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에 해당되는 글 13306건

  1. 2019.08.26 postgresql 정규 표현식 검색
  2. 2019.08.24 카테고리 500개가 많을줄 알았는데... 2
  3. 2019.08.24 분노조절 실패모드
  4. 2019.08.23 SPICE
  5. 2019.08.23 refseq protein
  6. 2019.08.22 regexp non-capturing group
  7. 2019.08.22 sql ||과 concat()
  8. 2019.08.21 node.js csv2json
  9. 2019.08.21 고차원에 대한 고찰
  10. 2019.08.21 역사는 반복된다

 

 

-- Gets zero or any spaces numbers and text characters before one R
SELECT * FROM table WHERE column ~ '^[\s\w]*[R]{1}$'

-- Gets zero or any spaces numbers and text characters after one R
SELECT * FROM table WHERE column ~ '^[R]{1}[\s\w]*$'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6978821/postgres-regex-begins-with-and-ends-with]

'프로그램 사용 > postgre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select if or case  (0) 2019.08.26
order by group by  (0) 2019.08.26
sql ||과 concat()  (0) 2019.08.22
pgadmin 에서 table 생성 SQL문 얻기  (0) 2019.08.20
sql substring  (0) 2019.08.16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블로그2019. 8. 24. 22:15

헐.. 이렇게 갑자기 부족하게 느껴질줄이야..

 

'개소리 왈왈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을게 없다!!!  (0) 2019.10.23
해피빈 기부  (2) 2019.09.23
항상 그렇지만 피곤하고 지치고  (0) 2019.08.02
도메인 또 1년 연장  (0) 2019.06.03
저작권 협상(?) 메일  (3) 2019.03.25
Posted by 구차니

첫애 때문에 항상 분노 만땅 모드 -_-

머가 문제일까..

 

항상 책들은 아이란 그런것이다 라고 하고

부모가 수용하기만을 원하지 무언가 해소할 방법을 제시하진 않는다.

 

도대체가 멀 어떻게 해야 하는걸까..

'개소리 왈왈 > 육아관련 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자헛 오늘의 피자 맛있네  (0) 2019.09.07
딸래미 안과 다녀왔는데  (2) 2019.08.29
오늘도 키즈카페  (2) 2019.08.18
키즈카페  (0) 2019.08.17
수영장 딸린 펜션  (4) 2019.08.11
Posted by 구차니

SPICE(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

ISO15504, SPICE

 

[링크 : https://rakuraku.tistory.com/93]

[링크 : http://www.jidum.com/jidums/view.do?jidumId=292]

 

ISO/IEC 33000번대 번호를 부여받아 33001~33099 까지 표준 작업

[링크 : http://www.abni.net/bbs/content.php?co_id=consulting_spice]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at rest (저장데이터)  (0) 2019.10.28
sql join 집합별 쿼리(차집합, 교집합 등등)  (0) 2019.10.22
overlay FS  (0) 2019.07.18
bbs and oprom  (0) 2019.06.05
CVE CWE CPE CVSS SCAP  (0) 2019.06.04
Posted by 구차니
회사일2019. 8. 23. 16:07

p.= 라고 명기된게 있어서 오타이거나 잘못 처리된건줄 알았는데 의미가 있는 표기였군..

 

Miscellaneous
unknown effect
p.?       - protein has not been analysed, an effect is expected but difficult to predict
p.(=)    - protein has not been analysed, but no change is expected
p.=      - protein has not been analysed, RNA was, but no change is expected
no protein
changes which affect the promoter of a gene, the transcription initiation site (cap site), the translation initiation site, etc. may affect the amount of protein produced;
p.0       - no protein can be detected (experimental data should be available)
p.0?     - probably no protein is produced

[링크 : https://www.hgvs.org/mutnomen/recs-prot.html]

[링크 : https://varnomen.hgvs.org/bg-material/refseq/]

'회사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gresql regexp_matches 로 HGVS g. c. p. 잡아내기  (0) 2020.01.01
compound heterozygosity  (0) 2019.12.21
tpmC?  (0) 2019.08.19
OLTP  (0) 2019.08.19
bam sam  (0) 2019.07.26
Posted by 구차니

먼가 영 안되네...

 

[링크 : https://www.regular-expressions.info/brackets.html]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926451/how-to-match-but-not-capture-part-of-a-regex]

 

[링크 : https://www.debuggex.com/]

 

+

2019.08.30

lookbehind?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926451/how-to-match-but-not-capture-part-of-a-regex?rq=1]

 

+

(?!\(PMID: )[0-9]*\)

 (PMID: 10373409)

끝에 )를 배제하고 하는 법은 없나? ㅠㅠ

 

+

머가 차이인지 좀 모르겠다...

(?=)

(?!)

 

[링크 : https://unlimitedpower.tistory.com/entry/정규표현식-이것이-고급이다-Positive-Negative-Lookahead-Lookbehind]

 

 

+

2019.11.20

positive lookbehind is (?<=text)

[링크 : https://www.regular-expressions.info/lookaround.html]

Posted by 구차니

같은건가?

 

[링크 : https://loveiskey.tistory.com/80]

'프로그램 사용 > postgre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der by group by  (0) 2019.08.26
postgresql 정규 표현식 검색  (0) 2019.08.26
pgadmin 에서 table 생성 SQL문 얻기  (0) 2019.08.20
sql substring  (0) 2019.08.16
sql 문자를 숫자로 정렬하기  (0) 2019.08.16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node.js2019. 8. 21. 18:23

csv 파일을 받아서(파일명으로만) 읽어온 뒤 array로 만들어 주는 참한 녀석

(스트림으로 읽는진 모르겠어서 대용량 처리 가능한진 모르겠다)

 

const csvFilePath = 'test.csv'
const csv = require('csvtojson')
csv()
    .fromFile(csvFilePath)
    .then((jsonObj) => {
        jsonObj.forEach(ele => {
            // console.log(ele.idx)
            // console.log(ele.disease_name)
            // console.log(ele.doid)
            // console.log(ele.refsite)
            // console.log(ele.ref_id)

            var dis = ele.disease_name.split(';')
            var ret = "";
            // console.log(dis)
            // console.log(dis.length)
            if(dis.length > 1)
            {
                dis.forEach(ele2 => {
                    ret = '"' + ele.idx + '"';
                    ret += ","
                    ret += '"' + ele2 + '"';
                    ret += ","
                    ret += '"' + ele.doid + '"';
                    ret += ","
                    ret += '"' + ele.refsite + '"';
                    ret += ","
                    ret += '"' + ele.ref_id + '"';
                    console.log(ret)
                })
            }
            else{
                ret = '"' + ele.idx + '"';
                ret += ","
                ret += '"' + ele.disease_name + '"';
                ret += ","
                ret += '"' + ele.doid + '"';
                ret += ","
                ret += '"' + ele.refsite + '"';
                ret += ","
                ret += '"' + ele.ref_id + '"';
                console.log(ret)
            }
            
        })

    })

[링크 : https://www.npmjs.com/package/csvtojson]

'Programming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util.format / sprintf?  (0) 2019.09.10
node.js xpath 지원함수 목록  (0) 2019.09.10
node.js regex  (0) 2019.08.12
node.js xpath 모듈  (0) 2019.08.08
xpath text()  (0) 2019.08.07
Posted by 구차니
아이디어!2019. 8. 21. 08:22

높다

2차원 평면에 사는 인간이기에 할 수있는 생각일까

아니면 z축으로는 떠오를수 없기에 신성으로 여기는 것에 z축을 부여했던 걸까?

상위 개념으로 혹은 초월 한다는 이미지는

나보다 위의 개념을 포함한다

 

 

Posted by 구차니
아이디어!2019. 8. 21. 08:15

life game에서의 수렴 패턴인가

그것이 아니라면

수평 확장 / 수직 확장 패턴속에서 보이는

동일 형식의 확장에서 보여지는 유사성일까

 

어릴적 사막에서 낙타를 풀어두면 한바퀴 크게 돌아 제자리로 온다는 말을보았다.

 

나에게는 돌고왔다는 주변 정보의 획득을 가진 동일 위치정보를 가졌을 뿐인 상태이기에

이전의 돌고오기 전과는 구분되는 다른 차원으로의 개념으로 보아야한다고 생각을 했는데

돌고온다는 scan의 행동은 수평 확장이라고 간주하면

어디로 향해야 할까라는 수직 확장을 이뤄내고

비록 아까와 같은 오어시스를 또 지난다 하더라도

이제는 지나치는 것이 아닌 거쳐가는 곳으로서의

다른 차원으로 전이되는게 아닐까?

 

돌아온다라는 인생의 마침점 처럼

마침점이 없다는 것은 어떠한 발전의 여지가 없다는 의미는 아닐까

혹은 좀더 짧은 주기의 데이터를 구분하도록 하여 좀더 손 쉽게 정보를 분석하고 개념을 확장하기 위한 도우미가 아닐까?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