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관련/전기 전자'에 해당되는 글 104건

  1. 2018.04.12 Retiming
  2. 2018.04.12 XNOR ?
  3. 2018.04.06 machine cycle 과 clock cycle
  4. 2018.04.05 반가산기 전가산기
  5. 2018.03.15 패시브/액티브 프로브
  6. 2018.02.09 buck boost 컨버터 효율...
  7. 2018.02.01 PLL 구조와 Frequency Divider / Multiplier
  8. 2018.01.10 opto-isolator
  9. 2018.01.05 디지털 논리회로 - 트랜지스터로 구현
  10. 2017.10.30 아날로그 해상도 화면비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8. 4. 12. 08:08

전파속도라던가

게이트 통과에 따른 지연이라던가

이런저런 이유로 인해 패러럴 데이터가 같은 시간이 도착할 수 없으니까

그걸 적절하게 조정해주는걸 리타이밍이라고 함.


라우팅 레벨에서 하는걸까.. 합성레벨에서 해주는 걸까?


[링크 : https://electronics.stackexchange.com/questions/39712/what-is-clock-skew-and-why-can-it-be-negative]

[링크 : http://fpga.tistory.com/40]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정리  (0) 2018.04.22
pmos nmos cmos  (0) 2018.04.12
XNOR ?  (0) 2018.04.12
machine cycle 과 clock cycle  (0) 2018.04.06
반가산기 전가산기  (0) 2018.04.05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8. 4. 12. 07:48

생각해보면.. XOR에 NOT이 가능한데

XNOR라고 하니 무지 생소한 느낌..


근데....

AND에 NOT이 붙으면 NAND고

OR에 NOT이 붙으면 NOR인데

XOR에 NOT이 붙으면 NXOR가 아니라 왜 XNOR 가 되는거야?



베릴로그 기호로는 둘다 허용

^~

~^

[링크 : https://en.m.wikipedia.org/wiki/XNOR_gate]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os nmos cmos  (0) 2018.04.12
Retiming  (0) 2018.04.12
machine cycle 과 clock cycle  (0) 2018.04.06
반가산기 전가산기  (0) 2018.04.05
패시브/액티브 프로브  (0) 2018.03.15
Posted by 구차니

아.. 한 사이클에 Add를 연산하는 걸 잘못 이해하고 있었던 것 같다.

정확하게는(?)

1 machine cycle에 1명령어 처리고

1 machine cycle은

- fetching / decoding / executing / storing 4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clock cycle은

회로가 작동하는 속도.. 라고 해야하려나?


다시 정리하자면.. clock은 state machine을 한단계씩 넘기는데 소요되는 시간이고

cycle은 state machine이 합쳐진 각종 모듈이 작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보면 되려나?


[링크 : https://www.quora.com/What-is-clock-cycle-machine-cycle-and-instruction-cycle-in-a-microprocessor]

[링크 : https://www.difference.wiki/machine-cycle-vs-clock-cycle/]



32비트 리플 캐리 가산기에서 약 65 gate delay가 필요한데

gate delay가 clock 이라고 한다면(CPU로 치면 3GHz니 머니 하는 그 클럭)

메모리에서 명령어 불러오고, 명령어 해석하고, 실행하고 저장하는 건

그 이상의 clock이 필요하고, 해당 stage를 state machine으로 간주하여

명령어 자체를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Machine cycle 시간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In a 32-bit ripple-carry adder, there are 32 full adders, so the critical path (worst case) delay is 3 (from input to carry in first adder) + 31*2 (for carry propagation in latter adders) = 65 gate delays.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Adder_(electronics)#Ripple-carry_adder]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Instructions_per_cycle]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Cycles_per_instruction]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timing  (0) 2018.04.12
XNOR ?  (0) 2018.04.12
반가산기 전가산기  (0) 2018.04.05
패시브/액티브 프로브  (0) 2018.03.15
buck boost 컨버터 효율...  (0) 2018.02.09
Posted by 구차니

전가산기는 반가산기 2개로 구성

반가산기는 lsb계산

전가산기는 자리상관없이


[링크 : http://woodforest.tistory.com/122]

[링크 : https://ko.m.wikipedia.org/wiki/가산기]


Cpu에서 add는 1클럭인데

캐리리플은 한 클럭에 한 비트씩만 계산

32비트 덧셈에 32클럭 소요

Adder 클럭과 cpu클럭이 다른가?

(아니면.. cycle과 clock이 다른 개념이거나?)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XNOR ?  (0) 2018.04.12
machine cycle 과 clock cycle  (0) 2018.04.06
패시브/액티브 프로브  (0) 2018.03.15
buck boost 컨버터 효율...  (0) 2018.02.09
PLL 구조와 Frequency Divider / Multiplier  (0) 2018.02.01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8. 3. 15. 11:39

웨비나 보는데 첨보는 단어가 나와서 검색...

액티브는 능동 소자가 들어가는 만큼 전압범위가 좁지만

캐패시턴스가 적어서 더 정밀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이런 내용

(기가 단위까지 측정, 하지만 정전기나 전기 범위에 민감함)


패시브 전압 프로브

패시브 프로브는 와이어와 커넥터, 그리고 보상 또는 감쇠가 필요할 경우 저항과 커패시터로 구성됩니다. 트랜지스터 또는 증폭기와 같은 능동 컴포넌트가 없으므로 프로브에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습니다.


액티브 전압 프로브

액티브 프로브는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능동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존하여 작동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능동 장치로는 FET(Field-Effect Transistor: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사용됩니다.


디퍼런셜 프로브

디퍼런셜 신호는 대지 접지가 아니라 서로를 기준으로 삼는 신호를 의미합니다. 그림 2.3에 이러한 신호의 몇 가지 예가 나와 있습니다. 여기에는 컬렉터 부하 저항 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 디스크 드라이브 읽기 채널 신호, 다중 위상 전력 시스템, 기타 신호가 본질적으로 접지 위에서 "플로팅"하는 다수의 상황이 포함됩니다


고전압 프로브

"고전압"이란 용어는 상대적입니다. 반도체 업계에서 고전압으로 간주되는 전압이 전력 업계에서는 사실상 아무 것도 아닐 수 있습니다. 여하튼 프로브와 관련해서는 고전압을 일반적인 범용 10X 패시브 프로브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링크 : http://www.sambow.com/files/60K-6053-12_2012.11.14.19.33.08_2329_KO.pdf]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hine cycle 과 clock cycle  (0) 2018.04.06
반가산기 전가산기  (0) 2018.04.05
buck boost 컨버터 효율...  (0) 2018.02.09
PLL 구조와 Frequency Divider / Multiplier  (0) 2018.02.01
opto-isolator  (0) 2018.01.10
Posted by 구차니

올리는게 효율이 좋을까

내리는게 효율이 좋을까 궁금하네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Buck_converter]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Boost_converter]

    [링크 : https://www.raspberrypi.org/forums/viewtopic.php?f=63&t=24575]


하이고 의미없다 수준?

일단은 Boost 컨버터가 Buck 보다 근소하게 효울이 좋지만, 그렇다고 아주 많이는 아님

[링크 : https://electronics..../which-has-better-efficiency-step-up-or-step-down-switching-voltage-regulator]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가산기 전가산기  (0) 2018.04.05
패시브/액티브 프로브  (0) 2018.03.15
PLL 구조와 Frequency Divider / Multiplier  (0) 2018.02.01
opto-isolator  (0) 2018.01.10
디지털 논리회로 - 트랜지스터로 구현  (0) 2018.01.05
Posted by 구차니


[링크 : http://www.rfdh.com/bas_rf/begin/pll.php3]


divider는 일종의 counter

클럭을 카운트 한 다음 해당 숫자가 세어지면 한 클럭을 내주면되고

내부적으로 카운터는 Flip-Flop으로 구성


multiplier는 고조파(harnomic)을 이용한다는데

비선형 소자 어쩌구 하는데 일단 패스.. ㅠㅠ

[링크 : http://www.rfdh.com/bas_rf/begin/multiplier.php3]

[링크 : http://www.rfdh.com/bas_rf/begin/harmonic.htm]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Frequency_multiplier]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시브/액티브 프로브  (0) 2018.03.15
buck boost 컨버터 효율...  (0) 2018.02.09
opto-isolator  (0) 2018.01.10
디지털 논리회로 - 트랜지스터로 구현  (0) 2018.01.05
아날로그 해상도 화면비  (0) 2017.10.30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8. 1. 10. 20:53

포토 커플러랑 비슷한거 같긴한데 용어가 다를뿐인가?

아무튼 FPGA와 라즈베리 같은게 통신할때 전기적으로 충격을 먹을수 있으니

시리얼 라인에 opto-isolator나 저항을 달아 주라는데.. 흐음...

비싸 ㅠㅠ


[링크 : https://github.com/kramble/DE0-Nano-BitCoin-Miner/blob/master/FpgaminerOnPi.txt]

[링크 : https://forum.arduino.cc/index.php?topic=57125.0]

[링크 : https://softsolder.com/2010/01/13/arduino-serial-optical-isolator/]

[링크 : http://www.devicemart.co.kr/6301]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L 구조와 Frequency Divider / Multiplier  (0) 2018.02.01
opto-isolator  (0) 2018.01.10
아날로그 해상도 화면비  (0) 2017.10.30
오실로스코프 대역폭과 샘플링  (0) 2017.09.28
RMS - Root Mean Square  (0) 2017.09.28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7. 10. 30. 16:51

NTSC 720 * 480 3:2

PAL 720 * 576 5:4


Full HD 1920 * 1080 16:9


레터박스

NTSC 720 * 405 (y = 37.5)

PAL 720 * 405 (y = 85.5)


---

XGA 1024 * 768 4:3

SXGA 1280 * 1024 5:4


계산하고 찾아 보니 나오네.. OTL


Extended Graphics Array

Name x (px) y (px) x:y x×y (Mpx)

XGA 1024 768 4:3 0.786

WXGA 1152 768 3:2 0.884

WXGA 1280 768 5:3 0.983

WXGA 1280 800 16:10 1.024

WXGA 1360 768 ~16:9 1.044

FWXGA 1366 768 ~16:9 1.049

XGA+ 1152 864 4:3 0.995

WXGA+ 1440 900 16:10 1.296

WSXGA 1440 960 3:2 1.382

SXGA 1280 1024 5:4 1.310

SXGA+ 1400 1050 4:3 1.470

WSXGA+ 1680 1050 16:10 1.764

UXGA 1600 1200 4:3 1.920

WUXGA 1920 1200 16:10 2.304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Graphics_display_resolution]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Letterboxing_(filming)]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to-isolator  (0) 2018.01.10
디지털 논리회로 - 트랜지스터로 구현  (0) 2018.01.05
오실로스코프 대역폭과 샘플링  (0) 2017.09.28
RMS - Root Mean Square  (0) 2017.09.28
정현파 (sine wave) 한문으로...?!  (0) 2017.09.20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