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2V 에서 저항으로 5V 만들...기? (0) | 2022.06.16 |
|---|---|
| a/w (0) | 2022.06.02 |
| FMCW, MMIC (0) | 2022.03.22 |
| AC 전원 N/L/ (0) | 2022.03.16 |
| ac dc coupling (0) | 2022.02.23 |
| 12V 에서 저항으로 5V 만들...기? (0) | 2022.06.16 |
|---|---|
| a/w (0) | 2022.06.02 |
| FMCW, MMIC (0) | 2022.03.22 |
| AC 전원 N/L/ (0) | 2022.03.16 |
| ac dc coupling (0) | 2022.02.23 |
2018년에 봤던걸 또 적다니.. 붕어였나 -_ㅠ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링크 : https://www.rohde-schwarz.com/kr/applications/77-ghz-fmcw-application-note_56280-59841.html]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링크 :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3628]
| a/w (0) | 2022.06.02 |
|---|---|
| TR과 저항으로 AND, OR, NOT구현하기 (0) | 2022.04.28 |
| AC 전원 N/L/ (0) | 2022.03.16 |
| ac dc coupling (0) | 2022.02.23 |
| led 와 solar panel (0) | 2022.02.22 |

[링크 : https://m.blog.naver.com/pkw00/220333975771]
Neutral
Live
[링크 : https://gammabeta.tistory.com/3182]
PLC 설명서를 보는데

PE - Protective Earth

[링크 : https://blog.orientalmotor.com/grounding-basics-what-are-the-differences-between-pe-and-fg]
| TR과 저항으로 AND, OR, NOT구현하기 (0) | 2022.04.28 |
|---|---|
| FMCW, MMIC (0) | 2022.03.22 |
| ac dc coupling (0) | 2022.02.23 |
| led 와 solar panel (0) | 2022.02.22 |
| FFT RBW - Resolution Band Width (0) | 2021.12.22 |
digilent discovery 2 를 회사에서 구매해서 뿌렸는데(난 못 받음 -_ㅠ)
DC 값을 측정하는데 3.3V 에 머물러 있어야 할 값이 0으로 자꾸 내려가서 찾아보는 중
[링크 : https://digilent.com/reference/test-and-measurement/analog-discovery-2/start]
BNC 어댑터에 AC/DC가 있는데 손 대지 않았다면.. AC가 기본으로 연결되어 있었던 듯?

[링크 : https://digilent.com/reference/test-and-measurement/bnc-adapter-board/getting-started-guide]
[링크 : https://digilent.com/reference/test-and-measurement/bnc-adapter-board/start]
| Selectable AC and DC coupling to oscilloscope probes. |
[링크 : https://digilent.com/reference/test-and-measurement/bnc-adapter-board/reference-manual]
혹시나 해서 DC로 바꾸어 보니 0은 0으로 3.3V는 3.3V로 고정되서 잘 나온다.
AC로 하면 AC 커플링을 하여 DC 성분을 없애버리다 보니 그런 듯.
| FMCW, MMIC (0) | 2022.03.22 |
|---|---|
| AC 전원 N/L/ (0) | 2022.03.16 |
| led 와 solar panel (0) | 2022.02.22 |
| FFT RBW - Resolution Band Width (0) | 2021.12.22 |
| MPPT 컨트롤러 (0) | 2021.10.10 |
아.. 언넝 멀티메터 하나 질르고 싶네 -_ㅠ
아무튼 태양전지와 LED는 같은 원리라
태양전지는 빛을 전기로
LED는 전기를 빛으로 만들지만
LED에 강한 빛을 쐬어주면 전기로 되는 양방향 소자라고 해야하나.
태양전지에 전기를 흘리면 빛이... 나면 웃기겠는데?
[링크 : https://youtu.be/O33cfZBlEDI]
| AC 전원 N/L/ (0) | 2022.03.16 |
|---|---|
| ac dc coupling (0) | 2022.02.23 |
| FFT RBW - Resolution Band Width (0) | 2021.12.22 |
| MPPT 컨트롤러 (0) | 2021.10.10 |
| 인산철 배터리 (0) | 2021.10.09 |
FFT에서 얼마나 세밀하게 분석을 하냐의 단위
동일한 파형이라도 RBW가 낮아질수록 원본에 가까운 형태로 볼 수 있는 듯.
The resolution bandwidth (RBW) determines the fast-Fourier transform (FFT) bin size, or the smallest frequency that can be resolved.![]() |
[링크 : https://zone.ni.com/reference/en-XX/help/372058U-01/nirfsa/resolution_bandwidth/]
+
2023.07.14
엇.. RBW 계산에 윈도우 타입에 따른 계수가 들어간다고..
kaiser window에서 beta1=16.7일 때 k=2.23 이라는데, k 값이 그러면 amplitude 관련 보정에 대한 그 계수가 아닌가?

| Where k is a window-related coeffcient, N is the number of time-domain samples used in the DFT calculation, and Fs is the sampling frequency. For the Kaiser window with beta1 = 16.7, k is about 2.23. The RBW shape factor, defned as the frequency ratio between the spectrum amplitude at 60 dB and 3 dB, is about 4:1. On the RSA5100/6100, the spectrum analysis measurement uses Equation 2 to calculate the required number of samples for the DFT based on the input span and RBW settings. |
[링크 : https://download.tek.com/document/37W_17249_6_Fundamentals_of_Real-Time_Spectrum_Analysis1.pdf]
| 15p RBW의 크기에 따라 측정되는 Noise의 크기도 달라짐. Dynamic Range 확보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RBW가 요구된다. |
[링크 : http://ebook.pldworld.com/_eBook/-계측기-/Rohde-Schwarz/board/스펙트럼%20분석기술%20세미나.pdf]
+
2023.07.19
팔수록 이상한 용어만 잔뜩 나오냐 ㅠㅠ
RBW = (NENBW * samplerate) / input_length
인데 NENBW는 normalized effective noise bandwidth of the window 라..
| RBW - Resolution bandwidth Resolution bandwidth of the estimate, returned as a scalar. The resolution bandwidth, RBW, is the smallest positive frequency, or frequency interval, that can be resolved. It is equal to NENBW*SampleRate/L, where L is the input length, and NENBW is the normalized effective noise bandwidth of the window. The data type of RBW matches the data type of the input. |
[링크 : https://kr.mathworks.com/help/dsp/ref/dsp.spectrumestimator.getrbw.html]
equivalent noise bandwidth 라는 함수인데..
이건 또 어떻게 구현되는거냐.. normalized가 빠졌는데 동일한건가?
| bw = enbw(hamming(1000)) bw = 1.3638 bw = enbw(flattopwin(10000),44.1e3) bw = 16.6285 |
| ac dc coupling (0) | 2022.02.23 |
|---|---|
| led 와 solar panel (0) | 2022.02.22 |
| MPPT 컨트롤러 (0) | 2021.10.10 |
| 인산철 배터리 (0) | 2021.10.09 |
| 220V 전원 (0) | 2021.09.21 |
태양광 패널 관련해서 찾다보니 이런게 나오네..
PWM 방식도 있긴한데 MPPT가 더 효율이 좋게 최대 전력을 뽑아내주는 듯.
일단 솔라패널의 특성상 최대 출력 전압이 있는데
90% 정도의 전압을 뽑아낼 때 최대 전류가 나오는 듯
근데.. 어떻게 전압을 원하는 대로 빼내지?
[링크 : https://en.m.wikipedia.org/wiki/Maximum_power_point_tracking]
[링크 : https://blog.naver.com/sipeng/220035371228]
[링크 : https://electronics.stackexchange.com/.../what-is-the-best-way-to-limit-voltage-of-a-solar-panel]
[링크 : https://electronics.stackexchange.com/questions/326271/solar-charging-with-a-super-capacitor-buffer]
| led 와 solar panel (0) | 2022.02.22 |
|---|---|
| FFT RBW - Resolution Band Width (0) | 2021.12.22 |
| 인산철 배터리 (0) | 2021.10.09 |
| 220V 전원 (0) | 2021.09.21 |
| current loop (0) | 2021.09.02 |
리튬계열인데 기존에는 코발트 이런게 들어가서
LiFePO4 를 전극으로 사용하여 희소금속의 사용을 줄이는 배터리
다만 Li-ion의 3.7V보다는 낮은 전압이 걸리고 몇개 묶으면 기존의 납축전지와 동일해서 사용하는 듯.
| FFT RBW - Resolution Band Width (0) | 2021.12.22 |
|---|---|
| MPPT 컨트롤러 (0) | 2021.10.10 |
| 220V 전원 (0) | 2021.09.21 |
| current loop (0) | 2021.09.02 |
| 라즈베리 파이 3B+ USB boot (0) | 2021.08.23 |
접지, hot, 중성으로 해서
릴레이로 끊을시 hot(220V)를 끊어주는게 그나마 낫다는데
테스터가 없으면 어떻게 판별을 하지?
| 2.1.7 배선의 색상은 다음과 같이 색상별 전선을 사용하거나 흑색전선에 라벨 또는 절연수축튜브를 사용한다. a. 전압측 : 흑색, 적색, 청색 b. 중성선 : 백색 c. 접지선 : 녹색전선 d. 조작용 배선 : AC : 황색, DC : 청색 |
[링크 : https://www.codil.or.kr/filebank/original/MA/OTKNMA500117/OTKNMA500117.pdf?stream=T]
| MPPT 컨트롤러 (0) | 2021.10.10 |
|---|---|
| 인산철 배터리 (0) | 2021.10.09 |
| current loop (0) | 2021.09.02 |
| 라즈베리 파이 3B+ USB boot (0) | 2021.08.23 |
| 칩 안테나 특성(방사패턴) (0) | 2021.08.18 |
종단저항으로 250옴을 달면, V=IR 공식에 의해 4mA~20mA가 1~5V로 변환됨.
0 mA = 단선
4 mA ~ 20 mA = 값
[링크 : https://kkdww.tistory.com/65]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Current_loop]
+
그냥 ADC로 읽을 수 있다 라고 보면 되려나?
| 인산철 배터리 (0) | 2021.10.09 |
|---|---|
| 220V 전원 (0) | 2021.09.21 |
| 라즈베리 파이 3B+ USB boot (0) | 2021.08.23 |
| 칩 안테나 특성(방사패턴) (0) | 2021.08.18 |
| Hall effect sensor (0) | 2021.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