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ded/AVR (ATmega,ATtiny)2013. 12. 18. 18:32
만든데가 사라졌나.. 은근 구하기 힘드네..
AVR 부트로더를 이용한 AVR 업로드 프로그램이다.



[링크 : https://code.google.com/p/nsk-embedded-downloads/]

'embeded > AVR (ATmega,ATtin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R-GCC Program space  (0) 2013.12.19
ATmega128 BOOTSZ  (0) 2013.12.19
AVR soft reset  (0) 2013.12.18
AVR Studio / avr-libc bootloader  (0) 2013.12.18
COM26T2844VTX LCD 데이터 시트  (0) 2013.07.23
Posted by 구차니
embeded/AVR (ATmega,ATtiny)2013. 12. 18. 14:28
결국(?)은 와치독을 이용해서 리셋 시키는 것 외에는 없는걸려나?

[링크 : http://support.atmel.com/bin/customer.exe?=&action=viewKbEntry&id=21]
[링크 : http://bomoolchanggo.blogspot.kr/2009/10/avr-atmega128-software-reset.html]

'embeded > AVR (ATmega,ATtin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mega128 BOOTSZ  (0) 2013.12.19
AVROSP  (0) 2013.12.18
AVR Studio / avr-libc bootloader  (0) 2013.12.18
COM26T2844VTX LCD 데이터 시트  (0) 2013.07.23
ST-23G / EL-23G 가지고 놀기  (0) 2013.07.07
Posted by 구차니
embeded/AVR (ATmega,ATtiny)2013. 12. 18. 13:23
AVR Studio 도움말을 보니.. 섹션을 나누어서 부트로더로 할당이 가능하다는데...
자세한건 조금더 찾아 봐야겠네...

Select the Memory Type, name and address for the new segment and press Ok.

To specify a bootloader for example, set memory type to "Flash", give the bootloader a name and specify one of the allowed addresses for a bootloader on the current part. It is recommended to use .bootloader as name for bootloaders. It has become more or less a standard and avr-libc supports this by providing a macro BOOTLOADER_SECTION that can be put in front of a function to put that function into the section named .bootloader. (defined in <avr/boot.h>).

The address must be given as a hexadecimal number prefixed with 0x. It is interpreted as a word address for flash memory and as byte addresses for sram and eeprom memory.



이런 예제파일이 있는데 거의다 어셈블리 매크로.. ㄷㄷㄷ


[링크 : http://www.realsys.co.kr/lecture/avr_bootloader.pdf]
[링크 : http://radmoon.egloos.com/1023318]

[링크 : http://www.engineersgarage.com/.../How-To-Write-a-Simple-Bootloader-For-AVR-In-C-language] 가입필요
[링크 : http://ranken.blog.me/20073963060]
[링크 : http://ranken.blog.me/20071841061] AVR109 SELF PROGRAMING 번역

[링크 : http://blog.schicks.net/wp-content/uploads/2009/09/bootloader_faq.pdf ]
[링크 : http://www.atmel.com/images/doc1644.pdf] AVR109 SELF PROGRAMING

'embeded > AVR (ATmega,ATtin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ROSP  (0) 2013.12.18
AVR soft reset  (0) 2013.12.18
COM26T2844VTX LCD 데이터 시트  (0) 2013.07.23
ST-23G / EL-23G 가지고 놀기  (0) 2013.07.07
IR LED 수광부 ST-23G를 이용한 장난질  (2) 2013.07.04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C Win32 MFC2013. 12. 18. 01:55
한번쯤은 써봐야지하는 것 중에 하나
가장 강력하고 원초적인 디버깅 중에 하나로 printf()가 있다면
꽤나 상큼하고 스마트한 방법이라는데

assert()에서 비교문이 false 일 경우 강제종료 + 덤프를 한다고 한다.
일단 C/C++ 다 지원하는 듯..

NDEBUG가 정의되면 assert() 가 수행되지도 컴파일 되지도 않는다고 한다.
 #define NDEBUG // disable assert() calls

#include <assert.h>
void assert(scalar expression);
[링크 : http://linux.die.net/man/3/assert

[링크 : http://forum.falinux.com/zbxe/index.php?document_srl=408376&mid=C_LIB]
[링크 : http://www.cplusplus.com/reference/cassert/assert/]


---
2013.12.19
//#include <assert.h>
로 주석처리 하고 assert()를 부르면 컴파일 부터 배짼다 -_-
$ gcc c.c
/tmp/ccpSwySM.o: In function `main':
c.c:(.text+0x11): undefined reference to `assert'
collect2: ld returned 1 exit status 

#include "stdio.h"
#include "assert.h"

int main()
{
        assert(0);

        return 0;
}

음.. 우분투 12.04 LTS desktop에서 코어 덤프를 안하도록 해놔서 그런가..
덤프 파일이 생성되진 않았다.
$ gcc c.c
/tmp/ccpSwySM.o: In function `main':
c.c:(.text+0x11): undefined reference to `assert'
collect2: ld returned 1 exit status 

'Programming > C Win32 MF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ypeof  (0) 2014.03.11
const / pointer  (0) 2014.02.25
printf의 %s와 %S  (0) 2013.06.15
win32api - joystick 예제  (0) 2013.06.15
Windows IME  (0) 2013.02.14
Posted by 구차니
embeded/ARM2013. 12. 18. 01:21
LC1628 내용을 보려다가 뜬금없이 LM3S1968 킷트의
128x96 OLED 내용을 먼저 보고 분석을 하려고 해쓴데
EVB에서 SSI 관련 내용이 보여서 찾아보니.. 대단한건 아니고
2핀으로 장거리 전송을 하고 CLK와 DATA를 sync 시켜 보내는 방법

즉, 데이터를 패러럴이 아닌 시리얼로 보내기에 핀수를 줄일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무튼.. OLED던 CLCD던 데이터 전송시 SSI 를 이용한다면
하드웨어 적으로 SSI를 제공하는 Stellaris에서 굳이 마다할 필요는 없을듯


SSI is based on RS-422[1] standards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Synchronous_Serial_Interface]

'embeded > A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eescale i.mx283 / i.mx515  (0) 2014.08.19
ARM thumb과 Jazelle  (0) 2014.04.19
ubuntu gcc-arm 패키지 목록  (0) 2013.08.31
jtag tap - Test Access Port  (0) 2013.07.05
H-JTAG에서 pxa255 + 28F128J 읽어오기(실패중)  (0) 2013.07.03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Display 장비2013. 12. 17. 16:45
다 자르고 결론 : Nview 돌려내라!!! 시댕아!!!!


혹시나 해서 SLI 구성하면 될까? 하고 트리플 모니터 사용해보려고 했더니 망했어요 -_-


표에 의하면 650도 지원은 한다는데 3개의 DVI를 제공하는 650 시리즈가 있으려나?
[링크 : http://www.nvidia.co.kr/object/3d-vision-surround-system-requirements-kr.html]

'하드웨어 > Display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nvidia surround 성공!  (0) 2014.05.08
quadro nview를 깔았거늘...  (0) 2013.12.29
Geforce Experince / nView for Quadro  (0) 2013.12.16
HEC - HDMI over Ethernet Channel  (0) 2013.01.03
LG 42LW4500 용 3D 사진 만들기  (0) 2012.07.15
Posted by 구차니
책상 정리 기념(?) 뻘짓 1호
홈페이지 가서 받으니 steam-latest.deb 다운로드


처음 실행하니 익숙(?)한 검은색의 업데이트 ㅋㅋㅋ


반가운 로그인 ㅋㅋ
이메일 또 확인해야 하네 미네랄 ㅋㅋㅋ


기본값은.. 영어네.. 윈도우용도 이랬던가..?


이렇게만 스샷찍어 놓으니.. 윈도우용인지 리눅스 용인지 티가 안나.. ㅠㅠ


차이점(?)으로는 라이브러리에 "LINUX 게임" 이 있다는 것!



다운로드 경로는

$ ll ${HOME}/.local/share
합계 84
drwxr-xr-x 17 minimonk minimonk  4096 12월 17 10:43 ./
drwxr-xr-x  3 minimonk minimonk  4096  6월  2  2012 ../
-rw-rw-r--  1 minimonk minimonk     0  6월  2  2012 .converted-launchers
drwx------ 26 minimonk minimonk  4096 12월 17 10:41 Steam/
drwxrwxr-x  2 minimonk minimonk  4096 12월 17 10:27 SuperHexagon/
drwx------  5 minimonk minimonk  4096  6월  2  2012 Trash/
drwxrwxr-x  2 minimonk minimonk  4096  6월  9  2012 applications/
drwxrwxr-x  2 minimonk minimonk  4096  6월  3  2012 desktop-directories/
drwxrwxr-x  2 minimonk minimonk  4096  6월  3  2012 folks/
drwx------  3 minimonk minimonk  4096  6월  3  2012 gnome-shell/
-rw-rw-r--  1 minimonk minimonk   871  7월 12  2012 gsettings-data-convert
drwx------  2 minimonk minimonk  4096 12월 17 10:31 gvfs-metadata/
drwxrwxr-x  2 minimonk minimonk  4096 12월 16 22:51 icc/
drwxrwxr-x  3 minimonk minimonk  4096 12월 17 10:26 icons/
drwx------  2 minimonk minimonk  4096 11월 11  2012 mc/
-rw-------  1 minimonk minimonk 10781 12월 17 10:43 recently-used.xbel
drwx------  3 minimonk minimonk  4096  6월  2  2012 telepathy/
drwx------  2 minimonk minimonk  4096  6월  3  2012 vlc/
drwx------  3 minimonk minimonk  4096  6월  2  2012 webkit/
drwx------  3 minimonk minimonk  4096  6월  2  2012 zeitgeist/

용량 적고 만만(?)하지 않으신 슈퍼헥사곤님 실행 ㅋㅋ

슈퍼 헥사곤은... 그냥.. 리눅스용 프로그램인가? -ㅁ-?
$ pstree
init─┬─NetworkManager─┬─dhclient
     │                ├─dnsmasq
     │                └─2*[{NetworkManager}]
     ├─accounts-daemon───{accounts-daemon}
     ├─acpid
     ├─apache2───5*[apache2]
     ├─at-spi-bus-laun───2*[{at-spi-bus-laun}]
     ├─atd
     ├─bamfdaemon───2*[{bamfdaemon}]
     ├─bash─┬─bash───steam─┬─CIPCServer::Thr───sh───SuperHexagon───superhexagon+
     │      │              ├─gameoverlayui───11*[{gameoverlayui}]
     │      │              └─37*[{steam}]
     │      └─tee


Trine 2은 느려서 포기 ㅠㅠ


Posted by 구차니
게임2013. 12. 16. 22:34
마지막 판은 정말.. 어우..
가장 쉬운걸로 하는데쉽지 않아!!  ㅠㅠ

끄어? 별로 안한거 같은데 8시간이라니 ㄷㄷㄷ





[링크 : http://bbs1.ruliweb.daum.net/gaia/do/ruliweb/detail/etc/read?bbsId=G001&itemGroupId=603&articleId=5723683]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망 블레스  (0) 2014.02.12
Trine 2 끝  (0) 2014.01.05
super hexagon 엌ㅋㅋ  (0) 2013.12.07
JASF 미워할테다 ㅠㅠ  (2) 2013.12.04
JASF - Jane's Advanced Strike Fighters  (2) 2013.11.17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Display 장비2013. 12. 16. 21:11
nView가 사라져서 쑈를 하는데. -_-
혹시나 하는 마음에 GeForce Experience를 설치해보지만

"스팀 실행중임 꺼지셈"이러는 써글 넘 -_-


아무튼 부랴부랴 설치해보니 shadow Play 라고 녹화기능이 기본적으로는 비활성화 되어있다.
활성화 해보니.. 무조건 60fps로 저장하게 하는 것 같고..


nView를 찾기 위해서 보는데.. Surround?


다중 모니터에서 Surround 스패닝 옵션이 있어서 보는데..
위의 3D 설정- Surround, PhysX 구성으로 가버린다 -_-


우클릭해서 보는데.. 확장.. 왜 비활성화니 ㅠㅠ



구글에서 검색해서 nView를 찾는데.. Quadro 용으로 업글된듯?

[링크 : http://www.nvidia.com/object/nview-driver.html]

혹시나 설치해보니 역시나 배짼다 -_-


아.. 어디서 봤던 내용인가 싶었더니.. 끄아 ㅋㅋ
[링크 : http://kindtis.tistory.com/550]
    [링크 : http://httputility.com/article/how-to-run-nview-on-windows-7]
    [링크 : http://www.mediafire.com/download/pw2q5dmpgagm1mc/NViewActivator.zip]
Posted by 구차니
이번 민영화 사태를 보면서
너무나 솔찍하게 "철도 민영화 반대"를 내세우는걸 보면서 아쉬움이 앞선다.

새누리당은 다른걸로 돌려서 전체를 망가트리는데
왜 진보세력은 그러지 못하는 걸까?
물론 과정이 옳지 않으면 결과가 그르게 된다는 것도 이해는 되지만
상대하는 적이 인간적이지 않을 경우에도 인간적으로 대해야 할까? 라는 의문이 든다.


하다 못해
철도 파업은 국민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서 하는겁니다! 라는 것 보다는

철도에서 일하지만 코레일이 해외로 팔려(매각)버릴경우
기차비가 오르고
기차비가 오름으로서 철값도 오르고
그럼 차비가 올라서 출퇴근 사람들에게 얼마나 더 피해가 갈지
나 역시 근로자로서 그걸 방관할 수 없어 직장을 걸고 반대 합니다!!

라고 했으면 오히려
사람들에게 감정적으로도 호소가 되고
더 큰 공감을 얻을수 있지 않았을까?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