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2010. 9. 21. 00:32
POSIX는 "유닉스 관련 운영체제에 대한 이동성을 위한 표준" 이라고 하지만
도대체 무슨 의미인지 이해도 안되는데..

POSIX.1


이러한 시스템적인 녀석들에 대한 표준을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녀석 검색을 파고 들다보니 예전에 Windows에서 NFS를 사용하는 방법중 하나인 SFU가 떠올랐고
MS Windows에서 POSIX를 지원하는 내용을 봤던게 떠올랐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POSIX]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icrosoft_POSIX_subsystem[]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icrosoft_Windows_Services_for_UNIX]
        [링크 : http://support.microsoft.com/kb/324055]
        [링크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en/details.aspx] Download Windows Services for UNIX v3.5

물론 POSIX를 지원한다고 해서, 바이너리 수준의 호환성을 지원하는게 아니라
리눅스의 ELF 실행 파일들을 윈도우에서 실행할수도 있는게 아닌데
왜 MS Windows에서 POSIX를 지원하고 그걸 따르려는지는 조금 의문이었다.
(물론 미국정부 입찰시 정부 요구사항으로 POSIX 호환을 요구했다지만..)
FIPS - Federal Information Processing Standard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Federal_Information_Processing_Standard]

개인적으로는 윈도우의 POSIX 를 따르는 것 중 하나가
NT 커널로 오면서 Program Files / Windows / Documents and Users 등의 File system hierachy 등부터
사용자 관리 등을 포함하는게 아닐까 싶었는데 음.. 이것과는 좀 다른것 같기도 하다.
Posted by 구차니
Linux2010. 9. 21. 00:19
애플 빠돌이인 후배에게 MacosX가 좋아?
라는 질문에 문득 맥은 어떤 커널구조인가 호기심 발동.

일단 Mac의 커널은 NeXTstep의 영향으로 micro kernel을 받아들이고 있고,
퍼포먼스 측면의 문제로, 일부는 모노리딕 커널의 형태를 지닌, 결과론적으로 '하이브리드 커널' 형태를 지니고 있다.


모노리딕 커널은 현재 Linux 에서 채용하고 있는 커널의 구조이며,
모든 OS의 기능을 커널 영역(kernel space <-> user spcae)에서 관리자 모드(supervisor mode)로 구동한다.
 A monolithic kernel is a kernel architecture where the entire operating system is working in the kernel space and alone as supervisor mode.

이에 반해, 마하 커널은
최소한의 기능만을 커널 영역에서 관리자 모드로 실행하며, 나머지 기능들을 유저 모드에서 실행을 한다.
다르게 말하면, 사용자별로 분리되어 작동하므로 커널을 침범하지 않아 보안의 문제가 줄어들며
개별유저가 시스템 전체를 망가트릴 정도로 문제가 확대되지 않는 구조적인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이는 프로세스 간의 통신(IPC)에 부하가 많아지므로 전체성능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The microkernel approach consists of defining a simple abstraction over the hardware, with a set of primitives or system calls to implement minimal OS services such as memory management, multitasking, and inter-process communication. Other services, including those normally provided by the kernel, such as networking, are implemented in user-space programs, referred to as servers. Microkernels are easier to maintain than monolithic kernels, but the large number of system calls and context switches might slow down the system because they typically generate more overhead than plain function calls.


간단하게 예를 들자면, 리눅스의 경우 Xwindow와 같은 그래픽 계열은
전부 User spcae에서 돌리는데 이로 인해 초기의 Xwindow는 MS Windows에 비하면 상당히 반응속도도 느렸는데
이는 리눅스는 monolithic kernel + user space Xwindow application 조합이었고
윈도우즈는 커널과 그래픽 부분이 결합되었기 때문에 통신에 대한 부하가 적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적 차이로 리눅스는 가벼운 커널을 유지한 반면, MS Windows는 무거운 커널을 지니게 되었다.

머.. 현재의 시스템은 충분히 빨라졌고 알고리즘의 향상으로
Xwindow나 MS windows나 아주 큰 속도의 차이는 나지 않는것 같기 때문에 굳이 구분할 이유가 있나 싶기도 하다.
아무튼, 결국에는 하이브리드로 수렴하지 않을까 싶다.

[링크 : http://bugtruck.tistory.com/196]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Kernel_%28computing%29]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onolithic_kernel]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Hybrid_kernel]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ach_kernel]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ac_OS_X]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L on Linux - ether-wake  (0) 2010.10.05
POSIX - Portable Operating System Interface [for Unix]  (6) 2010.09.21
bash -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하기 move to previoud directory  (2) 2010.09.19
mkinitramfs  (0) 2010.09.19
top (1) - load average ?  (4) 2010.09.12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2010. 9. 20. 22:21
jwmx 님의 공동 문서 작업의 최고 툴 - 구글 문서도구 라는 글을 보고
문득 google docs를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헐! 블로그에서 사진을 빼오기 위해 Javascript 우클릭 막기를 꺼놔서 이런 불상사가 발생!

   

어쩔수 없이 다시 우클릭 사용을 막을수 있도록 설정 OTL


음.. 그런데 왜 내 google docs에.. Mr.Dust 님의 글이 남아있는걸까 -_-?

'프로그램 사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eegate - open proxy 프로그램  (2) 2010.12.30
ftp로 xmark를 사용하기  (6) 2010.10.18
빵집과 7zip - ISO/UDF 관련  (2) 2010.09.07
infrarecorder - DVD 오버버닝 안됨  (0) 2010.08.08
flash embed 시의 시작경로  (2) 2010.07.18
Posted by 구차니

왕십리 / 용산은 같은 3D 방식인데, 강동CGV의 3D는 앞의 두개관의 3D 방식과는 다른 느낌이다.

Not for Use as Sunglasses

방향에 따라 보이기도 하고

안보이기도 한다.

masterImage

[링크 :

http://masterimage3d.com/

]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영화2010. 9. 20. 19:51
슈퍼배드 영화는 그리 기대를 안하고 봤다.
일단은 더빙이고, 소녀시대가 더빙한다니 웬지 기대감 하락 -_-

하.지.만 보고나서는 우왕쿳!
엔딩크레딧 까지 보고 나오게 하는 센스!
그리고 막내역활의 아그네스 성우가 궁금해지는 영화!

아그네스의 최고 표정!
[링크 : http://blog.daum.net/7237474/8738581]

아그네스 성우(김서영) 블로그 - 슈퍼배드
[링크 : http://blog.naver.com/mbckong/70093994842]


사운드 : 3/5 (무난한 정도)
그래픽 : 3/5 (무난한 정도)
입체감 : 4/5 (너무 억지스런 연출은 없음)
스토리 : 2/5 (매끄럽지 않은 착해지는 영웅, 왜 슈퍼 배드지?)
귀여움 : 5/5 (으악 막내!!!!)

결론 : 소녀시대를 기대하고 보면 실망, 그냥 영화자체를 즐기면 만족!



[링크 : http://www.superbad.kr]

유튜브를 보다보니, 원제가 SUPER BAD가 아니라 despicable me인것을 발견 -_-
이거 예전에 BAD GUYS의 전철을 밟은 나쁜 작명의 예가 되려나?

'개소리 왈왈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스토퍼블 + CAR  (8) 2011.02.15
트론 - Tron Legacy (2010)  (7) 2011.01.01
아바타 특별판(Avatar Special, 1020)  (6) 2010.08.29
인셉션(Inception 2010)  (4) 2010.08.01
슈렉 포에버(2010, Dreamworks) + 4DPlex  (2) 2010.07.04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10. 9. 20. 17:56
자다보니 하루가 슝 -_-
어제 initrd.img에 너무 올인했나 -_-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9. 19. 23:16
핸드폰에 내장된 전자 나침판(compass sensor)등을 만드는 기술적인 방법
음.. 예전에 화제가 되었던 나노 크기의 장비를 만드는 것들이 상용화 된것일려나?

[링크 : http://www.motioncontrol.co.kr/default/news/?grpid=000000005&nwsid=n3&uid=6021]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MEMS]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icroelectromechanical_systems]
[링크 : http://www.mems-exchange.org/MEMS/what-is.html]
[링크 : http://www.terms.co.kr/MEMS.htm]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GP (Accelated Graphics Port)  (4) 2010.10.12
VRM with P3-1Ghz  (0) 2010.10.11
Nvidia 8600GT core + cooler  (0) 2010.07.17
기가비트 이더넷 PCI 랜카드 - about PCI GbE  (4) 2010.07.14
Kicad - open source PCB / circuit program  (11) 2010.07.08
Posted by 구차니
Linux2010. 9. 19. 21:44
완전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할때 가끔 이전의 경로로 돌아가고 싶은 때가 있다.
귀찮지만 일일이 치곤했는데, 귀차니즘(실은 모토쿼티에서 일일이 치긴 곤혹이라..) 때문에 다시 찾아보니
간단한 해결 방법이 있었다.

 cd $OLDPWD
 cd -

두가지 모두 bash 쉘에서 작동을 한다.
그래도 cd - 가 타수가 적어지니 더 편한듯!


OLDPWD
The previous working directory as set by the cd command.

[링크 : http://linux.die.net/man/1/bash]

you can go back to the previous directory without having to type in the entire directory path by using the command “cd –”.

[링크 : http://techie-buzz.com/.../how-to-go-back-to-previous-directory...putty.html]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IX - Portable Operating System Interface [for Unix]  (6) 2010.09.21
커널의 종류(kind of kernels)  (0) 2010.09.21
mkinitramfs  (0) 2010.09.19
top (1) - load average ?  (4) 2010.09.12
curl  (0) 2010.09.11
Posted by 구차니
Linux2010. 9. 19. 14:04
mkinitramfs는 initrd.img 파일을 만드는 스크립트이다.
$ whereis mkinitramfs
mkinitramfs: /usr/sbin/mkinitramfs /usr/share/man/man8/mkinitramfs.8.gz

$ ll mkinitramfs*
-rwxr-xr-x 1 root root 9588 2010-04-27 00:16 mkinitramfs*
-rwxr-xr-x 1 root root 1931 2010-04-27 00:16 mkinitramfs-kpkg*

$ file mkinitramfs*
mkinitramfs:      POSIX shell script text executable
mkinitramfs-kpkg: POSIX shell script text executable

이 녀석의 인자로는 [version] 이라는 값이 들어가는데,
이 값은, /lib/modules/[version] 값의 경로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 mkinitramfs

Usage: /usr/sbin/mkinitramfs [OPTION]... <-o outfile> [version]

Options:
  -d confdir  Specify an alternative configuration directory.
  -k          Keep temporary directory used to make the image.
  -o outfile  Write to outfile.
  -r root     Override ROOT setting in mkinitrd.conf.

See mkinitramfs(8) for further details.

아무튼 나의 경우에는, apt-get으로 받은 우분투 커널 소스를 컴파일 하여 설치된 경로가
/usr/src/linux-source-2.6.32 였고, 컴파일 하여 생성되는 모듈들의 경로는
/lib/modules/2.6.32.15+drm33.5/ 였다. 이런 이유로, uname 으로 출력되는 경로와 다르게 되어
기본값으로 생성되는 initrd.img의 내용에는 modules.dep 파일이 없어서 구동이 되지 않는다.

물론, initrd.img의 크기는 실제 장착된 메모리의 용량을 넘어서지만 않으면 된다고 하지만,
내가 생성해낸 이 파일의 용량은 65M가 되어서 부팅에 조금 오래 걸리고,
약간의 설정상 문제가 있는지 Xwindow가 구동하지 않았다 -_-

기본적인 우분투의 initrd.img의 크기는 7.6M 정도이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널의 종류(kind of kernels)  (0) 2010.09.21
bash -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하기 move to previoud directory  (2) 2010.09.19
top (1) - load average ?  (4) 2010.09.12
curl  (0) 2010.09.11
verbose가 모야?  (4) 2010.07.29
Posted by 구차니
후배녀석이랑 대화중에 갤S 샀냐는 말에
모토쿼티로 대답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무튼 아이폰이 외계인 스펙이라면서 와우도 돌린다고 하지만
예전에 그 이야기는 들었지만 실상은 몰랐는데

PC에서 돌리고 그걸 스트리밍으로 받아 뿌려주는 일종의 원격데스크탑 형태라고 한다.

[링크 : http://icemilo.tistory.com/298]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Vollee]



문득... ARM 1Ghz랑 센트리노 1Ghz 랑 붙으면 누가 이길까 궁금해진다..

'개소리 왈왈 > 모바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읭? 자동 리부팅인가?  (0) 2010.09.23
PdaNet 무료버전 제약사항  (2) 2010.09.21
모토쿼티 장점  (3) 2010.09.10
모토쿼티/모토로라 불만점 2  (2) 2010.09.10
모토쿼티에서 Tmap을 사용하자!  (4) 2010.09.06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