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subversion/config 파일의 [tunnels] 부분 내용이다.

### Section for configuring tunnel agents.
[tunnels]
### Configure svn protocol tunnel schemes here.  By default, only
### the 'ssh' scheme is defined.  You can define other schemes to
### be used with 'svn+scheme://hostname/path' URLs.  A scheme
### definition is simply a command, optionally prefixed by an
### environment variable name which can override the command if it
### is defined.  The command (or environment variable) may contain
### arguments, using standard shell quoting for arguments with
### spaces.  The command will be invoked as:
###   <command> <hostname> svnserve -t
### (If the URL includes a username, then the hostname will be
### passed to the tunnel agent as <user>@<hostname>.)  Here we
### redefine the built-in 'ssh' scheme to avoid an unfortunate
### interaction with the "ControlMaster auto" feature (for
### details, see Debian Bug #413102):
ssh = $SVN_SSH ssh -o ControlMaster=no
### If you wanted to define a new 'rsh' scheme, to be used with
### 'svn+rsh:' URLs, you could do so as follows:
# rsh = rsh
### Or, if you wanted to specify a full path and arguments:
# rsh = /path/to/rsh -l myusername
### On Windows, if you are specifying a full path to a command,
### use a forward slash (/) or a paired backslash (\\) as the
### path separator.  A single backslash will be treated as an
### escape for the following character.

http://www.pyrasis.com/main/Subversion-HOWTO#s-4.4 의 문서에 의하면 저기에 있는

ssh = $SVN_SSH ssh -o ControlMaster=no

ssh = ssh -l userid

로 하면 된다고 하는데.. 해도 안된다 ㅠ.ㅠ
svn client의 차이때문일려나... (예제는 콘솔에서이고 나는 TortoiseSVN에서)


그리고 TortoiseSVN의 설명에서는
.ssh/ 에 몇가지 RSA 키를 생성하고 접속시에
svn+ssh://svnuser@SvnConnection/repos
이렇게 하라는데.. 여전히 안된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winscp2009. 5. 10. 00:36
윈도우에서는 winscp를 이용하면 간단하고 쉽게 SSH/FTP에 접속이 가능하다.
putty와 별개로 작동해서 약간은 불편하지만, 그래도 freeware라는 장점이 있다


winSCP는 포터블 버전으로 받으면 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putty 에서 session으로 저장하면 winSCP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winscp : http://winscp.net/]




아무튼 이런 GUI 프로그램을 찾다 보니.. gFTP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winSCP와 거의 유사한 모양으로 상당히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단, SFTP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밀번호 옆의 프로토콜을 SSH2로 맞추어 주어야 한다.

[gFTP : http://gftp.seul.org/]


아무튼. 혹시나 해서 명령어를 쳐봤더니 sftp라는 것이 존재한다.
포트 설정법은 -oPort=22 이런식으로 해주는것 외에는 ftp 클라이언트와 거의 동일하게 사용하면 된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2009. 5. 8. 16:58
테스트를 할 일이 있어서, 짧은 MP3 파일이 필요 했는데
mp3 자르는 프로그램을 찾다 보니 이 프로그램이 가장 유명한 것 같아서 사용하게 되었다.


글씨로만 이루어진 타이틀도 참 이쁘다는 생각이든다

파일을 열게 되면 나오는 알림 문구, 나오는 파형은 실제 파형이 아니라고 경고를 하고 있다.

mp3는 가청주파수 외에는 전부 자르고,
약한 소리는 강한 소리에 파뭍혀 들리지 않는 특성을 이용하므로
결과론적으로 파형중 가장 강한 소리의 파형만 보이게 된다.

파일을 열면 이렇게 깔끔하게 보인다. 중앙의 확대 축소로 배율을 조정이 가능하다

자르는데 필요한 것은 클릭 / 드래그
(선택된 영역은 밝은 형광 파란색이다)

그리고 메뉴에서 선택구간 저장

[공식 : http://mpesch3.de1.cc/mp3dc.html]
Posted by 구차니
출근길에 SVN 설명서를 읽어 보니..

svn에 접속하는 방법으로는

file://
svn://
svn+ssh://
http://

정도가 있다고 한다.

근데.. http:// 를 이용하는 방법 외에는
svn 사용 로그가 남는 방법이 없다고 한다.

cvs에 비해서는 사용로그가 남지 않는 다는 건 관리자 측면에서는 아쉽지만,
사용자 측면에서는 아무런 아쉬움이 없으니 음..



[출처  : http://svnbook.red-bean.com/nightly/en/svn-book.pdf]
Posted by 구차니
예를 들어
/home/svn 이 svn의 저장소를 놓을 위치이고
그 아래에 각각의 프로젝트가 들어 간다면

저장소의 위치는 /home/svn이다.

svnserve -d로 구동할때 의 경로는 /home/svn이 되고
svn으로 checkout을 할때의 경로는 각 프로젝트를 넣어 준다.

예를 들어

/home/svn/proj1
/home/svn/proj2
가 있다면

svn://svnserver.ip.addr/proj1
이런식으로 접속하면 프로젝트에 대해서 보인다.

음.. 그런데 굳이 각각의 저장소로 여러개의 저장소에 구분을 해야 하는 이유가 있을려나..
그냥 repos 이런식으로 하나의 저장소만을 만들고
그 아래에 디렉토리/폴더로 구분하면 될텐데 말이다...

아무튼 각 저장소별 ./conf 디렉토리에는
passwd / auth / svnserve.conf가 존재하며

svnserve.conf의 주석 몇개와
passwd에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면
svn:// 식으로 접속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svn+ssh://은 아직.. OTL


svnserve.conf
### This file controls the configuration of the svnserve daemon, if you
### use it to allow access to this repository.  (If you only allow
### access through http: and/or file: URLs, then this file is
### irrelevant.)

### Visit http://subversion.tigris.org/ for more information.

[general]
### These options control access to the repository for unauthenticated
### and authenticated users.  Valid values are "write", "read",
### and "none".  The sample settings below are the defaults.
anon-access = read
auth-access = write
### The password-db option controls the location of the password
### database file.  Unless you specify a path starting with a /,
### the file's location is relative to the directory containing
### this configuration file.
### If SASL is enabled (see below), this file will NOT be used.
### Uncomment the line below to use the default password file.
password-db = passwd
### The authz-db option controls the location of the authorization
### rules for path-based access control.  Unless you specify a path
### starting with a /, the file's location is relative to the the
### directory containing this file.  If you don't specify an
### authz-db, no path-based access control is done.
### Uncomment the line below to use the default authorization file.
# authz-db = authz
### This option specifies the authentication realm of the repository.
### If two repositories have the same authentication realm, they should
### have the same password database, and vice versa.  The default realm
### is repository's uuid.
# realm = My First Repository

[sasl]
### This option specifies whether you want to use the Cyrus SASL
### library for authentication. Default is false.
### This section will be ignored if svnserve is not built with Cyrus
### SASL support; to check, run 'svnserve --version' and look for a line
### reading 'Cyrus SASL authentication is available.'
# use-sasl = true
### These options specify the desired strength of the security layer
### that you want SASL to provide. 0 means no encryption, 1 means
### integrity-checking only, values larger than 1 are correlated
### to the effective key length for encryption (e.g. 128 means 128-bit
### encryption). The values below are the defaults.
# min-encryption = 0
# max-encryption = 256

passwd
### This file is an example password file for svnserve.
### Its format is similar to that of svnserve.conf. As shown in the
### example below it contains one section labelled [users].
### The name and password for each user follow, one account per line.

[users]
# harry = harryssecret
# sally = sallyssecret
userid = password

위의 경우는 사용자명 userid, 암호가 password인 경우이며,
svn에 수정/삭제 시 아래와 같이 인증을 요구하게 된다.



[참고 : http://www.pyrasis.com/main/Subversion-HOWTO#s-4.3]
Posted by 구차니
우분투에 ssh를 설치후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무진장 긴 메시지가 나온다

The programs included with the Ubuntu system are free software;
the exact distribution terms for each program are described in the
individual files in /usr/share/doc/*/copyright.

Ubuntu comes with ABSOLUTELY NO WARRANTY, to the extent permitted by
applicable law.

To access official Ubuntu documentation, please visit:
http://help.ubuntu.com/

/etc/motd.tail 파일을 수정하면 우분투 ssh 접속시 나오는 메시지를 바꿀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데비안 계열은 이 내용을 수정하는 것은 불법이라고 하는데.. 조금 짜증나도 냅둬야 하나?

[링크: http://www.coveredjin.com/tag/ssh%20%EB%A9%94%EC%84%B8%EC%A7%80]

2010.02.04 추가
/etc/issue 파일에 일반적으로 로그인시 출력하는 메시지가 들어있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nfs2009. 4. 29. 18:05
Root-NFS: Server returned error -13 while mounting /home/...

이녀석은... 뒤의 경로를 잘못 입력했을 때 발생한다.
Posted by 구차니
솔찍히 gprof로 나오는 결과를 보는 방법도 모르겠고
간단한 프로그램으로는 결과도 제대로 나오지 않아서 실제로 사용해본적이 없다.
아무튼.. 간단하게 gui로 보여주는게 있길래 일단 링크

Download

Don't remember when, 2007, or maybe 2008.
xgprof-0.9.tar.gz
More improvements in the GUI, provided by Enrico Segre (dig the web to get his contact, he might still be at the Weizmann Institute).



[링크 : http://sed.free.fr/xgprof/]


Posted by 구차니
sudo apt-get 방식으로 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패키지 이름은 ssh 이며
sudo apt-get install ssh
라고 입력하면 바로 설치 된다.

ubuntu 8.10 에서 실행시 별다른 설정없이 기본 포트인 22번으로 바로 실행이 되며,
X11 Forwarding 역시 문제 없이 별다른 설정없이 가능했다.

[출처 : http://sanghoon.wordpress.com/2007/12/05/]
Posted by 구차니
ponyprog는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AVR ISP 용 프로그램이다.
물론 리눅스용도 있긴 하지만, 문제는 구버전용이라는 것.

PonyProg2000 v2.05a BETA English binary distribution (RedHat7.0 + Kernel 2.4.x)
PonyProg2000 v2.06c BETA English binary distribution (RedHat7.0 + Kernel 2.4.x)

라고 써있듯 Redhat 9도 아니고 무려 7용이다.. OTL
이것을 실행하려면 Fedora Core 9에서는 기본으로는 안되고 별도로
legacy library를 설치를 해야 할 듯하다.

일단 구동하면 발생하는 에러는
# ponyprog2000
ponyprog2000: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stdc++-libc6.2-2.so.3: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libstdc++ 이 필요 하다라고 나오는 것 봐서는.. 꽤나 구형 라이브러리들을 많이 설치를 해야 할 듯 한데,
충돌없이 잘 작동이 되려나..

[ponyprog 공식 : http://www.lancos.com/ppwin95.html]



avrdude는 IO 포트를 사용해야 하므로, 반드시 root 권한으로 사용해야 한다.(역시 구형인가..)
그리고 AVRDUDE는.. STK-200 호환인지 먼지 알수가 없어서 하려고 하는데 이래저래 실패만 잔뜩..

$ avrdude -p m128 -c stk200 -P /dev/parport0
avrdude: can't open device "/dev/parport0": Permission denied
avrdude: failed to open parallel port "/dev/parport0"

# avrdude -p m128 -c stk200 -P /dev/parport0

avrdude: AVR device not responding
avrdude: initialization failed, rc=-1
         Double check connections and try again, or use -F to override
         this check.


avrdude done.  Thank you.

2009/04/15 - [AVR / 8051] - gnome-avrdude : avrdude GUI frontend for gnome


스리슬적 성공기
# avrdude -p m128 -c stk200 -P /dev/parport0

avrdude: AVR device initialized and ready to accept instructions

Reading | ################################################## | 100% 0.00s

avrdude: Device signature = 0x1e9702

avrdude: safemode: Fuses OK

avrdude done.  Thank you.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