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간의 최적화 이후에 점수를 매겼는데
헐?! 하드가 4.0 점이나 나온다고?! 말도 안돼!!!


그나저나.. 32bit에서 3GB라니.. 3.5GB에 비디오로 256~384MB 소비되는거 치고는 가용 메모리가 적어지는데...


Intel Core2Duo U7600 1.2GHz(ULV로 인해 메모리는 677MHz로 다운클럭)
DDR2 PC5300 1GB * 2 -> 2GB * 2
1.8인치 IDE 4200rpm 100GB


F.20 가장 최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한거지만..
F.15와 별 차이는 없다.
아무튼.. 은근 설정 가능한 항목이 별로 없고 AHCI 관련해서는 거의 멸... 종? ㅠㅠ 






'개소리 왈왈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d 구매 두둥!  (0) 2014.05.12
hp 2710p 2730p 2730p ... ㅠㅠ  (0) 2014.05.09
작은 지름신이 물러나고....  (0) 2014.05.06
하... 1.8인치 4200rpm 하드의 압박이...  (2) 2014.05.05
HP 2710p 지름 ㅋㅋ  (0) 2014.05.03
Posted by 구차니
더 큰 지름신님이 오심 ㅋㅋ


2710p는 산타로사가 아닌데다
sata 드라이브가 아니라라터보 메모리 사용불가 ㅜㅜ
내장 pcie는 실질적으로 ide ssd정도로 밖에 쓸데가 없다 ㅜㅜ

고로
z230 128gb를 질러야할듯? ㅠㅠ

끄아앙 여기에서 쐐기를 박고..
 PCI Express 슬롯이 하나 비어있다면 여기에 롭슨(터보 메모리)를 끼워 쓸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인텔이 시장에 제안하고 있는 터보 메모리는 SATA 컨트롤러가 필수품이다. 2710p는 1.8인치 PATA 하드디스크를 쓰는 관계로 해당 컨트롤러가 들어 있지 않은데, 이로 인해 매트릭스 컨트롤 패널에서 터보 메모리를 활성화시킬 수 없다.

아쉽게도 이 제품은 '산타로사 플랫폼'이 아니다. 때문에 터보 메모리를 이용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없다. 대신 메인 메모리를 증설해 성능향상을 노릴 수 있다. 기본적으로 2GB가 있지만, 최대 4GB까지 늘릴 수 있다. 제공되는 번들 운영체제가 32비트 외에도 64비트도 지원하므로, 운영체제 지원 문제도 없다. 사실상 성능 향상을 위한 업그레이드는 메모리 증설에만 의존하는 체계다.
 

혹시나 해서 찾아봤는데.. 터보 부스터는 AHCI 모드에서만 활성화 된다고 한다.
Why don’t windows Vista detect the Intel Turbo memory?
 
Reason why is because Intel Turbo memory needs to run in AHCI mode, if You didn’t install windows in AHCI windows vista is not going to detect the Turbo memory in device manager in the correct way you would get an exclamation
 
[링크 : http://us.shuttle.com/scgfaq/attachments/18/Intel%20Turbo%20Memory%20FAQ.pdf] 


일단 SSD로 교체를 권장 하는 블로거 ㅋㅋㅋㅋ
 
혹시나 해서 찾아보니.. 2007년 센트리노2 나올 즈음에 HP와 소니에서 반기(?)를 들고
터보 부스트 메모리가 비싼데 비해 효용이 없고 그거 보단 램을 구매하는게 더 낫다고 해서 정책적으로 빼버렸다고 한다.
완전 레알 쐐기를 박는 결론? ㅋㅋ 

'개소리 왈왈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p 2710p 2730p 2730p ... ㅠㅠ  (0) 2014.05.09
hp 2710p 지름정리  (0) 2014.05.06
하... 1.8인치 4200rpm 하드의 압박이...  (2) 2014.05.05
HP 2710p 지름 ㅋㅋ  (0) 2014.05.03
heartbleed bug!!  (0) 2014.04.09
Posted by 구차니
그래서!

1. SSD를 지른다
 -> 하지만.. 1.8인치 IDE / ZIF 방식이라 흐아..
[링크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594561743] SmartSSD Z100 64GB / 199,000
[링크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634119812Z230 64GB / 137,080
[링크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638962811] Z230 123GB / 229,080

아무튼.. 굳이 사려면 Z100 보단 Z230이 후속작이고 Cache도 달렸다고 하니 이녀석이 나을듯..
솔찍히 64GB도 Z230이 더 싸다 -_-a
[링크 : http://blog.naver.com/tritum/50146712562 ]

2. 미친척 Turbo Memory를 질러본다.
 -> 근데 SSD 만큼 성능이 안나올테니 효용이 적을게 뻔한 상황
 -> 현재 무선랜이 802.11g 라서 뽑아 버리면 mini PCI-e 가 2 슬롯.. 그런데 2GB x 2에 대한 터보 메모리 내용이 없다
[링크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588404761] 2GB 2세대?
[링크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588405014] 2GB 2세대?
[링크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649463801] 1GB 1세대?

3. 조금더 미친척 mini PCIe IDE SSD를 지른다.
 -> SSD 보다 느린거 같은데.. 일단 리뷰안 제품이 성능이 좋은것도 있고.. 해외직구라는 부담감이 ㅠㅠ
 -> 게다가 kingspec 사에서 나오는건.. 32기가에 12만원선.. 용량대비 비싸다
[링크 : http://www.kingspec.com/en/product_xx163.html]

끄아앙.. 미친척 걍 돈 지랄 할겸
Turbo Memory 2GB * 2 지르고
SSD도 또 지를까? 그런데. SSD는 128GB는 질러야 할텐데 (지금 현재 100GB) 
돈이 끄아아아앙 ㅠㅠ 


+
조금 더 검색하다 보니..
965 칩셋(센트리노 1)과 4 시리즈 Express chipset(센트리노 2?) 용으로 나뉘는데
965 칩셋의 경우 2GB까지만 인식을 한다고 한다.
물론 공식 문서에는 1GB와 512MB 짜리만 지원한다고 한다..
이래저래 위험을 안고 질러봐야하나?
[링크 : http://forum.notebookreview.com/...turbo-memory-only-shows-up-2gb-intel-965-chipset-santa-rosa.html]
[링크 : http://www.intel.com/cd/channel/reseller/apac/eng/products/mobile/mprod/turbo_memory/396715.htm ]

'개소리 왈왈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p 2710p 지름정리  (0) 2014.05.06
작은 지름신이 물러나고....  (0) 2014.05.06
HP 2710p 지름 ㅋㅋ  (0) 2014.05.03
heartbleed bug!!  (0) 2014.04.09
umid mbook m1 랜카드(marvell sd868)  (0) 2014.03.28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4. 5. 5. 17:12
걱정(?)했지만 의외로 싱거운 기능
그냥 바로 알아서 생성하되
boot 영역과 각종 데이터 파일이 다 생성이 되기에
가장 용량이 큰 메인 하드의 vhd만 빼서 사용하면 된다.

vhd를 만들기 위해 관리모드로 리부팅 안해도 되는게 최고 장점인 듯

[링크 :  http://snoopybox.co.kr/1608]
2014/04/29 - [Microsoft/Windows] - win7 로컬설치를 vhd로 옮기기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4. 5. 4. 19:50
윈도우 업데이트 백업과 서비스팩 백업 파일 두가지 지우니
대략 4기가 정도 공간이 확보된다 ㄷㄷㄷ


[링크 : http://mastmanban.tistory.com/830]
Posted by 구차니

당연히(?) 워런티는 만료된지 백만년이고 ㅋㅋ

[링크 : http://h20566.www2.hp.com/portal/site/hpsc/public/psi/home/?sp4ts.oid=3355644]

드라이버 다운로드(win7 64bit)
[링크 : http://h20566.www2.hp.com/portal/site/hpsc/template.PAGE/public/psi/swdHome/?sp4ts.oid=3632766]

HP ProtectTools Security Manager Suite 를 먼저 설치해야 한다.
[링크 : http://darumin.blog.me/110125941649]

C:\SWSetup\sp44868\PTFPDRV 경로에 핑거프린터(지문인식 센서) 드라이버가 존재한다.


일단.,. 1.8인치/4200rpm 하드 끄아앙...
2 mini PCI-e 슬롯에 802.11g 무선랜


아무튼..
2GB 짜리로 구매한거 집에 있던 리눅스 서버 4GB로 서로 바꿔치기! 


'개소리 왈왈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지름신이 물러나고....  (0) 2014.05.06
하... 1.8인치 4200rpm 하드의 압박이...  (2) 2014.05.05
heartbleed bug!!  (0) 2014.04.09
umid mbook m1 랜카드(marvell sd868)  (0) 2014.03.28
엠북 180도 펼치기 개조  (0) 2014.03.26
Posted by 구차니
git 같은 분산소스관리인데.
자세한건 봐야 할 듯..

근데 머.. 회사에서 SVN으로도 충분하기에
굳이 open source 대규모 개발이 아닌이상
분산소스관리 툴이 필요할런지는 의문이 든다.

[링크 : http://mercurial.selenic.com/] 서버
[링크 : http://tortoisehg.bitbucket.org/]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사용 > Version Contr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to git migration 가이드  (0) 2014.06.02
google code - svn, mercurial  (0) 2014.05.24
git 간편 설명서  (0) 2014.03.06
TortoiseSVN 기본 트리구조 추가!  (0) 2013.12.26
svn relocate 사용하기  (0) 2013.08.27
Posted by 구차니
구글 코드에서는 svn이나 cvs 등의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링크 : https://code.google.com/]

일단 가입은 구글 계정이 있어야 하고 프로젝트 생성을 하면 프로젝트 이름이 서브 도메인으로 지정되어 접속이 가능해진다.


접속 경로를 알기 위해서는 Checkout 클릭


자신의 SVN 암호를 알기 위해서는 googlecode.com password를 클릭


본인이 사용할 암호이고 절대 공개되서는 안될 내용이다.
아무튼.. 이 내용은 프로젝트가 아닌 사용자 별로 지정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eclipse에서 subclipse에 대한 repository를 추가해서 하거나
marketplace에서 subclipse로 검색을 하면된다.
SVNKit은 굳이 설치할 필요는 없고, marketplace에서 추가시에는 SVNKit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다.


설치 후에는 Perspective를 열어준다.


빈곳에서 New - Repository Location


위에서 생성했던 구글 코드의 경로를 입력한다.
trunk로 해도 되고 trunk 아래에 프로젝트 폴더를 새로 만들어도 되고.. 마음대로 운영


사용하려면 일단 저장소에서 소스를 받아와야 하는데 checkout을 통해 받아온다.


프로젝트 위저드를 하는건 아직 방법을 모르겠으니.. 일단
프로젝트로 워크스페이스에 받도록 한다.
trunk를 상위 폴더로 svn 경로 설정되어 있기에 자동으로 프로젝트 이름이 trunk로 뜨나
임의 수정은 가능하니 적절하게 변경해준다.


귀찮으니 걍 다음.


https 임에도 불구하고 로그인은 아직 뜨지 않는다.
나중에 commit이나 remote folder 생성같은 원격지 로그인이 필요한 작업시에
로그인이 뜨게 되는데.. 일단 테스트 삼아 원격지 폴더를 생성궈궈


trunk/test 폴더를 만듭니돠


tortoiseSVN 처럼 왜 이걸 하는지 이유를 comment로 달아주고


생성하려고 하면 계정과 암호를 묻는데
구글아이디가 username이고 비밀번호는 상단의 구글 코드에서 확인한 자동생성된 코드를 입력한다.


---
2014.05.10 추가

프로젝트 생성후 공유하기 위해서는
Team - Share Proejct


위에서 SVN으로 했기에 SVN으로 선택


소스 서버 추가 되어 있다면 선택을, 그게 아니라면 추가를 해주고


원하는 폴더명으로 프로젝트를 올리도록 한다.


초기 업로드용이므로 적당한 멘트를 적는데


윗단계에서 Synchronize manager 어쩌구 쩌서 취소했더니
실제로 commit 되진 않았고 별도로 Team - Commit을 통해 업로드를 해주었다.

---

나머지는.. 프로젝트 탐색기로 돌아와서
Team 아래의 commit / update / histroy 등으로 프로젝트 전체를 SVN를 통해 사용하면 된다. 


이번은 로컬에서 test 폴더를 만들고 commit해서 서버에 적용해보는데 잘~된다


일단.. TortoiseSVN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 폴더 자체가 SVN으로 접속이 가능하고 maven으로 관리 받는
"Dynamic web Project" 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컴퓨터에서 프로젝트를 받아 제대로 maven 연동되는 것을 확인했다. 


[링크 : http://subclipse.tigris.org/] subclipse
[링크 : http://pallandri.blogspot.kr/2014/01/using-subclipse-with-eclipse-and.html]

Posted by 구차니
분류가 모호한 글2014. 4. 30. 18:07
kdiff3
익숙해지면 모르겠지만..
아무튼 3개 중에는 가장 소스 추적을 잘하지만 눈에 드럽게 안들어 온다. -_-


meld UI는 깔끔하나 언어셋 문제가 아직 남아 있고


winmerge에 비해서도 그리 영역을 비교하지 못하는 느낌?


단, meld에는 수동으로 동기화 지점을 찍어서 소스 비교가 잘되도록 하는 기능이 있지만
자동화 된게 아니다 보니 크게 유용하진 않다. (기본값으로 문법강조 꺼져 있어서 켜줌)



winmerge
많이써서 그런지 눈에는 좀 들어 오는데..


영역 못 잡는거야 머.. 하루 이틀도 아니고 ㅋㅋㅋ


winmerge/kdiff3는 윈도우 통합이 잘 되어 있다.
meld도 정식 나오면 되려나?


특징
kdiff3 - 3way merge / 기본적인 성능 우수 / context menu
meld - 3way merge / UI 우수 / 문법 강조기능 / 비교 포인트 추가기능
winmerge - context menu / 무난한 성능 / 문법 강조기능

개인평
   UI  성능
 kdiff3  하  중
 winmerge  중  중
 meld  상  중(상-sync point 시)

3가지 중에는 그래도 winmerge가 나은 편이긴 하나(syntax highlight 및 비교 기능)
상용인 araxis를 따를자가 없다는게.. 후... 

'분류가 모호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종 오디오 코덱 가격  (0) 2015.01.26
img 와 iso  (0) 2014.08.29
경위대식 / 적도의식  (4) 2012.10.17
MS 카드  (0) 2012.10.10
랙돌 효과 / 랙돌 물리  (0) 2012.07.12
Posted by 구차니
아이패드2 에서 safari / chrome 모두 webGL 제대로 지원 안되고..
베가 LTE M 에 내장된 브라우저도 안되네 ㅠㅠ


ipad2 - safari


ipad2 - mobile chrome



베가 LTE M - 크롬?



호환성 목록이 있긴한데 구버전이려나? ㅠㅠ
[링크 : http://caniuse.com/webgl]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