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사용/Blender2009. 10. 1. 00:26
SubSurf는 면을 자동으로 쪼개서 부드럽게 해주는 기능이다.
사각형에서는 숫자가 올라갈수록 동그랗게 되는데 마치 GIMP의 Feather(페더) 기능과 비슷한 느낌이 든다.
하지만 원숭이(Monkey Mesh)는 맨질맨질 해진다.

Level은 1에서 6까지 가능하다.

2009.10.06 추가
Levels는 화면에 보이는 Level이고
Render Levels는 렌더링된 결과의 Level이다.

즉, Render Level을 올려야 결과물이 제대로 매끄럽게 나온다.
작업시에는 Levels의 값을 높이면 느려지게 되므로, Levels 값을 낮게하고,
렌더링시에 확인을 하는 것이 좋다.

대조군 스샷

SubSurf는 Editing 메뉴(F9)의 Modifier에 존재하고, 추가를 해야 한다.

Level 1에서는 사각형이  울퉁불퉁한 원이 되었다.

Level을 올릴수록 원에 가까워진다.





아래는 울퉁불퉁 원숭이 예제






절대 귀찮아서 스샷으로 때우는거 아님 -ㅁ-!


[링크 : http://blog.naver.com/sinyeobi/10031782108]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Blender2009. 10. 1. 00:09
Vertex의 위치를 조절해서 원하는 모양을 만드는데,
타블렛으로 하다 보니 조금은 기묘한(어쩌면 설명서 제대로 안 읽어서 생긴) 행동을 발견하게 되었다.
키보드를 같이 쓴다면,

KEY-G 를 눌러 Grab을 하고 - 마우스를 이동 한 뒤 - 왼쪽 클릭을 하면(LMB click)
변형이 완료되는데, 타블렛만으로 하려니 이러한 조작을 할수가 없다.
타블렛으로 가능한 변형은 축을 클릭하거나, 그 외의 지점을 살짝 드래그 해서 KEY-G를 누른 것처럼 인식시키는 것이다.
(제스쳐에 이러한 행동이 포함되어 있는지는 모르겠다)
(제스쳐 중에 하나로 수평하게 LMB을 누른채 드래그 하면 변형으로 인식한다)

아래의 화면은, 하나의 Vertex를 Editmode에서 선택한 화면이다.

파란점을 클릭한 화면(LMB blue spot, Z axis click), Z축으로만 변경이 가능하다

Z 축으로만 변형하는 모습

녹색선을 클릭한 화면(LMB green line, Y axis click), Y축으로만 변경이 가능하다

빨간선을 클릭한 화면(LMB red line, X axis click), X축으로만 변경이 가능하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Blender2009. 9. 30. 12:14
아래의 ch04s02는 Blender 2.3 튜토리얼이다.
아무튼 따라 하는데.. 메뉴가 없어서 헤메다가 오늘 한번 찾아보니.. 버전이 달라지면서
메뉴의 위치가 변경되었나보다.


위 : 2.3 의 메뉴
아래 : 2.4 의 메뉴



[링크 : http://download.blender.org/documentation/htmlI/ch04s02.html]
[링크 : http://wiki.blender.org/index.php/Doc:Manual/Modelling/Meshes/Subdivision_Surfaces]

Posted by 구차니
# nmblookup --help
Usage: <NODE> ...
  -B, --broadcast=BROADCAST-ADDRESS      Specify address to use for broadcasts
  -f, --flags                            List the NMB flags returned
  -U, --unicast=STRING                   Specify address to use for unicast
  -M, --master-browser                   Search for a master browser
  -R, --recursion                        Set recursion desired in package
  -S, --status                           Lookup node status as well
  -T, --translate                        Translate IP addresses into names
  -r, --root-port                        Use root port 137 (Win95 only replies to this)
  -A, --lookup-by-ip                     Do a node status on <name> as an IP Address

Help options:
  -?, --help                             Show this help message
  --usage                                Display brief usage message

Common samba options:
  -d, --debuglevel=DEBUGLEVEL            Set debug level
  -s, --configfile=CONFIGFILE            Use alternate configuration file
  -l, --log-basename=LOGFILEBASE         Base name for log files
  -V, --version                          Print version

Connection options:
  -O, --socket-options=SOCKETOPTIONS     socket options to use
  -n, --netbiosname=NETBIOSNAME          Primary netbios name
  -W, --workgroup=WORKGROUP              Set the workgroup name
  -i, --scope=SCOPE                      Use this Netbios scope

[링크 : http://linux.die.net/man/1/nmblookup]

NetBIOS를 resolve 할 수 있는 방법인데

# nmblookup -T "SERVERNAME"
querying STREAM on 192.168.10.255
192.168.10.4 STREAM<00>

# nmblookup -A "IP ADDRESS"
Looking up status of 192.168.10.4
        STREAM          <00> -         B <ACTIVE>
        WORKGROUP       <00> - <GROUP> B <ACTIVE>
        STREAM          <20> -         B <ACTIVE>
        WORKGROUP       <1e> - <GROUP> B <ACTIVE>

        MAC Address = 00-00-00-00-00-00

# nmblookup -S "SERVERNAME"

querying STREAM on 192.168.10.255
192.168.10.4 STREAM<00>
Looking up status of 192.168.10.4
        STREAM          <00> -         B <ACTIVE>
        WORKGROUP       <00> - <GROUP> B <ACTIVE>
        STREAM          <20> -         B <ACTIVE>
        WORKGROUP       <1e> - <GROUP> B <ACTIVE>

        MAC Address = 00-00-00-00-00-00


보다시피 -S는 -A 와 -T의 조합으로 실행되고, -T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아이피를 구할 수 있다.



2011.04.28 추가
헐 검색하고 나니 이미 찾았던 내용이라니 ㅠ.ㅠ
windows의 nbtstat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유틸리티이다. 
Posted by 구차니
netBIOS - Network Basic Input/Output System
netBEUI - NetBIOS Extended User Interface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NetBIOS]
[링크 : http://www.terms.co.kr/NetBEUI.htm]


NBT - NetBIOS over TCP/IP
NBNS - NetBIOS Name Service
WINS - Windows Internet Name Service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NetBIOS_over_TCP/IP#Name_service]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Windows_Internet_Name_Service]


winbind - network account sharing/authentication daemon

[링크 : http://docs.hp.com/ko/B8725-90122/ch07s02.html]

이름은 비슷하지만 winbind는 로그인과 관련된 계정정보를 관할하고
WINS는 DNS와 같은 서버 이름의 해석을 관할한다.
Posted by 구차니
smbd를 구동하고 테스트 삼아
smbclient -L localhost
를 하는데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일부에서는 설정상에 host allow/host deny 의 설정 오류 혹은
방화벽의 문제일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해결 못함..OTL)


[링크 :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linux-server-73/samba-2317-call-returned-zero-bytes-eof-649301/]
[링크 : http://forums.gentoo.org/viewtopic-t-479067-start-0.html] << 이탈리아어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gcc2009. 9. 21. 21:33
--sysroot=dir
    Use dir as the logical root directory for headers and libraries. For example, if the compiler would normally search for headers in /usr/include and libraries in /usr/lib, it will instead search dir/usr/include and dir/usr/lib.

    If you use both this option and the -isysroot option, then the --sysroot option will apply to libraries, but the -isysroot option will apply to header files.

    The GNU linker (beginning with version 2.16) has the necessary support for this option. If your linker does not support this option, the header file aspect of --sysroot will still work, but the library aspect will not.

-isysroot dir
    This option is like the --sysroot option, but applies only to header files.  See the --sysroot option for
    more information.

[링크 : http://linux.die.net/man/1/gcc]

기본값은 /usr/include 인데, -sysroot로 기본 디렉토리를 변경 시키면
<stdio.h> 와 같은 파일도 찾지 못해 link 에러를 발생시키며 컴파일이 실패된다.

$ more test.c
#include <stdio.h>

int main(int argc, char **argv)
{
        printf("hello world\n");
        return 0;
}

$ gcc --sysroot=/ test.c
/usr/bin/ld: this linker was not configured to use sysroots
collect2: ld returned 1 exit status



아무튼, 크로스컴파일과 같이 특정 include 디렉토리를 사용해야 할 경우,
--sysroot 를 이용해서 변경하면 될 듯 하다
Posted by 구차니
아래 링크를 보니, target을 위한 include 들이 잘못되었을 것이라고 되어있다.
나의 경우에는 samba 크로스컴파일 중에 겪은 녀석으로(글 쓰는 시점에도 미해결 ㅠ.ㅠ)
이걸 해결한 줄 알고 있었더니, 콤보로 Error: unknown opcode 라는 녀석이 발동되었다..
왜인가 했더니.. macro 라고 되어있다. 그런이유로, asm 레벨에서 오류가 있었다고 하고
조금은 뜬금 없어 보이지만, asm 에 불가능한 문구가 있다고 에러가 나는 듯 하다.


FD_ZERO is a macro used to initialise an fd_set structure prior to using
select().  These are OS-provided, so if they won't compile then this
suggests that you're using the wrong headers for the target.

[링크 : http://www.realvnc.com/pipermail/vnc-list/2007-February/057070.html]


추적 / Trace
# grep -rn "FD_ZERO" /usr/include
/usr/include/sys/select.h:96:#define    FD_ZERO(fdsetp)         __FD_ZERO (fdsetp)

/usr/include/bits/select.h:70:#define __FD_ZERO(fdsp) \
 26 # define __FD_ZERO(fdsp) \
 27   do {                                                                        \
 28     int __d0, __d1;                                                           \
 29     __asm__ __volatile__ ("cld; rep; stosl"                                   \
 30                           : "=c" (__d0), "=D" (__d1)                          \
 31                           : "a" (0), "0" (sizeof (fd_set)                     \
 32                                           / sizeof (__fd_mask)),              \
 33                             "1" (&__FDS_BITS (fdsp)[0])                       \
 34                           : "memory");                                        \
 35   } while (0)

/usr/include/asm/posix_types.h:70:#define __FD_ZERO(fdsetp) \
 69 #undef  __FD_ZERO
 70 #define __FD_ZERO(fdsetp) \
 71 do { \
 72         int __d0, __d1; \
 73         __asm__ __volatile__("cld ; rep ; stosl" \
 74                         :"=m" (*(__kernel_fd_set *) (fdsetp)), \
 75                           "=&c" (__d0), "=&D" (__d1) \
 76                         :"a" (0), "1" (__FDSET_LONGS), \
 77                         "2" ((__kernel_fd_set *) (fdsetp)) : "memory"); \
 78 } while (0)

Posted by 구차니
아마.. 옵션 바꾸어 본다고 쑈를 하다가
make clean 안하고 하는 바람에 생긴 문제인 듯 하다.


unknown opcode는 어셈블리 수준에서 특정 명령어가 잘 못 되었다는 건데,
중간에 make 하다가 중단되어 옵션을 변경하고 clean 하지 않은채 다시 컴파일을 시도하면
이미 compile 된 녀석들은 잘못된 옵션으로 컴파일이 되면서 특정 함수를 못 찾거나
혹은 이러한 특수한 에러를 발생 시키는 듯 하다.



일단 make clean 후에
./configure 를 수행 후
make 하도록 하면 이러한 에러는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osted by 구차니
오프라인에서도 마지막에 서버에서 받은 것과 diff 할 수 있다!

2010.02.02 추가
(cvs에서는 온라인이 아니라면 비교해 볼수도 없다.)
2009/05/08 - [프로그램 사용/SVN/CVS] - SVN의 단점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