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1 || 1575.42 || Mix of Navigation Message,C/A code and P(Y) code
L2
|| 1227.60 || P(Y) code, plus the new L2C code on the Block IIR-M and
newer satellites since 2005
L3 || 1381.05 || Used by Nuclear
Detonation (NUDET) Detection System Payload (NDS);
signals nuclear detonations/high-energy infrared
events. Used to enforce nuclear test ban treaties
L4 || 1379.913 ||
Being studied for additional ionospheric correction
L5 || 1176.45 ||
Proposed for use as a civilian safety-of-life (SoL) signal*
Bluetooth uses a radio technology called frequency-hopping spread
spectrum, which chops up the data being sent and transmits chunks of
it on up to 79 bands of 1 MHz width in the range 2402-2480 MHz.
The specific frequency bands originally defined by the UMTS
standard are 1885–2025 MHz for the mobile-to-base (uplink) and
2110–2200 MHz for the base-to-mobile (downlink). In the US,
1710–1755 MHz and 2110–2155 MHz will be used instead, as the 1900 MHz
band was already utilized.
example2.cpp의 경우 gcc 대신 g++ -lm -lfreetype 만 해주면 되는데
example3.cpp는 에러가 난다. -ㅁ-!
그래서 부랴부랴 다시 소스를 열어보니
# vi example3.cpp
1 // example3.cpp
2
3 // This file demonstrates how to use FreeType's stand-alone renderer,
4 // both in B/W and 5-levels gray mode.
5 //
6 // Copy the files ftraster.c, ftimage.h, and ftmisc.h into the same
7 // directory as this file, then say
8 //
9 // g++ -D_STANDALONE_ \
10 // -DFT_RASTER_OPTION_ANTI_ALIASING \
11 // -o example3 example3.cpp
아부지께서 사용하시는 디카는 소니 HX-1 이다.
이상하게 Memory Stick 리더를 사용하면 버벅대고(아무래도 이미지 개별 크기도 무시 못하고 파일이 많으니 ㄱ-)
그래서 디카에서 직접 USB를 연결해서 사용하니 파일은 복사가 되지만
이상하게도 디카에서 이미지가 보이지 않는다.
아래와 같은 '파일 에러'를 나타내면서 배를 짼다.
아무튼 메모리 스틱을 열어보면 AVF_INFO 라는 디렉토리가 존재하는데
여기를 삭제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여주면서 이미지 관리 파일을 재구축한다.
그렇다고 해서 안보이던 파일이 보이는건 아니다 -ㅁ-
실험적으로 해보니, 4:3 비율의 이미지가 3:4 비율로 회전되었을 경우
EXIF 정보와 맞지 않으면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위와 같은 사진들 중에서 DSC02710.JPG ~ DSC02712.JPG 파일은 세로로 임의 회전되었기 때문에
디카상에서는 파일 에러를 발생시키고, 확실하게 실험은 해보지 못했으나
원래 비율대로 가로로 뉘워놓으면 출력이 되었다.(돌리는 방향에 따라 어떻게 출력될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