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소리 왈왈 > 정치관련 신세한탄' 카테고리의 다른 글
kf21 마하돌파 (0) | 2023.01.17 |
---|---|
아랍 적! (0) | 2023.01.17 |
이게 무슨 의미인지 알고 하는건가? (0) | 2023.01.11 |
기사 : 尹, 북핵 문제에 “심각해진다면 자체 핵 보유할 수도” (0) | 2023.01.11 |
확전이라니 (0) | 2022.12.28 |
kf21 마하돌파 (0) | 2023.01.17 |
---|---|
아랍 적! (0) | 2023.01.17 |
이게 무슨 의미인지 알고 하는건가? (0) | 2023.01.11 |
기사 : 尹, 북핵 문제에 “심각해진다면 자체 핵 보유할 수도” (0) | 2023.01.11 |
확전이라니 (0) | 2022.12.28 |
동적 길이를 지니는 map은 없나?
package main import ( "fmt" "github.com/mitchellh/mapstructure" ) type MyStruct struct { Name string `mapstructure:"name"` Age int64 `mapstructure:"age"` } func main() { myData := make(map[string]interface{}) myData["Name"] = "Wookiist" myData["Age"] = int64(27) result := &MyStruct{} if err := mapstructure.Decode(myData, &result); err != nil { fmt.Println(err) } fmt.Println(result) } |
[링크 : https://wookiist.dev/107]
걍 추가하면 되는 듯?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 // employee 라는 map 타입의 자료가 있습니다. var employee = map[string]int{ "Mark": 10, "Sandy": 20, "Rocky": 30, "Rajiv": 40, "Kate": 50, } // employee map 타입의 자료를 iterate하는 방법은 // for range 문구를 사용하는 겁니다. // key, element 를 지정하면 해당 key와 value를 // 각각 key, element라는 변수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for key, element := range employee { fmt.Println("Key:", key, "=>", "Element:", element) } // employee map 타입에 자료를 추가해 봅시다. employee["Lunar"] = 60 employee["Mars"] = 70 // employee map 타입의 자료중 기존 자료 업데이트하기 employee["Mark"] = 15 // 수정 된 후 출력하기 fmt.Println("after modified") for key, element := range employee { fmt.Println("Key:", key, "=>", "Element:", element) } // Map data 삭제하기 - delete 함수 이용 delete(employee,"Mark") // 수정 된 후 출력하기 fmt.Println("after modified") for key, element := range employee { fmt.Println("Key:", key, "=>", "Element:", element) } // 빈 Map 타입 생성 employeeList := make(map[string]int) // Map 자료의 갯수는 len함수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fmt.Println(len(employee)) // 2 fmt.Println(len(employeeList)) // 0 } |
golang websocket binary (0) | 2023.03.28 |
---|---|
golang 크로스 컴파일 GOARM GOARCH (0) | 2023.02.03 |
golang reflect (0) | 2023.01.03 |
golang unsafe (0) | 2023.01.03 |
golang 웹 pprof (0) | 2023.01.03 |
두둥!
2월의 시작 (0) | 2023.02.01 |
---|---|
주말 출근 + 야근 (0) | 2023.01.14 |
피곤 (0) | 2023.01.10 |
23년! (0) | 2023.01.01 |
오픈소스의 몰락? 공급망 공격 (0) | 2022.12.23 |
비자중단 우리가 감수해야 한다 이거나
우리도 그럼 중국에 대한 비자를 중단해야 둘 중 하나겠지만..
둘 다 적절하지 못한 발언인데?
尹대통령, 中 비자 중단에 "불편한 관계 지속할 이유 없어"
아랍 적! (0) | 2023.01.17 |
---|---|
외교부 '바이든 쪽팔려서' MBC 보도에 소송 제기 (0) | 2023.01.15 |
기사 : 尹, 북핵 문제에 “심각해진다면 자체 핵 보유할 수도” (0) | 2023.01.11 |
확전이라니 (0) | 2022.12.28 |
확실히 지하철 고장이 잦아진 듯 (0) | 2022.12.15 |
도대체 어디까지 이해를 하고 있고
얼마를 알고 있어서 저런 소릴 하는건지 궁금하다.
그게 아니라면, 일반인들은 모르는 어마어마한 변수가 있는건가?
북한이나 이란처럼 가난해질 각오가 있는가?
외교부 '바이든 쪽팔려서' MBC 보도에 소송 제기 (0) | 2023.01.15 |
---|---|
이게 무슨 의미인지 알고 하는건가? (0) | 2023.01.11 |
확전이라니 (0) | 2022.12.28 |
확실히 지하철 고장이 잦아진 듯 (0) | 2022.12.15 |
12.12 사태 (0) | 2022.12.12 |
와.. 16채널 ADC인데 15SPS 라니
그러면.. 채널 변경하고 안정화 된다고 기다리는 시간 고려하면 더 느려진다는 말인데!?
Output Data Rate When using its internal oscillator, the LTC2495 produces up to 15 samples per second (sps) with a notch frequency of 60Hz |
[링크 : https://www.analog.com/media/en/technical-documentation/data-sheets/2495fe.pdf]
gwinstek MFG-2230M SCPI (0) | 2024.07.10 |
---|---|
scpi, visa, ivi (0) | 2021.01.06 |
FMU... 2? (0) | 2020.12.22 |
FMU (0) | 2020.12.21 |
계측장치용 프로토콜 (VISA, SCPI, IEEE-488) (0) | 2020.11.27 |
목이랑 어깨가 너무 아파
지하철에 앉아도 자질못한다
퇴근길에는 연착인데.. 엄청 속도내서 정시도착
주말 출근 + 야근 (0) | 2023.01.14 |
---|---|
야근의 시작인가 (0) | 2023.01.12 |
23년! (0) | 2023.01.01 |
오픈소스의 몰락? 공급망 공격 (0) | 2022.12.23 |
생애 첫 ABS 작동 (2) | 2022.12.21 |
ipcs -m 하면 키, id, size가 나오는데
어떻게 size를 받아내나 싶어서 찾아보니 먼가 나오긴 한다.
struct shmid_ds buf; shmctl(shm, IPC_STAT, &buf); int length = (int) buf.shm_segsz / sizeof(int); |
[링크 : http://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0219469/find-size-of-shared-memory-in-c-shmget]
malloc() 으로 할당된 메모리 리스트? (0) | 2023.10.19 |
---|---|
inotify (0) | 2023.06.21 |
segfault시 calltree 출력하기 (0) | 2022.11.28 |
pthread 테스트 (0) | 2022.11.24 |
pthread (0) | 2022.11.23 |
Virtualbox나 VMware 등을 보면
Host OS에서 인식된 USB를 Guest OS로 연결해서 넘겨줄수 있는데 그 기능을 찾는중
결론 : 응 안돼. 안 되는데 돼.
USB 디바이스 연결에 대한 지원은 WSL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오픈 소스 usbipd-win 프로젝트를 설치해야 합니다. |
[링크 :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sl/connect-usb]
[링크 : https://github.com/dorssel/usbipd-win/releases]
[링크 : https://choiseokwon.tistory.com/354]
virtualHere USB Server / Client로 하는 방법
[링크 : https://lab-notes.tistory.com/entry/WSL2에-USB-device-연결]]
7세대는 윈도우 11이 안되는 군! (2) | 2023.03.04 |
---|---|
윈도우 시리얼 날리기 (0) | 2023.02.24 |
WSL 로 SSH 접속 .. 2 (0) | 2023.01.09 |
hyper-v on win home (0) | 2023.01.08 |
첫 WSL 설치 (0) | 2023.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