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관련/전기 전자'에 해당되는 글 101건

  1. 2018.06.08 vga 출력 Hsync, Vsync 파형
  2. 2018.06.05 color bar (BT.471-1)
  3. 2018.05.15 자이로 드리프트
  4. 2018.05.14 balanced unbalanced
  5. 2018.05.02 MFCCs -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6. 2018.04.22 용어 정리
  7. 2018.04.12 pmos nmos cmos
  8. 2018.04.12 Retiming
  9. 2018.04.12 XNOR ?
  10. 2018.04.06 machine cycle 과 clock cycle

요건.. 내가 640x480을 기준으로 작성해서 출력 안되던 녀석의 파형

Hsync 31.45kHz

Vsync 59.95Hz


다만 Vsync이전의 마지막 Hsync 간격이 이상한게 보이고

계산을 잘못했는지 Hsync 2개가 Vsync 안에 들어가야 하는데 정상적으로 들어가지 않은 듯?



여기는 되는 녀석 찾아서 찍은거

640x480

Hsync 31.21kHz 음.. 조금 낮네?

Vsycn 59.91Hz

눈에 띄는건.. Vsync 동안 두번의 Hsync가 지나가고

Vsync의 끝과 동시에 세번째 Hsync가 시작되어야 한다.


800x600@72

Vsync 72.19Hz(72Hz)

Hsync 48.08kHz

리셋 누르고 있어야 하는 소스라 대충 찍어서 무리무리 ㅠㅠ

아무튼 예상한거랑은 또 다르게 나오네.. 해상도가 달라서 그런거 치고는 sync의 위치가 다른데?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m - Pulse Width Modulation  (0) 2019.03.29
setup, hold, slack?  (0) 2018.06.28
color bar (BT.471-1)  (0) 2018.06.05
자이로 드리프트  (0) 2018.05.15
balanced unbalanced  (0) 2018.05.14
Posted by 구차니

자주 보는(?) 컬러바차트는 아래와 같은데


ITU-R BT.471-1을 따르는 데

RGB의 출력 패턴을 아래와 같이 (a) 100/0/100/0 의 내용대로 하면 나오는 듯?


[링크 : https://www.itu.int/dms_pubrec/itu-r/rec/bt/R-REC-BT.471-1-198607-I!!PDF-E.pdf]

    [링크 : https://www.itu.int/rec/R-REC-BT.471-1-198607-I/en]

[링크 : http://t-sato.in.coocan.jp/scrolling-h/colorbar.html]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tup, hold, slack?  (0) 2018.06.28
vga 출력 Hsync, Vsync 파형  (0) 2018.06.08
자이로 드리프트  (0) 2018.05.15
balanced unbalanced  (0) 2018.05.14
MFCCs -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0) 2018.05.02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8. 5. 15. 06:52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재는 애고

센서의 한계와 적분오차로 인해서 한곳으로 수렴하게 되는데

아마 VR을 사용시에 아래나 위로 쳐박히는 이유가 자이로 드리프트 라는 현상 떄문인듯?


[링크 : http://hs36.tistory.com/32]

[링크 : http://pinkwink.kr/78]


동영상을 보니 내가 경험한 것은 적분 오차인 거지

자이로 드리프트는 아니었던 듯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KyXEVN7X43U]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vga 출력 Hsync, Vsync 파형  (0) 2018.06.08
color bar (BT.471-1)  (0) 2018.06.05
balanced unbalanced  (0) 2018.05.14
MFCCs -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0) 2018.05.02
용어 정리  (0) 2018.04.22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8. 5. 14. 18:06

밸런스드 이거 디퍼런셜 아닌가?

[링크 : http://goldenears.net/board/ST_KB_byGE/7583]


맞으면서 아니라는 이 기묘한 내용은 머지 ㅠㅠ

밸런스드 시그널링은 그라운드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지닌 (쉴드가 있거나 없거나) 두개의 도체

디퍼런셜 시그널링은 반대 극성으로 동일 신호를 전송하는 (쉴드가 있거나 없거나) 두개의 도체

Balanced signaling is two conductors (with an optional shield) that have equal impedance to ground.

Differential signaling is two conductors (with an optional shield) transmitting the same signal at opposite polarity. 

[링크 : http://www.hairballaudio.com/blog/resources/diy-resources/balanced-and-differential]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lor bar (BT.471-1)  (0) 2018.06.05
자이로 드리프트  (0) 2018.05.15
MFCCs -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0) 2018.05.02
용어 정리  (0) 2018.04.22
pmos nmos cmos  (0) 2018.04.12
Posted by 구차니

음성 인식 관련 알고리즘..


[링크 : https://blog.naver.com/mylogic/220988857132]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Mel-frequency_cepstrum]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이로 드리프트  (0) 2018.05.15
balanced unbalanced  (0) 2018.05.14
용어 정리  (0) 2018.04.22
pmos nmos cmos  (0) 2018.04.12
Retiming  (0) 2018.04.12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8. 4. 22. 23:24

Simple PLD - SPLD ?

Complex PLD - CPLD


GAL : Generic Logic Array

PAL :  Programmable Array Logic

PLD :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링크 : https://www.embeddedrelated.com/showthread/comp.arch.embedded/9278-1.php]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lanced unbalanced  (0) 2018.05.14
MFCCs -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0) 2018.05.02
pmos nmos cmos  (0) 2018.04.12
Retiming  (0) 2018.04.12
XNOR ?  (0) 2018.04.12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8. 4. 12. 08:17

HDL에서 여러가지 종류의 primitive로 pmos, nmos, cmos 등을 지원하는데

어떤 용도인지 감이 하나도 안 잡히네..


[링크 : https://www.quora.com/What-is-the-difference-between-NMOS-PMOS-and-CMOS-transistors]

[링크 : http://www.amkor.co.kr/archives/1496]



--

공부할 꺼리

[링크 : https://www.basic4mcu.com/bbs/board.php?bo_table=k7&wr_id=11&page=1]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MFCCs -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0) 2018.05.02
용어 정리  (0) 2018.04.22
Retiming  (0) 2018.04.12
XNOR ?  (0) 2018.04.12
machine cycle 과 clock cycle  (0) 2018.04.06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8. 4. 12. 08:08

전파속도라던가

게이트 통과에 따른 지연이라던가

이런저런 이유로 인해 패러럴 데이터가 같은 시간이 도착할 수 없으니까

그걸 적절하게 조정해주는걸 리타이밍이라고 함.


라우팅 레벨에서 하는걸까.. 합성레벨에서 해주는 걸까?


[링크 : https://electronics.stackexchange.com/questions/39712/what-is-clock-skew-and-why-can-it-be-negative]

[링크 : http://fpga.tistory.com/40]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정리  (0) 2018.04.22
pmos nmos cmos  (0) 2018.04.12
XNOR ?  (0) 2018.04.12
machine cycle 과 clock cycle  (0) 2018.04.06
반가산기 전가산기  (0) 2018.04.05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8. 4. 12. 07:48

생각해보면.. XOR에 NOT이 가능한데

XNOR라고 하니 무지 생소한 느낌..


근데....

AND에 NOT이 붙으면 NAND고

OR에 NOT이 붙으면 NOR인데

XOR에 NOT이 붙으면 NXOR가 아니라 왜 XNOR 가 되는거야?



베릴로그 기호로는 둘다 허용

^~

~^

[링크 : https://en.m.wikipedia.org/wiki/XNOR_gate]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os nmos cmos  (0) 2018.04.12
Retiming  (0) 2018.04.12
machine cycle 과 clock cycle  (0) 2018.04.06
반가산기 전가산기  (0) 2018.04.05
패시브/액티브 프로브  (0) 2018.03.15
Posted by 구차니

아.. 한 사이클에 Add를 연산하는 걸 잘못 이해하고 있었던 것 같다.

정확하게는(?)

1 machine cycle에 1명령어 처리고

1 machine cycle은

- fetching / decoding / executing / storing 4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clock cycle은

회로가 작동하는 속도.. 라고 해야하려나?


다시 정리하자면.. clock은 state machine을 한단계씩 넘기는데 소요되는 시간이고

cycle은 state machine이 합쳐진 각종 모듈이 작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보면 되려나?


[링크 : https://www.quora.com/What-is-clock-cycle-machine-cycle-and-instruction-cycle-in-a-microprocessor]

[링크 : https://www.difference.wiki/machine-cycle-vs-clock-cycle/]



32비트 리플 캐리 가산기에서 약 65 gate delay가 필요한데

gate delay가 clock 이라고 한다면(CPU로 치면 3GHz니 머니 하는 그 클럭)

메모리에서 명령어 불러오고, 명령어 해석하고, 실행하고 저장하는 건

그 이상의 clock이 필요하고, 해당 stage를 state machine으로 간주하여

명령어 자체를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Machine cycle 시간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In a 32-bit ripple-carry adder, there are 32 full adders, so the critical path (worst case) delay is 3 (from input to carry in first adder) + 31*2 (for carry propagation in latter adders) = 65 gate delays.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Adder_(electronics)#Ripple-carry_adder]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Instructions_per_cycle]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Cycles_per_instruction]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timing  (0) 2018.04.12
XNOR ?  (0) 2018.04.12
반가산기 전가산기  (0) 2018.04.05
패시브/액티브 프로브  (0) 2018.03.15
buck boost 컨버터 효율...  (0) 2018.02.09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