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내에서 프로젝트 파일들 버전별로 엉성하게 관리하던거 정리하면서

로컬 저장소의 경로를 바꾼다고 switch 하는데 "shares no common ancestry with" 에러 발생 -_-

찾아봐도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고..



걍 아래 ignore ancestry 하면 저장소 이동 완료

먼가 찜찜해...


[링크 : http://svnbook.red-bean.com/en/1.7/svn.branchmerge.switchwc.html]


+

고민을 해보니.. 리비전 이력상 구버전을 신버전 위치로 바꾸려고 하지만

신버전 위치에 구버전 리비전 이력이 없다면... 그럴거 같기도 하고.. 조금은 더 파악해 봐야겠다



음.. switch는 relocate와 달리.. 머랄까.. branch간 update + merge 기능이라고 해야하려나?

결론은.. 내가 한 행위에 대해서는(서버측 경로 변경) relocate로 해결해주는게 옳다


The svn switch command transforms an existing working copy to reflect a different branch.

Because svn switch is essentially a variant of svn update, it shares the same behaviors; any local modifications in your working copy are preserved when new data arrives from the repository.

[34] You can, however, use svn relocate if the URL of your server changes and you don't want to abandon an existing working copy. See svn relocate in Chapter 9, Subversion Complete Reference for more information and an example.

'프로그램 사용 > Version Contr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admin dump로 덤프/합치기  (0) 2015.11.26
svn merge  (0) 2015.08.19
svn 저장소 합치기  (0) 2015.06.06
svn diff syntax highlight 적용해서 보기  (0) 2015.01.30
svn add *.so ignored / --no-ignore  (0) 2015.01.06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6. 15. 21:30

다운클럭된(?) 옴니아 2였어 ㄷㄷㄷ




CPU 700 MHz single-core ARM1176JZF-S (model A, A+, B, B+, CM)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Raspberry_Pi]


CPU 삼성 S3C6410 ARM 1176 800 MHz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삼성_옴니아_II]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6. 15. 10:10

회사 들고 와서 오실로스코프 찍어봤더니

영 데이터가 안나와서 포기하고

걍 내 땜실실력이 초 구려서 태워먹었구나 라고 결론 <<



---

어제는 1.4만원(USB 허브 + SD 리더 + USB 젠더)

오늘은 IR Receiver


만원 안넘게 조절하다가 7개 했는데

10개 해보니 어라? 천원밖에 차이가 안나네?

10개 쿠궁!!!




됐고 4일이면... 다음주 월요일에나 받을수 있겠....

주말에는 이래저래 바쁘니 이래저래 회사로 돌려놔야겠...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6. 14. 22:02

powered USB hub 사서

웹캠을 연결해도 문제가 발생


1개를 하던 2개를 허브에 연결하던

라즈베리 파이에 직접 연결하던


처음 한두프레임만 나오고 시스템이 바보가 된다.



혹시나 해서.. motion 패키지를 이용해

스트리밍을 해보는데 되는거 봐서는..

vlc 패키지에서 사용하는 libavcodec 이나

v4l 라이브러리가 문제가 있을지도..


아무튼

motion 패키지를 이용해서 스트리밍 할때

웹캠을 라즈베리 파이에 직접 연결해도 작동을 잘 하는거 봐서는

간당간당하게 소비전력 제한 이하로 냠냠냠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1 : 라즈비안 vlc 따위 -_-

결론2 : 웹캠 종류에 따라 다르겠지만.. 라즈베리에 웹캠을 직접 연결해도 작동하는 녀석도 있다?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6. 14. 21:46

테스트 환경

2015-05-05-raspbian-wheezy.img

라즈비안 파이 2

UVC 지원 웹캠

motion 패키지


[링크 : http://www.rasplay.org/?p=2673] 

[링크 : http://www.lavrsen.dk/foswiki/bin/view/Motion/WebHome]


$ sudo apt-get install motion


$ sudo vi /etc/motion/motion.conf

daemon on

width 640

height 480

framerate 15

webcam_maxrate 15

webcam_localhost off

control_localhost off

$ sudo vi /etc/default/motion

start_motion_daemon=yes


기본값으로는

8080 은 제어용 페이지 

8081은 웹캠 영상 페이지


thread 라는 용어로 여러개의 카메라를 쓸수 있을거 같긴한데... 끄응..


--

일단은 제어용 페이지


라즈베리 파이 / 라즈비안에 브라우저는 바로 띄우던데..

PC 버전의 크롬/IE는 띄위지 못해 VLC로 스트리밍 주소로 연결하니 나온다.


음.. 원본이 MJPEG 인가? 트랜스코딩된건가?


1개 채널만 하는데도.. cpu를 23% 정도 먹는게 두개? 하나인가?

아무튼 .. 단순산술로는 16채널까지 가능할지도?!

(물론 USB 카메라 대역폭이 불가능 하겠지만..)


Posted by 구차니

음.. 결론은.. 그냥 가볍게 쓰기엔 좋지 않다?

여기서 가볍다는.. 대충 깔면 대충 돌아간다는 의미



테스트 환경

MinuteOS 32bit 버전


Intel i5-2500 / 8GB / Geforce 650

머가 문제인지..(UEFI?) 부팅부터 실패



UMID mbook m1

ATOM Z520 / 512MB / GMA500

VESA 실패 EGA/CGA로 설정

키보드, 마우스 되지만(PS/2라서 인식이 되는듯)

마우스는 상대좌표로 되는 바람이 무조건 클릭 + 드래그 되어버리고

고질적인 문제(!)로 터치스크린 X/Y축이 뒤집어져 버린다 -_-


먼가 하나 닫는 순간 창을 닫으려면 개노가다 -_ㅠ



AMD 945 / 8GB / Geforce 550 Ti

마우스 / 키보드 인식불가(둘다 USB 인데 인식 안됨.. 메인보드 쪽 USB host 드라이버 문제로 추측)


'프로그램 사용 > menue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nuet OS 설정  (0) 2015.06.17
KolibriOS / MenuetOS  (0) 2015.06.13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6. 14. 19:27

OSMC 용으로 오버클럭되어 FullHD 30p 에서도 문제없이 하도록 해놨다고 하시던데

흐음.. 850이면 CPU 제한 안풀고 가능한 오버클럭 수치인가 모르겠네...


arm_freq=850

core_freq=375

gpu_mem_256=112

gpu_mem_512=144

hdmi_ignore_cec_init=1

disable_overscan=1

start_x=1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6. 14. 16:36

끄응.. 납땜을 너무 길게 해서 부품 태워먹었나? ㅠㅠ



OpenELEC:~ # dmesg | grep -i lirc

[    6.239973] lirc_dev: IR Remote Control driver registered, major 248

[    6.263055] lirc_rpi: module is from the staging directory, the quality is unknown, you have been warned.

[    7.160117] lirc_rpi: auto-detected active high receiver on GPIO pin 18

[    7.160510] lirc_rpi lirc_rpi.0: lirc_dev: driver lirc_rpi registered at minor = 0

[    7.160530] lirc_rpi: driver registered!

[   15.617057] input: lircd as /devices/virtual/input/input3 


OpenELEC:~ # cat /sys/kernel/debug/gpio

GPIOs 0-53, bcm2708_gpio:

 gpio-16  (led0                ) out hi

 gpio-17  (lirc_rpi ir/out     ) in  lo

 gpio-18  (lirc_rpi ir/in      ) in  lo 


OpenELEC:~ # cat /proc/interrupts

            CPU0

  3:      43907   ARMCTRL  BCM2708 Timer Tick

 16:          0   ARMCTRL  bcm2708_fb dma

 24:        300   ARMCTRL  DMA IRQ

 25:       1257   ARMCTRL  DMA IRQ

 32:      65605   ARMCTRL  dwc_otg, dwc_otg_pcd, dwc_otg_hcd:usb1

 52:          0   ARMCTRL  BCM2708 GPIO catchall handler

 65:         12   ARMCTRL  ARM Mailbox IRQ

 66:      38115   ARMCTRL  VCHIQ doorbell

 75:          1   ARMCTRL

 79:          4   ARMCTRL  bcm2708_i2c.0, bcm2708_i2c.1

 80:          0   ARMCTRL  bcm2708_spi.0

 84:       5984   ARMCTRL  mmc0

188:          0      GPIO  lirc_rpi

FIQ:              usb_fiq

Err:          0 


OpenELEC:~ # lsmod | grep irc

lirc_rpi                6120  3

lirc_dev                7581  1 lirc_rpi

rc_core                15351  1 lirc_dev 


[링크 : http://wiki.openelec.tv/index.php/Guide_To_lirc_rpi_GPIO_Receiver]

Posted by 구차니

어셈으로만 작성한 os

물론 윈도우나 리눅스 호환은 아니지만

가볍고 빠른 장점이 있는 듯(부팅에 5초 펜티엄 mmx 200mhz / 8MB 메모리면 오케이 ㄷㄷㄷ)

요걸 umid mbook m1에 적용해볼까?


근데 kolibri는 오래되서 네트워크 지원등은 포기해야할거 같고...

Kolibri 0.7.7.0   –   13/12/2009


오리지널인 minuteos는 http client도 있으니 한번 시도는 해봐야겠다


[링크 : http://kolibrios.org/]

[링크 : http://www.menuetos.net/]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KolibriOS]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MenuetOS]

'프로그램 사용 > menue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nuet OS 설정  (0) 2015.06.17
Menuet OS 테스트  (0) 2015.06.14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 Macro ASseMbler

masm (16/32bit) / ml64 (64bit)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Microsoft_Macro_Assembler]

[링크 : https://msdn.microsoft.com/en-us/library/afzk3475.aspx]


nasm

Netwide Assembler

[링크 : http://www.nasm.us/]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Netwide_Assembler]


fasm

[링크 : http://flatassembler.net/]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FASM]




[링크 : http://blog.naver.com/asmpro/220205244661]


'Programming > Assembly(어셈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xt .data .code .bss ...  (0) 2016.02.19
어셈블리 관련  (0) 2015.06.11
ia32 어셈블리 언어  (0) 2013.12.12
.DATA? 지시어  (0) 2011.07.31
x86 register  (2) 2011.07.17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