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층 침대중에 일층 바퀴달린 녀석 버리는것으로 결정!

 

+

빼고 나니 확실히 아래가 넓어져서 좋긴하다.

근데 그렇다고 딸래미가 2층가서 자는것도 아니고

아래칸 빼고 넓게 만든 곳을 빼앗아서 자니 그게 그거구만 ㅠㅠ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20. 5. 9. 22:53

라즈베리 파이 2B / debian 10.3 이미지 사용

buffalo WLI-UC-GNM 802.11n 어댑터 사용

 

 

무선랜 스캔

$ iwlist wlan0 scan

 

무선랜 설정 (무선랜 이름이 iptime 일 경우)

$ sudo iwconfig wlan0 essid "iptime"

 

WPA_PSK 키 설정 (iptime 공유기의 무선랜 암호가 password일 경우)

(단, root 계정으로 하지 않으면 wpa_passphrase 실행 결과를 복사해서 sudo로 conf 파일에 넣어야 함)

wpa_passphrase "iptime" password > /etc/wpa_supplicant/wpa_supplicant.conf

 

무선랜 접속

아래의 명령어가 실행중인 동안에만 유지가 된다.

sudo wpa_supplicant -i wlan0 -c /etc/wpa_supplicant/wpa_supplicant.conf

 

[링크 : https://lhjin.tistory.com/entry/리눅스에서-무선랜WiFi-사용방법]

[링크 : http://webterror.net/?p=783]

 

 

그럼 이제 이걸.. 기본 데몬으로 가능한 방법을 찾으면 되려나?

 

+

wpa_supllicant.conf 파일에 내용이 존재하면 자동으로 그걸 이용해서 접속하도록 되어있다.

reboot 이후 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확인함

 

[링크 : https://weworkweplay.com/play/automatically-connect-a-raspberry-pi-to-a-wifi-network/]

'embeded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 파이 무선공유기 만들기(비밀번호 없이)  (0) 2020.05.13
dhcpcd 설정  (0) 2020.05.13
라즈베리 파이 wifi AP로 설정하기  (0) 2020.05.09
GND가 문제였군..  (0) 2020.05.05
라즈베리 + L298N 실패..  (0) 2020.04.30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20. 5. 9. 21:37

hostapd만 설치하고 open system 으로 설정하니

ip 주소를 받아오지 못해서 핸드폰에서 정상적으로 접속하지 못한다.

dnsmasq를 꼭 깔아야 하려나? dhcpcd만 깔면되려나..

 

----

 

hostapd / dnsmasq 두개가 debian 계열 패키지로 제공되는 녀석인 듯

드론 처럼 wifi AP로만 쓰고 외부로 접속을 공유해주는 '무선공유기'를 만들게 아니라면

dnsmasq는 쓸데 없을 것 같긴한데..

dnsmasq에 dhcpcd 가 포함이 되는거라면 hostapd / dhcpcd 두개를 설치하는 것이 내가 원하는 방향이 될 듯 하다.

 

$ sudo apt install hostapd

[링크 : https://thepi.io/how-to-use-your-raspberry-pi-as-a-wireless-access-point/]

[링크 : https://airpage.org/xe/project_data/24937]

[링크 : https://fishpoint.tistory.com/2159]

 

+

$ systemctl status hostapd
● hostapd.service
   Loaded: masked (Reason: Unit hostapd.service is masked.)
   Active: failed (Result: exit-code) since Sat 2020-05-09 23:02:20 KST; 11min ago

 5월 09 23:02:20 raspberrypi systemd[1]: hostapd.service: Service RestartSec=100ms expired, scheduling restart.
 5월 09 23:02:20 raspberrypi systemd[1]: hostapd.service: Failed to schedule restart job: Unit hostapd.service is masked.
 5월 09 23:02:20 raspberrypi systemd[1]: hostapd.service: Failed with result 'exit-code'.

 

구동이 안되네?

$ sudo service hostapd restart
Failed to restart hostapd.service: Unit hostapd.service is masked.

 

masked는 첨 보는데.. 찾아보니 unmask 라는걸로 풀어주고 하면 문제가 없다.

$ sudo systemctl unmask hostapd
$ sudo systemctl enable hostapd
$ sudo systemctl start hostapd

 

아무튼.. 데몬을 실행하니 아래와 같이 아이피 하나 잡혀주긴 한다.

$ ifconfig wlan0
wlan0: flags=4099<UP,BROADCAST,MULTICAST>  mtu 1500
        ether 4c:e6:76:90:50:d5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0  bytes 0 (0.0 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0  bytes 0 (0.0 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 ifconfig wlan0
wlan0: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169.254.71.187  netmask 255.255.0.0  broadcast 169.254.255.255
        inet6 fe80::a73b:b28c:e97:7810  prefixlen 64  scopeid 0x20<link>
        ether 4c:e6:76:90:50:d5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0  bytes 0 (0.0 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30  bytes 5854 (5.7 Ki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핸드폰에서 확인하니 NETWORK 라는 무선 AP가 생겨났지만

PASSWORD라고 암호를 설정해준 것이 문제인지 인증 과정에서 넘어가질 못한다.

[링크 : https://www.diymaker.net/143]

 

+

wpa=0

auth_algs=1

위와 같이 하면 open system authentication으로 암호없이 접속은 가능해진다.

auth_algs=0 으로 하면 "no authentication algorithms allowed" 에러가 뜨며 데몬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는다.

 

##### WPA/IEEE 802.11i configuration ##########################################

# Enable WPA. Setting this variable configures the AP to require WPA (either
# WPA-PSK or WPA-RADIUS/EAP based on other configuration). For WPA-PSK, either
# wpa_psk or wpa_passphrase must be set and wpa_key_mgmt must include WPA-PSK.
# Instead of wpa_psk / wpa_passphrase, wpa_psk_radius might suffice.
# For WPA-RADIUS/EAP, ieee8021x must be set (but without dynamic WEP keys),
# RADIUS authentication server must be configured, and WPA-EAP must be included
# in wpa_key_mgmt.
# This field is a bit field that can be used to enable WPA (IEEE 802.11i/D3.0)
# and/or WPA2 (full IEEE 802.11i/RSN):
# bit0 = WPA
# bit1 = IEEE 802.11i/RSN (WPA2) (dot11RSNAEnabled)
# Note that WPA3 is also configured with bit1 since it uses RSN just like WPA2.
# In other words, for WPA3, wpa=2 is used the configuration (and
# wpa_key_mgmt=SAE for WPA3-Personal instead of wpa_key_mgmt=WPA-PSK).
#wpa=2

# IEEE 802.11 specifies two authentication algorithms. hostapd can be
# configured to allow both of these or only one. Open system authentication
# should be used with IEEE 802.1X.
# Bit fields of allowed authentication algorithms:
# bit 0 = Open System Authentication
# bit 1 = Shared Key Authentication (requires WEP)
auth_algs=3

[링크 : https://w1.fi/cgit/hostap/plain/hostapd/hostapd.conf]

 

+ 2020.05.13

wpa=0 이 아니라 wpa 를 아예 설정하지 않으면 암호 없는 네트워크로 설정된다.

 

[링크 : http://nitlab.inf.uth.gr/mazi-guides/accessPoint.html]

'embeded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cd 설정  (0) 2020.05.13
라즈베리 파이 iwlist, iwconfig 로 무선접속하기  (0) 2020.05.09
GND가 문제였군..  (0) 2020.05.05
라즈베리 + L298N 실패..  (0) 2020.04.30
라즈베리 파이 pinout 유틸리티  (0) 2020.04.30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android2020. 5. 9. 13:23

조이스틱 같은 앱을 만드려면 두 개 이상의 터치에 대한 드래그를 처리해야 가능하겠군..

 

[링크 : https://developer.android.com/training/gestures/multi]

[링크 : https://bitsoul.tistory.com/169]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android2020. 5. 9. 13:16

조이스틱 처럼 만들어 봐야 하나

아니면 버튼으로 해봐야 하려나? (버튼 다운/ 업 으로 구분?)

 

[링크 : https://wickies.tistory.com/103]

[링크 : https://code.tutsplus.com/ko/tutorials/android-from-scratch-using-rest-apis--cms-27117]

 

롱 클릭 이라는 것도 있네 몇초이려나?

[링크 : https://bitsoul.tistory.com/13]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20. 5. 8. 17:23

i5-2500 / HD 7950 으로 돌려도 버벅대된 녀석이

odroid XU4 / ubuntu / kodi로 재생하니 아무런 문제없이 잘 돌아간다.

덕분에 지름신은 좀 물리쳐질지도?

 

삼성 홈페이지에서는 Exynos 5 Octa (5422) 스펙에 FHD 120fps 인코딩 / 디코딩이 가능하다는데

Full HD 120fps encoding and
decoding with VP8 Codec

[링크 : https://www.samsung.com/semiconductor/minisite/exynos/products/mobileprocessor/exynos-5-octa-5422/]

 

hardkernel 쪽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된다고 하니 되는거 맞겠지 머..

[링크 : https://books.google.co.kr/books?id=-D9QCwAAQBAJ&pg=PA11&lpg=PA11&dq=Exynos5422+h265...]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odroid c2  (0) 2021.08.22
모니터 소비전력과 오드로이드 XU4  (0) 2020.06.02
odroid xu4 ADC 2CH  (0) 2020.03.28
odroid xu4 image 테스트  (0) 2020.03.28
odroid xu4 vlc error  (0) 2020.03.27
Posted by 구차니

똥꼬에 똥이 너무 딱딱히 붙어서 떼어내지질 않아

뜨거운물에 씻기고 헤어드라이어 열풍으로 말려주니 조금은 더 뽀샤시 해진 느낌?

 

 

'개소리 왈왈 > 사진과 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꾸라지 방생  (8) 2020.05.16
무지개  (0) 2020.05.11
병아리 2마리 획득  (0) 2020.04.29
영월 봄 하늘  (0) 2020.03.13
숯불. 불꽃  (0) 2020.01.27
Posted by 구차니

컴퓨터도 사고 싶고(H.265 재생이 힘들어서)

자전거 부품도 사고 싶고(U2 라이트 상태가 이상한데 배터리 문제인지 알 수 없어서)

후미등도 사고 싶고(바엔드 라이트로 살까 ㅠㅠ)

 

하.. 돈!! 로또만이 살길인가?!

'개소리 왈왈 > 육아관련 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작 공기청정기 하나 고장남  (0) 2020.05.11
침대 하나 버리기로 결정  (2) 2020.05.10
버리기 + 득템?  (0) 2020.05.04
남양주시 재난긴급지원금 신청  (0) 2020.05.03
벌써 두달..  (0) 2020.05.02
Posted by 구차니

아무생각없이 오후 2시에 탔다가 노릇노릇 익어 버렸네

1시간 탔는데 엉덩이 아프고 완전 초기화를 넘어서 초심자가 된 상황이네 ㅠㅠ

 

 

'개소리 왈왈 > 자전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트 수리  (0) 2020.07.07
자전거 대행진은 아직 소식이 없네  (0) 2020.05.18
자전거 대행진  (0) 2019.06.09
점심의 자전거.. -_ㅠ  (2) 2019.05.28
2019 자전거 대행진 신청!  (2) 2019.04.24
Posted by 구차니
embeded/arduino(genuino)2020. 5. 5. 16:05

완전 동일한 보드 / 모터 관련 글 이 검색에 똭!

해보니 잘 돌아간다. 돌아가니.. 분석을 해봐야지..

[링크 : http://blog.naver.com/ubicomputing/220747940482]

 

+

생각을 해보니, 스텝모터는 펄스로 한 스텝씩 이동시키는 것일 뿐이니..

ULN2003은 단순하게 보면 4채널 on/off 가능한 칩으로 보면 될 지도 모르겠네?

 

H brigde가 없어서 전진/후진 바꾸어서 하진 못하고 on/off만 가능함.

[링크 : https://blog.danggun.net/2647]

 

+

 

delay() 안쓰고 micros() 함수로 us 단위 시간을 받아와 busy wait 하도록 구성되어있네..

1스텝에 1us, 4096 스텝에 한바퀴니 4초 움직이고 2초 쉬고 4초 반대로 움직이도록 코드가 되어있고

[링크 : https://www.arduino.cc/reference/en/language/functions/time/micros/]

 

속도를 느리게 해서 LED 불 들어오는 걸 보니

A / AB / B / BC / C / CD / D / DA 를 반복해서 모터를 구동하도록 되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embeded > arduino(genuino)'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A5767 살까 말까..  (0) 2020.06.15
지름신 축적중  (0) 2020.06.10
L298N 보드 사용 준비  (0) 2020.04.28
L293D 아두이노 드라이버  (0) 2020.04.22
라즈베리 - 아두이노 i2c 통신 예제  (0) 2020.04.18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