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성으로 mmap이니 반대 짝이 먼지 찾아서 munmap 하고 쓰고 있었는데
mmap과 malloc의 차이 그리고 malloc이 어떻게 구현되어있는지 문득 궁금해졌다.
munmap 서브루틴은 맵핑된 파일이나 공유 메모리 영역 또는 익명 메모리 영역을 맵핑 해제합니다. munmap 서브루틴은 호출에서 작성된 영역을 mmap 서브루틴으로만 맵핑 해제합니다.
주소가 munmap 서브루틴에 의해 맵핑되지 않은 리젼에 있고 해당 리젼이 이후에 다시 맵핑되지 않는 경우, 해당 주소에 대한 모든 참조로 인해 프로세스에 SIGSEGV 신호가 전달됩니다. |
[링크 : https://www.ibm.com/docs/ko/aix/7.3?topic=m-munmap-subroutine]
mmap()에서는 할당 메모리의 크기가 최소 4KB(mmap()은 페이지 크기의 배수로 할당). malloc()은 큰 메모리 블록 요청이 들어오면 내부적으로 mmap()을 써서 메모리를 할당한다. mmap()이 malloc()을 포함하는 개념이라기보다 mmap()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저수준 시스템 콜이며 특별한 조건일 때 메모리를 할당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malloc()은 메모리를 할당하는 C library 함수이며 내부적으로 mmap(), brk() 등 시스템 콜을 써서 구현. |
[링크 : https://woonys.tistory.com/entry/정글사관학교-51일차-TIL-mmap과-malloc-차이-정리]
[링크 : https://mintnlatte.tistory.com/357]
직접 mmap()을 쓸 경우, valgrind/efence/duma 등 메모리 디버깅 툴의 도움을 받을 수도 없습니다. |
[링크 : https://kldp.org/node/101737]
malloc.c 에서 함수를 찾는데 mmap을 먼저 찾고 역으로 올라가면서 찾아보는 중
static void * sysmalloc (INTERNAL_SIZE_T nb, mstate av) { if ((unsigned long) (size) > (unsigned long) (nb)) { mm = (char *) (MMAP (0, size, PROT_READ | PROT_WRITE, 0)); } }
static void * _int_malloc (mstate av, size_t bytes) { if (__glibc_unlikely (av == NULL)) { void *p = sysmalloc (nb, av); if (p != NULL) alloc_perturb (p, bytes); return p; } }
void * __libc_malloc (size_t bytes) { if (SINGLE_THREAD_P) { victim = _int_malloc (&main_arena, bytes); assert (!victim || chunk_is_mmapped (mem2chunk (victim)) || &main_arena == arena_for_chunk (mem2chunk (victim))); return victim; }
arena_get (ar_ptr, bytes);
victim = _int_malloc (ar_ptr, bytes); } |
[링크 : https://elixir.bootlin.com/glibc/glibc-2.26/source/malloc/malloc.c]
위의 함수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참조
[링크 : https://m.blog.naver.com/yjw_sz/221549666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