에서는 현재 찍은 위치의 RGB 값과 현재 pixel의 위치가 나왔는데
GIMP에는 나오지가 않는다는 점이었는데, 생각을 해보니 어딘가에 숨어 있을 것 같더군요!

docking 가능한 윈도우 형태로 포토샾에서도 있었으니 GIMP 에서도 한번 찾아 봅시다!

Step.1 창 - 도킹가능한 대화상자에 각종 창들이 있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녀석은 포인터 라는 녀석 입니다.


Step.2 포인터를 누른후 이미지를 띄운 화면입니다.
          하단의 포인터 도킹 윈도우에 현재 좌표와 RGB 값이 출력되고 있습니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GIMP2008. 12. 9. 13:01
공짜를 사랑하는 나로서는 Adobe PhotoShop은 너무나 먼 당신이고
그렇다고 Paint.net은 닷넷 알레르기로 인해서 너무나 먼 당신이다.

아무튼 공짜 만세를 외치면서 GIMP의 간단한 사용법을 알아 보자.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하기
UI 작업을 하다 보니 받아온 시안의 색상이 마음에 안들때가 있다. 다시 디자이너에게 요청하기는 뭣하고
그래서 GIMP로 간단하게 변경을 하고 싶다. 이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따라 하면된다.

step 1. 색상 메뉴의 색상-채도를 선택한다.

step 2.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하기 위해서 색상 슬라이드 바를 움직여 준다.
            그리고 원하는 밝기/채도로 선택한다. 원본 이미지는 파란색이었는데, 색상을 변경하여 붉은색으로 바꾸어 주었다.

step 3. 색상 메뉴의 무채화를 선택하면 흑백으로 변경된다.

step 4. 흑백 이미지에 색상을 주고 싶다면, 색상 메뉴의 컬러화를 선택하여 원하는 색상으로 준다.

위의 예는 단색에 아까운 이미지라서 차이가 안나지만,
여러가지 색이 들어간 이미지에 적용해보면 상당한 차이가 있다.

Posted by 구차니
대한민국은 MS에 점령을 당했고, 이로 인해서 OS를 MS windows가 아닌것으로 선택할때의
손실이 다른것을 선택했을때 보다 크다. 그런 이유로 어쩔수 없이(게임이라고 굳이 표현은 안하겠어!) Windows를 OS로
선택을 해야만 한다. 그럼 다른 부분에서 가격을 줄여 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보는게 현명하다는 판단이 선다.


그런 이유로 MS Windows에서 돌아가는 무료 프로그램을 찾는 것이고,
부가적으로는 Windows가 아닌 다른 OS에서도 쓸만한 레벨의 무료 프로그램을 찾는 것이다.

일단 현재 까지 사용중인 무료 프로그램 / 가벼운 프로그램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1. Foxit Reader / Acrobat reader 대체
2. OpenOffice / MS Office 대체
3. FireFox / Internet Explorer 대체
4. WinMerge / Araxis Merge 대체
5. AcroEdit / 메모장 대체(?!)
6. GIMP / PhotoShop 대체
7. 빵집 / 알집 대체


이 중에서 굵게 표시된 것은 Linux 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니
OS가 MS Windows가 아니더라도 사용이 가능한 완전 무료 환경을 구축하는데
조금은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Linux + AIGLX + Open Office + GIMP 조합이면
MS Windows VISTA + MS Office + Adobe Photoshop을 대체 가능하다.

MS Windows 대략 30
MS Office 2007 대략 30
Photoshop CS3 대략 80

물론 하드웨어 가격이 줄어서 OS만도 못한 가격이 되었지만, 반대로 너무나 비싸진 프로그램의 가격은 정말
너무나 먼 당신이다 ㅠ.ㅠ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