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db --help
This is the GNU debugger.  Usage:

    gdb [options] [executable-file [core-file or process-id]]
    gdb [options] --args executable-file [inferior-arguments ...]

Options:

  --args             Arguments after executable-file are passed to inferior
  -b BAUDRATE        Set serial port baud rate used for remote debugging.
  --batch            Exit after processing options.
  --batch-silent     As for --batch, but suppress all gdb stdout output.
  --return-child-result
                     GDB exit code will be the child's exit code.
  --cd=DIR           Change current directory to DIR.
  --command=FILE, -x Execute GDB commands from FILE.
  --eval-command=COMMAND, -ex
                     Execute a single GDB command.
                     May be used multiple times and in conjunction
                     with --command.
  --core=COREFILE    Analyze the core dump COREFILE.
  --pid=PID          Attach to running process PID.
  --dbx              DBX compatibility mode.
  --directory=DIR    Search for source files in DIR.
  --epoch            Output information used by epoch emacs-GDB interface.
  --exec=EXECFILE    Use EXECFILE as the executable.
  --fullname         Output information used by emacs-GDB interface.
  --help             Print this message.
  --interpreter=INTERP
                     Select a specific interpreter / user interface
  -l TIMEOUT         Set timeout in seconds for remote debugging.
  --nw             Do not use a window interface.
  --nx               Do not read .gdbinit file.
  --quiet            Do not print version number on startup.
  --readnow          Fully read symbol files on first access.
  --se=FILE          Use FILE as symbol file and executable file.
  --symbols=SYMFILE  Read symbols from SYMFILE.
  --tty=TTY          Use TTY for input/output by the program being debugged.
  --tui              Use a terminal user interface.
  --version          Print version information and then exit.
  -w                 Use a window interface.
  --write            Set writing into executable and core files.
  --xdb              XDB compatibility mode.

For more information, type "help" from within GDB, or consult the
GDB manual (available as on-line info or a printed manual).
Report bugs to "bug-gdb@gnu.org".

스크립트에는 gdb에서 입력하던 명령어들을 넣어주면 된다.

[링크 : http://darkfader.net/arm/files/Example%20GDB%20script.txt]

'프로그램 사용 > gdb &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sight(gdb) 아키텍쳐별 차이점(?)  (0) 2010.05.18
gdb cross compile 관련  (0) 2010.05.18
gdb 명령어 - next / step / [엔터]  (0) 2009.07.01
gdb help  (0) 2009.06.26
간단한 gdb/gdbserver/insight 사용법  (0) 2009.06.26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nfs2009. 9. 1. 10:02

$ sudo apt-get install nfs
라는 말에 낚여 해보니 안되는데 -ㅁ-!! 광분을 하면서 패키지 검색을 해봤더니

$ sudo apt-cache search nfs | grep ^nfs
nfs-user-server - User space NFS server
nfsboot - Allow clients to boot over the network
nfsbooted - Prepares your image for nfs boot
nfs-common - NFS support files common to client and server
nfs-kernel-server - support for NFS kernel server

머.. 아무튼, nfs-common만 해도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synaptic package manager에서는 의존성이 없는지 두개가 따로 선택이 가능했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coLinux2009. 8. 31. 16:57
colinux portalb ubuntu를 사용중인데, 이녀석은 별다른 설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아이피가 10.0.2.15로 잡힌다.

$ ifconfig
eth0      Link encap:Ethernet  HWaddr 00:ff:75:39:d3:c1 
          inet addr:10.0.2.15  Bcast:10.0.2.255  Mask:255.255.255.0
          inet6 addr: fe80::2ff:75ff:fe39:d3c1/64 Scope:Link
          UP BROADCAST RUNNING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12902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15244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1000
          RX bytes:1303825 (1.2 MB)  TX bytes:7004618 (6.6 MB)
          Interrupt:2

lo        Link encap:Local Loopback 
          inet addr:127.0.0.1  Mask:255.0.0.0
          inet6 addr: ::1/128 Scope:Host
          UP LOOPBACK RUNNING  MTU:16436  Metric:1
          RX packets:2004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2004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0
          RX bytes:572264 (558.8 KB)  TX bytes:572264 (558.8 KB)

portable_ubuntu.conf 파일의 내용에는 아래의 내용뿐이다.
eth0=slirp,00:ff:75:39:D3:C1,tcp:22:22
slirp를 통해서 외부로 접속을 하고,
맥 어드레스와 외부로 22번 포트를 열어주어 ssh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아무튼 ip에 신경쓰지 않고 로컬 포트처럼 사용하려면 위의 eth0의 마지막 tcp:22:22 뒤에 / 를 붙이고 붙여주면 된다.
예를 들어 tftp를 열어주고 colinux의 tftpd에 접속하도록 하고 싶다면
eth0=slirp,00:ff:75:39:D3:C1,tcp:22:22/udp:69:69
라고 입력해주면 된다.

[링크 : http://docs.blackfin.uclinux.org/doku.php?id=colinux:network]
[링크 : http://minangel.tistory.com/228] <- 원문 추적 실패
[링크 : http://colinux.wikia.com/wiki/Network]

'프로그램 사용 > co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rtable Ubuntu TRES / ubuntu 9.10  (6) 2010.05.07
colinux와 UML  (0) 2010.01.23
ubuntu inetd.conf - tftp  (0) 2009.08.31
colinux portable ubuntu 용량 증설하기  (0) 2009.08.31
portable ubuntu (colinux) fstab  (0) 2009.08.31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coLinux2009. 8. 31. 15:21
ubuntu에서 tftp를 쓰려고 설치했떠니, bsd inetd 어쩌구 하면서 당황을 시킨다 ㄱ-

$ more /etc/inetd.conf
tftp        dgram    udp    wait    nobody    /usr/sbin/tcpd    /usr/sbin/in.tftpd /srv/tftp

이녀석이 tftp의 root directory인데
페도라에서는 /tftpboot로 썼던게 편해서. 일단은 이녀석을 변경하면 /tftpboot로 변경하면 된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coLinux2009. 8. 31. 14:59
예전에 웹초보님의 블로그에서 받은 우분투는 2GB로 rootfs가 잡혀있어서
조금만 설치하면 용량부족 에러가 발생한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해서 따라하니 그리 어렵지 않게 이전을 했다.
[링크 : http://colinux.wikia.com/wiki/FAQ#Q28._How_can_I_increase_the_size_of_a_coLinux_block_device_image.3F]


Step 1. 윈도우에서 rootfs를 생성한다. 넉넉한 용량을 위해 8기가를 생성한다.
(하고 나니.. 4기가면 충분했다는 생각이 든다. 8GB = 8 * 1024 * 1024 * 1024 = 8,589,934,592)
시작 - 실행 - cmd
fsutil file createnew C:\Portable_Ubuntu\images\new_rootfs.img 8589934592

[링크 : http://colinux.wikia.com/wiki/HowtoCreateSwapFile]

Step 2. 포터블 우분투의 부팅 설정 내용을 변경한다.
C:\Portable_Ubuntu\config\portable_ubuntu.conf

cobd0=images\rootfs.img
cobd3=images\new_rootfs.img

Step 3. 마운트 할 경로를 만들고, 새로 만든 파일 시스템을 포맷후 마운트 한다.
sudo mkfs.ext3 /dev/cobd3
sudo mkdir /tmp/mnt
sudo mount /dev/cobd3 /tmp/mnt

Step 4. 마운트 한 새로운 파일시스템으로 현재 내용들을 이전한다.
sudo cp -ax / /tmp/mnt
sudo cp -a /dev/* /tmp/mnt/dev/
sudo sync
sudo umount /tmp/mnt

Step 5. 종료하고, 부팅 설정 내용을 변경한다.
C:\Portable_Ubuntu\config\portable_ubuntu.conf

#cobd0=images\rootfs.img
cobd0=images\new_rootfs.img

위의 단계를 거치면 이전이 완료된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coLinux2009. 8. 31. 14:41
$ more /etc/fstab
# /etc/fstab: static file system information.
#
# <file system> <mount point>   <type>  <options>       <dump>  <pass>
proc            /proc           proc    defaults        0       0

/dev/cobd0      /               ext3    relatime,errors=remount-ro 0       1
/dev/cobd1      none            swap    sw                         0       0
/dev/cobd2      /tmp            ext2    defaults                   0       0

/dev/scd0       /media/cdrom0   udf,iso9660 user,noauto,exec,utf8 0       0

#Windows disks

cofs0          /etc/portable_ubuntu    cofs    user,dmask=0777,fmask=0666 0       0
cofs1          /mnt/C              cofs    user,dmask=0777,fmask=0666 0       0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Trac2009. 8. 30. 23:29
TOW라고 윈도우에서 TRAC을 편하게 설치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한국인이 만들었다고 한다. (의지의 한국인 만세 /ㅁ/)

[링크 : http://sourceforge.net/projects/traconwindows/]
[링크 : http://trac.tistory.com/5]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Trac2009. 8. 30. 22:25
우분투에서 설치는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된다.
$ sudo apt-get install trac

아래는 설치 로그이다.

TRAC은 python 기반의 이슈 트래커이다. 간단하게 프로젝트 관리용 웹 프로그램인데,
설치가 까다롭지만, 사용하기에는 매우 편리하다고 한다.

아무튼 우분투에서는 trac 을 설치하려고 하니
자동으로 apahce와 sqllite 그리고 python을 설치한다.

설치 다음에는 환경설정을 하면된다. 환경설정에 사용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home/morpheuz/trac에는 사용자가 설치할 경로명을 입력하면 된다.
$ trac-admin /home/morpheuz/trac initenv


Project Name [My Project]>
Database connection string [sqlite:db/trac.db]>
Repository type [svn]>
Path to repository [/path/to/repos]>
입력할 사항은 위의 네가지인데, 프로젝트 네임을 제외하고는 그냥 엔터만 치면 기본 값으로 저장된다.
일단 Database에서 아무생각없이 sqlite:db 만 입력했더니 설치시에 에러가 발생했다.



그 다음에는 웹서버를 구동시키면된다.
/home/morpheuz/trac에는 사용자가 설치한 경로명을 입력하면 된다.
$ tracd --port 8000 /home/morpheuz/trac
위의 8000 포트는 예제 값이니 편의대로 임의의 포트로 변경해서 사용하면 된다.

'프로그램 사용 > Tr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c 0.12.1 + 한글메뉴 보기  (0) 2010.11.10
Trac - Authentication information not available  (0) 2010.11.09
TRAC on Ubuntu 10.04 + 로고바꾸기  (2) 2010.11.02
TOW - Trac On Window  (0) 2009.08.30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coLinux2009. 8. 30. 12:03
결론만 말하자면 실패다.

4.  Add CD-ROM support, but this does not work on my machine, I'm using CDROM using
samba (see fstab)
 
<block_device index="3" path="\\Device\CdRom0" enabled="true">
 
It's probably not possible access native Windows partitions because are locked by system.
Windows partitions can be accessed from coLinux using samba client or via cofs (>=0.6.2).
 
It seems that when virtual coLinux booting RH7, RH9 (Fedora) is unable fsck virtual partitions.
To bypass the file system checks add bootparams like those:
 
<bootparams>root=/dev/cobd7 fastboot nogui</bootparams> 

[링크 : http://www.2p.cz/files/2p.cz/downloads/howto/colinux.pdf]

hdc=\Device\Cdrom0
<block_device index="4" path="\Device\Cdrom0" alias="hdc" enabled="true" />

[링크 : http://colinux.wikia.com/wiki/CdDvdAccess]
[링크 : http://colinux.wikia.com/wiki/FAQ]

위의 방법과 다른 곳에서 찾은
codb3 로 하는 방법 모두 실패했다.

그냥 삼바로 끌어오거나 아니면 파일로 iso를 마운트 가능할꺼 같긴한데
어짜피 C 드라이브는 마운트 되니 C드라이브에 넣어서 쓰는게 나을지도 모르겠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coLinux2009. 8. 29. 11:04
VFS: Mounted root (ext2 filesystem).


===========================================================================
# This process will install (if necessary) the coLinux modules for the
# coLinux kernel.
===========================================================================

Determining /, Found.
Mounting /
mount: Mounting /dev/cobd0 on /mnt/linux failed: No such device
VFS: Cannot open root device "cobd0" or unknown-block(117,0)
Please append a correct "root=" boot option; here are the available partitions:
Kernel panic - not syncing: VFS: Unable to mount root fs on unknown-block(117,0

구동을 하자마자 죽길래 뒤에 메시지가 더 있는데 바로 창이 닫혀서 이정도 밖에 캡쳐를 못했다.

일단 경로를 찾을수 없어서 Kernel panic을 일으키고 죽는것인데, 경로가 내 문서에 있었다.
한글로 "내 문서" 이다 보니까 리눅스에서 제대로 인식을 하지 못하고 rootFS를 인식하지 못하고 죽는 것이다.

해결방법은
상위 폴더중에 한글 폴더를 없애면 된다.(영문으로 변경하거나, 폴더를 이동시킴)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