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에서 설명은 들어도 dBFS가 어떤 의미로 쓰이고 이 값이 멀 의미하는지 모르겠다.
[링크 : http://audio-probe.com/documentation/db란-무엇인가/]
그러니까 얘를 줄일수 있는거야 없는거야?
있으면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거야? ㅠㅠ
[링크 : http://www.rfdh.com/bas_rf/begin/harmonic.htm]
[링크 : https://www.researchgate.net/post/How_can_I_filter_out_the_harmonics_and_sideband]
[링크 : https://kr.mathworks.com/matlabcentral/answers/407416-how-to-remove-particular-harmonic-in-the-time-series]
인덕션이라길래 그 전기레인지 상상했는데 오디오랑 도대체 어떻게 연결이 되나 했더니
한줄 요약하면 인공와우 혹은 보청기 사용자를(청각 장애인) 위한 전용 스피커 정도로 하면 될 듯
induction을 통해 코일에 직접적으로 음파를 전달하는걸로 보면 될것 같기도 하지만.. 내 영역 밖의 이야기.. ㅠㅠ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Audio_induction_loop]
[링크 : https://kor.kunyoong.com/board/read.php?M2_IDX=16088&BCL_IDX=&SC_WORD=&MY=&PAGE=1&B_IDX=22759]
내 영역을 너무 벗어나서 그런가
아니면 내 뇌가 굳은건가.. 이해가 안되잖아 ㅠㅠ
[링크 : https://blog.naver.com/rlaghlfh/221112341508]
가변 저항은 합성저항 계산법에 의해서 저항값에 따라 전압이 달라지고
그 전압값을 ADC를 통해 읽어 오도록 아두이노에서 구성을 주로 하게 되어 있다.
가변저항을 이용해서 실제 전압 분배를 하는 방법
Vs = 10 V
R1 = 1kohm
R2 = 2kohm
RL = 100kohm
VL에 걸리는 전압은 6.6667이 됩니다.
라고 써있는데 이해가 완전히 되진 않네.. ㅠㅠ
[링크 : https://blog.naver.com/compass1111/221166512331]
[링크 : https://www.arduino.cc/en/Tutorial/Knob]
아두이노 쪽 그림과 같이 고민을 해보니
VL = R2 / (R1+R2) * Vs 이니까
R1+R2는 10kohm으로 고정이고 R2의 값에 따라 (즉, GND와 A0 사이의 값)
선형적으로 전압값이 변경이 되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 10kohm을 다는 이유는 5V 50mA 맞추기 위해 100ohm을 한다는데
100배 커지니.. 0.5mA 정도로 흘리기 위함인가?
[링크 : https://blog.naver.com/ansdbtls4067/221367123030]
[링크 : https://noel-embedded.tistory.com/471]
마지막 상태를 기억하는 릴레이
전자기기 에서 리모콘으로 전원 ON 해두고 다시 켜면은 마지막 상태인 ON으로 되는데
어떻게 상태를 저장하나.. 궁금했는데
하드웨어적으로 전원부 스위치가 래칭 릴레이를 사용한다면 복잡하게 생각 할 필요가 없어진다.
[링크 : http://kor.pe.kr/make/reference/latching_relay/?ckattempt=1]
피상전력이니 머지 이상한게 많이 나오는데..
결국은 캐패시터 때려박는걸로 개선이 되는건가?!
[링크 : http://blog.daum.net/bjlim04/558]
[링크 : https://blog.naver.com/sangdoo7572/130183306417]
말은 거창하지만.. UPS 원리 찾는 중
MOSFET을 통해서 승압하는건가?
[링크 : https://www.electronicshub.org/12v-dc-220v-ac-converter-circuit/]
CIC decimation filter
[링크 : https://electronics.stackexchange...mems-digital-microphone-codec-and-raspberry-pi-zero-w]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Cascaded_integrator%E2%80%93comb_filter]
[링크 : https://blog.naver.com/jinohpark79/110189214821]
[링크 : https://www.intel.com/content/dam/www/programmable/us/en/pdfs/literature/an/an455.pdf]
[링크 : http://home.mit.bme.hu/~kollar/papers/cic.pdf]
초음파 센서를 보다보니 죄다 PDM으로 데이터를 뱉어내는데
DSD를 보다보니 PDM도 1bit depth가 아닌게 있다고 해서 데이터시트를 다시 봐야 할 듯
아무튼 DSD, 1bit depth의 경우
가청 주파수를 조금 늘리고 가청영역을 벗어 나는 고주파 쪽에 노이즈를 몰아서
low pass filter를 사용 고음질을 추구한다... 라는데
우리가 사용해야 할 영역은 가청영역이 아닌데 이 부분에 노이즈가 몰려버리면
데이터 해석이 불가능할텐데 어떻게 해야 하려나? 쓸 수 있을려나?
[링크 : http://goldenears.net/board/index.php?mid=ST_KnowledgeBase&document_srl=4704307]
[링크 : http://goldenears.net/board/index.php?mid=ST_KnowledgeBase&document_srl=4726745]
[링크 : http://goldenears.net/board/index.php?mid=ST_KnowledgeBase&document_srl=4726925]
[링크 : http://goldenears.net/board/index.php?mid=ST_KnowledgeBase&document_srl=5321214]
[링크 : http://goldenears.net/board/index.php?mid=ST_KnowledgeBase&document_srl=5363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