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inex 알고리즘은 어두운 사진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보정해주는 거라고 하는데(CCTV 등?)

내용을 보면 그것과는 좀 다른 느낌?

 

Retinex improves visual rendering of an image when lighting conditions are not good. While our eye can see colors correctly when light is low, cameras and video cams can't manage this well. The MSRCR (MultiScale Retinex with Color Restoration) algorithm, which is at the root of the Retinex filter, is inspired by the eye biological mechanisms to adapt itself to these conditions. Retinex stands for Retina + cortex.

[링크 : https://docs.gimp.org/en/plug-in-retinex.html]

 

Retinex 알고리즘은
칼라의 일관성과 시각적인 개선을 제공하지만, 전역적인 contrast 감소와 후광효과 및 색왜곡 문제를 발생시
키기도 한다

[링크 :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307364424092.pdf]

 

입력 영상에 들어있는 배경 성분을 제거하는 것

[링크 : https://kipl.tistory.com/65]

'이론 관련 > 2D 그래픽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사인 유사도  (0) 2025.08.14
jpeg 헤더  (0) 2020.12.01
영상처리 관련 링크 기술  (0) 2017.04.19
HDRi / HDRI (High dynamic range imaging)  (0) 2011.04.29
BDF - Bitmap Distribution Format  (0) 2011.04.28
Posted by 구차니
embeded/jetson2022. 1. 20. 15:37

tegrastats를 실행하면 된다는데 root 권한이 아니면 몇가지 항목이 나오지 않는다.

$ sudo tegrastats
RAM 493/1980MB (lfb 240x4MB) SWAP 0/5086MB (cached 0MB) IRAM 0/252kB(lfb 252kB) CPU [2%@102,3%@102,1%@102,0%@102] EMC_FREQ 0%@204 GR3D_FREQ 0%@76 APE 25 PLL@23.5C CPU@24C PMIC@50C GPU@25.5C AO@32C thermal@24.5C
RAM 493/1980MB (lfb 240x4MB) SWAP 0/5086MB (cached 0MB) IRAM 0/252kB(lfb 252kB) CPU [2%@102,2%@102,0%@102,0%@102] EMC_FREQ 0%@204 GR3D_FREQ 0%@76 APE 25 PLL@23.5C CPU@24C PMIC@50C GPU@25.5C AO@32C thermal@24.75C

$ tegrastats
RAM 475/1980MB (lfb 240x4MB) SWAP 0/5086MB (cached 0MB) CPU [2%@102,1%@102,0%@102,0%@102] EMC_FREQ 0% GR3D_FREQ 0% PLL@24C CPU@24C PMIC@50C GPU@26C AO@32C thermal@25C
RAM 475/1980MB (lfb 240x4MB) SWAP 0/5086MB (cached 0MB) CPU [2%@102,1%@102,1%@102,0%@102] EMC_FREQ 0% GR3D_FREQ 0% PLL@24C CPU@24.5C PMIC@50C GPU@26C AO@32.5C thermal@25C

[링크 : https://forums.developer.nvidia.com/t/gpu-usage-info-nvidia-smi-is-not-there/76155/5]

[링크 : https://m.blog.naver.com/zeta0807/222008386346]

 

jtop은 내장은 아니고 별도로 받아서 빌드해야 한다.

[링크 : https://github.com/rbonghi/jetson_stats]

'embeded > jets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tson nano developer board(구형) 부팅 문제  (0) 2022.02.09
nvidia jetson nano 2gb / csi  (0) 2022.01.21
jetson nano 2g dev. kit 셋업  (0) 2022.01.20
jetson nano 켜보는데..  (0) 2022.01.19
jetson nano 2gb RTC?  (0) 2022.01.19
Posted by 구차니
embeded/jetson2022. 1. 20. 14:10

jetson nano의 커널은 올라오고 나서 인 것 같은데, 윈도우에서는 아래와 같은 장비들이 추가된다.

- linux gadget driver를 이용한 USB 스토리지 (Linux File-Stor Gadget USB Device)

- virtual control port(USB직렬 장치)

- 가상 네트워크 192.168.55.100 (Remote NDIS Compatible Device)

 

스토리지에도 먼가 나오긴 한데 딱히 눈에 띄는 건 없다.

 

l4t-serial.inf 라고 VID는 맞는데 PID가 701A라서 7020으로 뜨는 CDC NCM은 정체를 모르겠다.

[DeviceList]
%ACMDevice%=DDInstall, USB\VID_0955&PID_701A&REV_0002&MI_02

[DeviceList.NTamd64]
%ACMDevice%=DDInstall, USB\VID_0955&PID_701A&REV_0002&MI_02

 

아무튼 설치를 위해 microSD를 굽고 전원 on!

시리얼 콘솔(TTL, 출력 로그)

 

micro USB를 통한 virtual USB serial port

헤드리스 셋업을 위해서 사용하는데 반드시! "스페이스"를 눌러야 반응한다. -_-

 

다른건 그냥 무난한데.. 랜선을 안꽂고 해서 그런가 headless 설치시에는 NIC을 어떤걸 쓸지 물어본다.

귀찮으면 eth0 선택하고 랜선 꽂아주면 끝.

 

 

계정 생성후에는 아래와 같이 micro USB의 VCP를 통해 시리얼 콘솔로 접속할 수 있다

(물론 커널 메시지는 이쪽으로 출력되지 않는 시리얼 콘솔일 뿐)

 

 

그나저나 리눅스에서도 자동으로 192.168.55.100 으로 잡힌다는데

네트워크 장치에서 어떻게 ip를 설정되는지 원리가 궁금하네..

[링크 : https://developer.nvidia.com/embedded/learn/get-started-jetson-nano-2gb-devkit#setup]

'embeded > jets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nvidia jetson nano 2gb / csi  (0) 2022.01.21
jetson nano gpu 사용 상태 확인  (0) 2022.01.20
jetson nano 켜보는데..  (0) 2022.01.19
jetson nano 2gb RTC?  (0) 2022.01.19
nvidia jetson nano 2gb  (0) 2022.01.19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torage2022. 1. 20. 10:32

UHS-1 U3 sd 카드는 처음 만져보는데 (64GB) 30~50MB/s 사이에 뜨는 것 같다.

꾸준히 유지되는건 아니지만 순간적으로 60MB/s 까지도 올라온다.

'하드웨어 > 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bios raid 설정.  (0) 2022.02.17
lsi raid sbr?  (0) 2022.02.17
uhs1 과 u1  (0) 2021.08.22
WWN  (0) 2020.11.02
d-link dns-343  (2) 2020.10.31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22. 1. 19. 18:14

배경화면 바꿔주는 유틸리티

윈도우10에서 쓰고 있는데 나쁘진 않아서 혹시 우분투용으로?! 해서 검색하니 나오긴 한다.

MS 공식 프로그램은 아닌듯

 

$ sudo snap install bing-wall

[링크 : https://snapcraft.io/bing-wall]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cgen  (0) 2022.03.17
android userland ubuntu  (0) 2022.03.03
openAMP - Open Asymmetric Multi-Processing  (0) 2021.03.29
bios 초기화 관련  (0) 2020.09.07
online crc 계산 사이트  (0) 2020.09.03
Posted by 구차니
embeded/jetson2022. 1. 19. 18:02

윈도우에서 한번 밀어 보려다가 드라이브가 M 막 이런게 떠서 놀람.

실제로 1~14까지 파티션이 존재하네?

[링크 : https://forums.developer.nvidia.com/t/jetson-nano-sd-card-partitions-can-not-extend/73032]

 

 

System throttled due to Over-current.

라는 말이 나와서 찾아보니 실제로 over current가 아니라 low voltage 경고라고..

[링크 : https://forums.developer.nvidia.com/t/system-throttled-due-to-over-current/158055/14]

'embeded > jets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tson nano gpu 사용 상태 확인  (0) 2022.01.20
jetson nano 2g dev. kit 셋업  (0) 2022.01.20
jetson nano 2gb RTC?  (0) 2022.01.19
nvidia jetson nano 2gb  (0) 2022.01.19
nvidia jetson 보드 4k60p 설정값  (0) 2021.06.18
Posted by 구차니
embeded/jetson2022. 1. 19. 17:39

'embeded > jets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tson nano gpu 사용 상태 확인  (0) 2022.01.20
jetson nano 2g dev. kit 셋업  (0) 2022.01.20
jetson nano 켜보는데..  (0) 2022.01.19
nvidia jetson nano 2gb  (0) 2022.01.19
nvidia jetson 보드 4k60p 설정값  (0) 2021.06.18
Posted by 구차니
embeded/jetson2022. 1. 19. 16:53

흐음.. 어떻게 가지고 놀지...

 

찾다보니 jetson nano developer kit과 2gb dev. kit 이 있어서 찾아보니

jetson nano 자체는 원래 4GB인데 메모리 반토막 내고

그 외에는 캐리어 보드에서 cost down 시킨 듯(dp, usb 3.0, csi 1개 채널 등)

 

[링크 : https://developer.nvidia.com/embedded/jetson-nano-2gb-developer-kit]

[링크 : https://developer.nvidia.com/embedded/jetson-nano-developer-kit]

 

2GB는 59$, 4GB는 99$.

가격 하락 폭을 보니 2GB 모델이 나쁘진 않는 느낌이네.

[링크 : https://developer.nvidia.com/embedded/faq]

 

eMMC 삭제

[링크 : https://developer.nvidia.com/embedded/jetson-modules]

 

 

+

그래서 이미지 다운로드도 경로가 다르다.

[링크 : https://developer.nvidia.com/embedded/learn/get-started-jetson-nano-devkit#write]

[링크 : https://developer.nvidia.com/embedded/learn/get-started-jetson-nano-2gb-devkit#write]

  [링크 : https://developer.nvidia.com/embedded/jetpack]

 

Getting Started with Jetson Nano 2GB Developer Kit

[링크 : https://developer.nvidia.com/embedded/learn/get-started-jetson-nano-2gb-devkit]

 

핀헤더 정보

[링크 : https://developer.nvidia.com/embedded/learn/jetson-nano-2gb-devkit-user-guide#id-.JetsonNano2GBDeveloperKitUserGuidevbatuu_v1.0-40-PinHeader(J6)]

[링크 : https://developer.nvidia.com/embedded/learn/jetson-nano-2gb-devkit-user-guide]

'embeded > jets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tson nano gpu 사용 상태 확인  (0) 2022.01.20
jetson nano 2g dev. kit 셋업  (0) 2022.01.20
jetson nano 켜보는데..  (0) 2022.01.19
jetson nano 2gb RTC?  (0) 2022.01.19
nvidia jetson 보드 4k60p 설정값  (0) 2021.06.18
Posted by 구차니

M.2

2280 22mm * 80mm 규격

2242 (40이 아니었군)

 

와우.. 조합이 대환장이네 ㅋㅋㅋ

M.2 standard allows module widths of 12, 16, 22 and 30 mm, and lengths of 16, 26, 30, 38, 42, 60, 80 and 110 mm.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M.2]

'하드웨어 > 커넥터 (Connec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B3.0 커넥터  (1) 2022.03.24
m.2 와 mini PCI-e  (0) 2022.01.26
rotary joint / rotary unions  (0) 2017.07.12
micro usb 케이블 수리  (0) 2017.02.21
SMA - SubMiniature version A :: connectors are coaxial RF connectors  (0) 2010.07.15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컴퓨터2022. 1. 18. 14:39

A1369

맥 에어 2011 mid / i5 1.7ghz / 13" 1440x900 / 1.35kg / nvme 제거 7만..

흐음. 아내님 윤허를 받아 일단 지르고

다음달에 nvme 질러서 한번 써볼까?

솔찍히 그냥 맥을 가지고, 써보고 싶다가 가장 큰거라 사서 머하는데 써먹지가 문제네?

 

[링크 : https://cafe.naver.com/joonggonara/892667172]

 

i5-2557m

[링크 : https://m.blog.naver.com/ingyw/120162250616]

[링크 : https://support.apple.com/kb/sp683?locale=ko_KR]

[링크 : https://ark.intel.com/.../intel-core-i5-2557m-processor-3m-cache-up-to-2-70-ghz.html]

 

nvme는 아니고 sata 타입.. 흐음..

[링크 : https://hoile.tistory.com/142]

 

option + 전원 on

[링크 : https://happycode.tistory.com/428] ssd 교치 시 os 설치방법

 

OS 버전은 high sierra 까지 가능하네

[링크 : https://support.apple.com/ko-kr/HT201862]

 

하나하나 조사하면서 지름신이 조금은 물리쳐지는 중 ㅠㅠ

'개소리 왈왈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메인보드가 보니.  (0) 2022.02.12
gtx660 gtx750 gtx1030 hd7950  (0) 2022.02.07
sd 메모리 지름  (0) 2022.01.10
VGA to HDMI 컨버터 분..해?  (0) 2021.12.20
2760p 써멀 재도포  (0) 2021.10.29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