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사용'에 해당되는 글 2386건

  1. 2009.10.16 samba share / server 종류
  2. 2009.10.16 cuda로 돌린 credit
  3. 2009.10.15 seti@home cuda 2
  4. 2009.10.13 seti@home SSE 최적화
  5. 2009.10.09 seti@home 2
  6. 2009.10.06 VI 자동 줄 정렬
  7. 2009.10.06 vi auto indent
  8. 2009.10.06 Blender 환경설정 및 조작
  9. 2009.10.01 Free 3D 프로그램
  10. 2009.10.01 Blender Mesh Tools / Extrude (2.49a)
딱히 용어로 적힌건 발견하지 못했는데

# nmblookup -S "SERVERNAME"
querying STREAM on 192.168.10.255
192.168.10.4 STREAM<00>
Looking up status of 192.168.10.4
        STREAM          <00> -         B <ACTIVE>
        WORKGROUP       <00> - <GROUP> B <ACTIVE>
        STREAM          <20> -         B <ACTIVE>
        WORKGROUP       <1e> - <GROUP> B <ACTIVE>

        MAC Address = 00-00-00-00-00-00

nmblookup으로 domain을 해석할때, <00> 이나 <20> <1e> 이러한 값들이 출력이 되는데
그 의미는 아래의 표에 나와있다.

Table 29.1. Unique NetBIOS Names

MACHINENAME<00> Server Service is running on MACHINENAME
MACHINENAME<03> Generic machine name (NetBIOS name)
MACHINENAME<20> LanMan server service is running on MACHINENAME
WORKGROUP<1b> Domain master browser

Table 29.2. Group Names

WORKGROUP<03> Generic name registered by all members of WORKGROUP
WORKGROUP<1c> Domain cntrollers/netlogon servers
WORKGROUP<1d> Local master browsers
WORKGROUP<1e> Browser election service


[링크 : Unique NetBIOS names and group names]
Posted by 구차니
Task ID
click for details
Computer Sent Time reported
or deadline
explain
Status Run time
(sec)
CPU time
(sec)
Claimed credit Granted credit Application
1391845117 5139942 14 Oct 2009 22:48:20 UTC 15 Oct 2009 3:04:04 UTC Completed and validated 5,759.47 285.50 114.46 83.26 SETI@home Enhanced v6.08 (cuda)
1391845118 5094307 14 Oct 2009 22:48:21 UTC 15 Oct 2009 20:17:42 UTC Completed and validated 21,000.04 21,000.87 83.26 83.26 SETI@home Enhanced v6.03


위의 5139942가 8600GT가 장착된 내 컴퓨터이다.
일단 Application은 cuad로 되어있고,
CPU 타임에서 보면 285.50초로 대부분이 cpu보다는 gpu에서 작동이 된 것을 볼 수 있다.
Validation을 위한 다른 pc의 작업 시간은 21000.87 초이다.

음.. 그런데 솔찍히 cuda용이라고 해서 더 많이 할당되서 많이 처리 된건 아니고,
지키고 보고 있어도, cuda로 처리되는건 티가 잘 안나니.. 답답하다. ㅠ.ㅠ

[링크 : http://setiathome.berkeley.edu/workunit.php?wuid=517730292]

'프로그램 사용 > BOINC - seti@ho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ti@home cuda 연산  (2) 2009.10.17
seti@home boinc cuda 연산  (0) 2009.10.17
seti@home cuda  (2) 2009.10.15
seti@home SSE 최적화  (0) 2009.10.13
seti@home  (2) 2009.10.09
Posted by 구차니

집에서 8600GT를 꼽고 돌려봤는데 흐음...
솔찍히 왜이리 많이 받는지 모르겠다마는...

그래픽 카드 + CPU 해서 왕창 받고 왕창 혹사 시키는 듯 하다.

'프로그램 사용 > BOINC - seti@ho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ti@home cuda 연산  (2) 2009.10.17
seti@home boinc cuda 연산  (0) 2009.10.17
cuda로 돌린 credit  (0) 2009.10.16
seti@home SSE 최적화  (0) 2009.10.13
seti@home  (2) 2009.10.09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다운로드]
32bit 윈도우 환경 : http://lunatics.kwsn.net/index.php?module=Downloads;sa=dlview;id=203
64bit 윈도우 환경 : http://lunatics.kwsn.net/index.php?module=Downloads;sa=dlview;id=206


SSE2 와
SSSE2 를 혼돈하지 않도록 주의!

그런데.. 이 패치를 적용하면 속도는 빨라지는거 같은데..(1초씩 주는게 아니라 2~3초씩 줄어듦)
"그래픽 보여주기"가 비활성화 된다! ㅠ.ㅠ


[링크 : http://210.218.8.126/zseti/zboard.php?id=setihelp&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734]

'프로그램 사용 > BOINC - seti@ho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ti@home cuda 연산  (2) 2009.10.17
seti@home boinc cuda 연산  (0) 2009.10.17
cuda로 돌린 credit  (0) 2009.10.16
seti@home cuda  (2) 2009.10.15
seti@home  (2) 2009.10.09
Posted by 구차니
다음 만화 때문에 seti@home에서 한국의 참여율이 좀 오르면 좋겠다는 생각이들긴 하지만
글쎄.. 얼마나 차이가 있으려나..


아무튼 이녀석 안한지도 1년이 넘었다.
간만에 들어가서 봤더니, 아니나 다를까 CUDA를 이용하여 GPU도 연산에 포함시키는 BOINC도 추가되어 있었다.

문제는 NVIDIA에서는 Geforce 8000대 부터 CUDA를 지원하는 점..

[링크 : http://boinc.berkeley.edu/gpu.php]



오랫만에 돌렸더니
471일 만에 켠거구나..

'프로그램 사용 > BOINC - seti@ho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ti@home cuda 연산  (2) 2009.10.17
seti@home boinc cuda 연산  (0) 2009.10.17
cuda로 돌린 credit  (0) 2009.10.16
seti@home cuda  (2) 2009.10.15
seti@home SSE 최적화  (0) 2009.10.13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i2009. 10. 6. 20:31
비쥬얼 스튜디오에서 Alt-f8로 하는 자동 줄 정렬 기능이 VI에도 존재한다.

V를 누른후 Visual mode에서 블럭선택 후 = 를 누른다.

V를 누른후 Visual mode에서 <, >를 누르면 탭 하나씩 옆으로 이동한다.
<는 탭 하나 제거, >는 탭 하나씩 추가



비주얼 블럭(?)으로 잡고 = 을 누르면 알아서 indent 조정해 주고요
< 를 누르면 한탭씩 뒤로 이동합니다 8)

[링크 : http://kldp.org/node/20343]


2010.09.25 추가
[링크 : http://overegoz.tistory.com/644]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i2009. 10. 6. 20:08
자동 들여쓰기 설정
:set ai

자동 들여쓰기 해제
:set noai

[링크 : http://k.daum.net/qna/view.html?qid=2f8A4]
[링크 : http://vim.wikia.com/wiki/How_to_stop_auto_indenting]

'프로그램 사용 > vi'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mdiff  (0) 2009.10.29
VI 자동 줄 정렬  (0) 2009.10.06
busybox 1.14.3 vi editor  (0) 2009.09.16
vi 에서 대소문자 구분 하지 않고 검색하기 + 단어단위 검색  (0) 2009.09.02
VI에 ctags 사용하기  (0) 2009.07.21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Blender2009. 10. 6. 17:34
블렌더는 항상 기본 화면이 나오고, 항상 Split Area로 나누주곤 했는데
Screen에 저장하지 않고도 기본으로 설정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다.


Save Default Settings 해주면,
- 현재 분할된 윈도우
- 현재 버튼의 크기가 저장된다.

[링크 : http://blog.naver.com/sinyeobi/10031481095]


그리고 키보드 없이 타블렛만으로 하다보니, LMB와 RMB만 사용할 수 있는데,
키보드 단축키로만 알고 있던 녀석을 마우스로만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었다.

저기의 툴팁에서 보이듯, Ctrl-Space로 활성화 / 비활성화를 가능한 부분이다.
처음의 빨간색 삼각형은 Translate manipulation mode(=이동)이다.

Ctrl-Space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Enable / Disable이 나오는데, 위의 아이콘을 누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낸다.

Disable 시키면, Axis cursor가 사라지고, 커서 오른쪽의 메뉴가 사라진다.

Rotate는 객체선택 후 R 키를 누르거나(화면은 이것과 다름) Ctrl-spaceRotate를 선택하면 된다.
그게 아니라면 아래의 동그라미 아이콘을 누르거나, 단축키이니 Ctrl-Alt-R을 누르면 된다.

Manipulator mode(= 늘리기)

R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아무런 Guide 없이 점선 하나만 나타난다.

이 상태에서 x,y,z 를 누르면 회전가능한 방향이 고정된다.

x를 눌러 x축으로만 고정시키고, 커서를 움직여 회전된 모습. 점선이 늘어났다.

메뉴에서 Rotate를 한 화면, 빨간선은 X축 고정 회전이다.

X축만 눌러서 회전시키면 아래와 같이 좀더 멋진(!) UI로 나온다.

머.. 타블렛으로 하려면 아래의 아이콘을 죽어라 누르는 수 밖에 없다 ^^;

[링크 : http://blog.naver.com/sinyeobi/10031716728]

'프로그램 사용 > Blend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ender 2.57 released!  (2) 2011.04.20
Blender - 시점 변경하기  (7) 2011.04.17
Blender Mesh Tools / Extrude (2.49a)  (0) 2009.10.01
Blender SubSurf (Blender 2.49a)  (0) 2009.10.01
Blender Vertex 조작하기 (Blender 2.49a)  (0) 2009.10.01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2009. 10. 1. 10:45
아는 녀석이 말해주길래 검색을 해봤더니, Blender 외에도 몇가지 Free 한 녀석들이 있다.
[Blender : http://www.blender.org/]


Metasequoia - 무료 버전 제공
이거 설마.. 데브캣?

[메타세퀘이어 소개 : http://www.hongspaper.com/chobo/metase.htm]
[메타세퀘이어 : http://www.metaseq.net/metaseq/download.html]


트루스페이스 - 전부 무료

[TrueSpace : http://www.caligari.com/]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Blender2009. 10. 1. 00:39
Extrude는 2차원을 3차원으로 하나의 축을 더 만들어주는 역활을 한다.
Mesh Tools에 속해있으며 Edit mode에서만 활성화 된다.

Plane Mesh를 하나 만들고 Edit mode에서 Extrude를 누른다.

Extrude를 누르면 커서가 ? 로 바뀌는데 원하는 물체를 클릭하면 메뉴가 뜬다.

Region을 선택한 화면

Only Edges를 선택한 화면

Only Vertices를 선택한 화면

조금씩 결과가 다르지만, 2차원 정보가 3차원 정보로 업그레이드 되는 것은 동일하다.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