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ded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bmp280 HW-611 (0) | 2023.09.19 |
---|---|
라즈베리 파이 openOCD jtag? (0) | 2023.07.24 |
라즈베리 3 전원 off (0) | 2023.07.02 |
rpi win 10 IoT (0) | 2023.02.02 |
i2cdetect UU (0) | 2023.01.18 |
bmp280 HW-611 (0) | 2023.09.19 |
---|---|
라즈베리 파이 openOCD jtag? (0) | 2023.07.24 |
라즈베리 3 전원 off (0) | 2023.07.02 |
rpi win 10 IoT (0) | 2023.02.02 |
i2cdetect UU (0) | 2023.01.18 |
Low Pass Filter
[링크 :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4806]
High Pass Filter
[링크 :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no=3968]
RC 발진
[링크 :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5257]
[링크 : https://murcielrago.tistory.com/93]
어떻게 보면 RC oscilator와 HPF가 비슷한 구조인 것 같기도 하고..
유선 전화기 들면 들리는 소리 (0) | 2023.07.25 |
---|---|
envelope detection (0) | 2023.07.14 |
pvt - process voltage temperature (0) | 2023.06.30 |
필터 차수(order) (0) | 2023.06.21 |
진폭 복조 (0) | 2023.06.09 |
$ gcovr (WARNING) GCOV produced the following errors processing /proj/bin/app-config.gcno: /proj/bin/app-config.gcda:cannot open data file, assuming not executed Cannot open source file config.c |
gcovr -r ../.. --html-details -o ../../../coverage.html ... |
[링크 : https://github.com/gcovr/gcovr/issues/368]
GCOVR(1) User Commands GCOVR(1) NAME gcovr - generate simple coverage reports DESCRIPTION usage: gcovr [options] [search_paths...] A utility to run gcov and summarize the coverage in simple reports. OPTIONS -h, --help Show this help message, then exit. --version Print the version number, then exit. -v, --verbose Print progress messages. Please include this output in bug reports. -r ROOT, --root ROOT The root directory of your source files. Defaults to '.', the current directory. File names are reported relative to this root. The --root is the default --filter. |
You can use __gcov_flush() method inside your code. You will need to invoke this from registered signal handler. |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3957649/gcov-not-showing-any-coverage-data]
Note the comment by Paweł Bylica -- __gcov_flush() has been removed in GCC 11, you should use __gcov_dump(). |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9655479/undefined-reference-to-gcov-flush]
[링크 : https://educoder.tistory.com/entry/소프트웨어-공학gcov테스트-커버리지-측정]
[링크 : https://gcovr.com/en/stable/guide.html]
gcov와 gcovr (0) | 2023.07.20 |
---|---|
gprof gui (0) | 2023.07.10 |
gcc -p -pg (0) | 2016.02.25 |
gprof flat view 이해하기 (0) | 2010.01.24 |
gcov, gprof (0) | 2010.01.23 |
gprof 의 텍스트 결과는 솔찍히 보기 편하다고는 할 수 없는데, 그래서 gui를 찾아보는 중
[링크 : https://github.com/jrfonseca/gprof2dot]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439060]
역시 역사와 전통의(?) k접두인가..
[링크 : https://kprof.sourceforge.net/]
solaris나 motif 같네? 아무튼 cgprof 라는 툴은 call graph로 그려준다.
[링크 : http://mvertes.free.fr/]
gcov와 gcovr (0) | 2023.07.20 |
---|---|
gcovr - gocv 를 html로 (0) | 2023.07.10 |
gcc -p -pg (0) | 2016.02.25 |
gprof flat view 이해하기 (0) | 2010.01.24 |
gcov, gprof (0) | 2010.01.23 |
fsbl이 웬지 arm 에서 작동하는 느낌인데
ps가 먼저 살아나고
ps에서 pl을 초기화 하는 컨셉인 듯
그래서 ps만 쓸수는 있어도 fsbl등이 없이 pl만은 못 쓸지도 모르겠다
(아니 그러라고 만든 제품이 아니잖...)
일단은 부팅시간 측면에서는
ps기동하고
uboot 구동하고(키입력 없앤다 하더라도)
pl 초기화 하고(bit파일 읽는시간, 적재하는 시간 소요)
커널 로딩, 리눅스 기동
이라는 절차가 필요한데
리눅스 기동이 빠르게 필요하다면
리눅스 이후에 sysfs를 통해 pl을 초기화 해도 되지만
그러기엔 너무 전체 초기구동 시간이 너무 오래걸린다.
가능할진 모르겠지만
부트로더 개조해서 2 cpu 니까
smp가 아닌 amp로 기동해서
cpu0은 리눅스로 쓰고
cpu1은 pl 초기화 하는데 쓰면 좀 단축가능하려나?
[링크 : https://m.blog.naver.com/wmk2/220676047505]
[링크 : https://xilinx.github.io/kria-apps-docs/bootfw/build/html/docs/bootfw_overview.html]
xilinx zynq jtag (2) | 2023.07.21 |
---|---|
zynq 7000 fsbl (0) | 2023.07.12 |
zynq w/o ps (0) | 2023.06.30 |
xilinx uartlite on zynq (0) | 2023.05.16 |
xilinx vivado uart ip (0) | 2023.05.12 |
발열이 너무함.
armbian도 과거에 cli만 하다보니 발열이 착하다고 생각했는데
xfce 돌리니까 온도 60~70도는 기본으로 찍힌다. idle 인데 -_-
그래서 LTS 라고 저발열 보드가 나온게 아닌가 싶긴한데
아크릴 케이스 녹여먹을까봐 불안해서 쓸수가 없으니 그냥 봉인해야 할 듯..
orange pi 3 install_to_emmc 는 실패, dd는 성공 (0) | 2023.07.06 |
---|---|
rk3588 HDMI RX interface (0) | 2023.06.30 |
android on orange pi 3 (0) | 2022.12.07 |
allwinner A시리즈 백도어 (0) | 2022.11.06 |
orange pi 3 관련 문서 (0) | 2022.01.03 |
htop 이 armbian 에서는 온도도 나오고 좋아 보이길래 어떻게 설정하나 찾아보는데
htop 홈페이지에서 cpu 그래프가.. 신기한게 보여서 빌드도 해보는데 안되서 좌절하다가
[링크 : https://htop.dev/screenshots.html]
[링크 : https://github.com/htop-dev/htop]
htop graph 로 검색해보니 먼가 걸려나온다.
Remember you can press space bar to change the meter style. That way you can get the graph display you want. And by the way, graph display for Load average will not probably work what you expect. It's work-in-progress. Patches are welcome. |
[링크 : https://github.com/hishamhm/htop/issues/440]
F2(setup) 에서 Meters에 하단에 보니 Space / Style!
아무튼 CPU와 같은 녀석들은 [Bar] 라고 되어있는데 이걸 space 누르면 스타일이 변경된다.
edid-read (0) | 2023.08.17 |
---|---|
ubutnu file(파일) 에서 삼바 목록 안나오고 부적절한 인수 에러 (0) | 2023.07.24 |
mono-complete (0) | 2023.07.05 |
ubuntu 22.04 wayland vs x.org on 4K dual (0) | 2023.06.26 |
ubuntu 22.04 GUI/CLI 부팅 (0) | 2023.06.18 |
valgrind는 일반적으로 메모리 누수를 찾는데 쓰지만
call graph라고 해야하나? call 관련 추적도 가능하다고 하니 다음에 돌려봐야겠다.
tool에 여러가지 있는데 cachegrind 정도만 찾아봤던 흔적이 있네..
$ valgrind --tool= 32bit-core arm-core i386 mips64-cpu power64-linux 32bit-linux arm-vfpv3 lackey mips64-fpu powerpc 32bit-sse arm-with massif none s390-acr 64bit-avx cachegrind memcheck power-altivec s390-fpr 64bit-core callgrind mips power-core s390-vx 64bit-linux dhat mips-cp0 power-fpu s390x 64bit-sse drd mips-cpu power-linux s390x-core64 amd64 exp-bbv mips-fpu power-vsx s390x-linux64 amd64-avx getoff mips64 power64-core s390x-vx arm helgrind mips64-cp0 power64-core2 |
[링크 : https://jchern.tistory.com/13]
[링크 : https://velog.io/@wjddms206/Valgrind-프로파일러-callgrind]
+
[링크 : http://www.cs.columbia.edu/~sedwards/presentations/iccad2003-somenzi.pdf]
[링크 : https://fileadmin.cs.lth.se/cs/Education/EDAF15/labs/lab4/index.html]
valgrind 누수 종류 (0) | 2022.01.18 |
---|---|
vaglind 사용 (0) | 2022.01.14 |
valgrind 지원 플랫폼 (0) | 2014.10.15 |
valgrind GUI frontend- kcachegrind / valkyrie (0) | 201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