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에 해당되는 글 13318건

  1. 2020.09.17 jnlp on ubuntu/chrome
  2. 2020.09.16 thunderX 아키텍쳐
  3. 2020.09.16 xournal++
  4. 2020.09.16 broadway / jsmpeg
  5. 2020.09.15 d-link dns-343 이상하네?
  6. 2020.09.15 c# 에서 hex string을 숫자로 변환하기
  7. 2020.09.14 다이소 유선 마우스 뽑기 실패인가.. 6
  8. 2020.09.14 synology DS213j 소비전력 2
  9. 2020.09.14 d-link DNS-343
  10. 2020.09.14 c# tcp binary

mergepoint 의 vKVM을 접속하려니 jnlp 파일로 다운로드 받아져서 확인중

아래는 javaw 대신 실행할 icedtea 이. 얘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openjdk-11-jre가 설치된다.

$ sudo apt-get install icedtea-netx
$ sudo apt-get install icedtea-plugin

 

11버전이니 아래의 파일을 root 권한으로 열어서 주석처리 추가해준다.

/etc/java-11-openjdk/security/java.security
 653 # Example:
 654 #   jdk.tls.disabledAlgorithms=MD5, SSLv3, DSA, RSA keySize < 2048
 655 jdk.tls.disabledAlgorithms=SSLv3, RC4, DES, MD5withRSA, DH keySize < 1024, \
 656     EC keySize < 224, 3DES_EDE_CBC, anon, NULL

 

icedtea-plugin을 설치하면 jnlp를 클릭하면 열릴 것이고 그게 아니라

디버그용도로 메시지를 보고 싶다면 콘솔에서 아래와 같이 실행하면된다.

$ javaws file.jnlp

 

근데 아직 키보드 입력이 안되서 좀 더 찾아보는중.

 

+

2020.09.18

adopt openjdk 8 대를 받아서 성공!

일단 8 버전대를 받아서(1.9 부터 java.awt.peer.ComponentPeer 메소드를 없앴다고 한다) 설치하고

icdetea 설정을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

$itweb-settings

JVM Settings 에서 openJDK 어쩌구 있는데를 adopt openjdk로 연결해준다.

adopt openjdk가 아니어도 openjdk-8 로도 되는진 테스트 안해봤음

 

 

 

------------ archived

실행은 아래와 같이 가능하나 웹에서 가능한진 테스트..

$ javaws file.jnlp

[링크 : https://linux-tips.com/t/execute-jnlp-files-in-linux/252]

 

 

+

$ sudo find / -name java.security
/etc/java-11-openjdk/security/java.security
/etc/java-8-openjdk/security/java.security

java.security 파일에서 아래의 두줄을 주석처리하면 되긴 한다.

근데 왜.. 키보드 안 먹냐.. ㅠㅠ

 653 # Example:
 654 #   jdk.tls.disabledAlgorithms=MD5, SSLv3, DSA, RSA keySize < 2048
 655 jdk.tls.disabledAlgorithms=SSLv3, RC4, DES, MD5withRSA, DH keySize < 1024, \
 656     EC keySize < 224, 3DES_EDE_CBC, anon, NULL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8205947/sslhandshakeexception-no-appropriate-protocol]

 

icedtea깔면 자동으로 openjdk-11-jre가 무조건 깔리는군...

$ sudo apt install icedtea-netx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
다음의 추가 패키지가 설치될 것입니다 :
  default-jre default-jre-headless librhino-java libtagsoup-java
  openjdk-11-jre openjdk-11-jre-headless
제안하는 패키지:
  rhino libtagsoup-java-doc fonts-ipafont-gothic fonts-ipafont-mincho
  fonts-wqy-microhei | fonts-wqy-zenhei
다음 새 패키지를 설치할 것입니다:
  default-jre default-jre-headless icedtea-netx librhino-java libtagsoup-java
  openjdk-11-jre openjdk-11-jre-headless
0개 업그레이드, 7개 새로 설치, 0개 제거 및 3개 업그레이드 안 함.
0 바이트/40.6 M바이트 아카이브를 받아야 합니다.
이 작업 후 176 M바이트의 디스크 공간을 더 사용하게 됩니다.
계속 하시겠습니까? [Y/n] 

 

+

09/17/2020 01:52:15:278:  Connection failed with exception: No appropriate protocol (protocol is disabled or cipher suites are inappropriate)
SoftkeyManager.save() Saving soft keys ...
java.util.ServiceConfigurationError: java.nio.charset.spi.CharsetProvider: Provider sun.nio.cs.ext.ExtendedCharsets could not be instantiated

 

이것저것 시도해봤는데 느낌적인 느낌으로.. openJDK8/11 버전으로는 못할것 같다.

sun.nio.cs.ext.ExtendedCharsets 라고 나오는 저녀석.. openJDK에 포함되지 않아서 그런거 같은데...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7904602/how-to-enable-sslv3-in-java-8u91]

[링크 : https://knowledge.broadcom.com/external/article/42535/oracle-ilom-error-no-appropriate-protoco.html]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4558945/is-tlsv1-3-supported-in-openjdk-11-under-ubuntu]

 

 

+

그러니까.. openjdk11 되면서 사라진건진 모르겠지만, 아래 에러는 getPeer()가 사라졌기에 adopt 라는 다른 jre를 설치하란건가?

Exception in thread "AWT-EventQueue-1" java.lang.NoSuchMethodError: 'java.awt.peer.ComponentPeer java.awt.Window.getPeer()'
	at com.avocent.kvm.nativekeyboard.NativeKVM.a(NativeKVM.java)
	at com.avocent.kvm.nativekeyboard.e.b(e.java)
	at com.avocent.kvm.nativekeyboard.e.windowOpened(e.java)

 

러시아 형님들 감사!

  1. 여덟 번째 (예, 여덟 번째) Java를 설치합니다. 최근에는
    " 스레드의 예외"AWT-EventQueue-1 "java.lang.NoSuchMethodError : 'java.awt.peer.ComponentPeer java.awt.Window.getPeer ()' "로 인해 키보드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 " getPeer "구조는 최신 버전에서 잘라 냈습니다. 현재 Linux 배포판에서 여덟 번째 zhava는 더 이상 찾을 수 없으므로 가장 쉬운 방법은 Adopt 를 설치하는 것 입니다.

[링크 : https://klink0v.livejournal.com/592796.html]

 

 

아니. 도대체 언제적 시스템을 쓰고 있길래 이걸 아직도 쓰도록 구성되어 있는거야?

getPeer

Deprecated.
As of JDK version 1.1, programs should not directly manipulate peers; replaced by boolean isDisplayable().

[링크 : https://docs.oracle.com/javase/7/docs/api/java/awt/Component.html#getPeer()]

Posted by 구차니
embeded/ARM2020. 9. 16. 18:17

CPU간에는 CCPI2를 통해서 연결

 

[링크 : https://www.gigabyte.com/ARM-Server/R281-T94-rev-100#ov]

[링크 : https://www.gigabyte.com/kr/ARM-Server/R150-T62-rev-100#ov] <<

 

CCPI2

Cavium Coherent Processor Interconnect

[링크 : https://en.wikichip.org/wiki/cavium/ccpi]

 

[링크 : https://www.anandtech.com/show/12694/assessing-cavium-thunderx2-arm-server-reality/8] 벤치마크

'embeded > A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m64 server sysbench  (0) 2020.09.23
cavium thunderX / thunderX2  (0) 2020.09.18
keil window 버전별 지원버전  (0) 2018.07.19
ARM MPMC(multiport memory controller)  (0) 2018.03.19
AMBA AXI  (0) 2018.01.30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xournal2020. 9. 16. 12:16

 

xournal 설치하려고 하는데 xournal++과 Mobile이 발견!

 

 

많이 쓴 건 아니지만(한 1분? ㅋㅋ)

2760p 모니터는 wacom의 2손가락 터치 + EMR 방식 펜 을 지원하는데

xournal에서는 제공하지 않던 핑거 줌 인/아웃을 지원한다!! 

이 것 만으로도 충분히 xournal을 대체할 수 있을 듯 하다.

 

추가로 이전 버전에서는 버그였는지 ini 파일 설정에서 나오지 않던 펜 굵기 등이 메뉴에서 정상적으로 추가되었고

(매우 가늠 수준은 ini 에서만 설정이 가능했음)

버그로 생각되던 설정사항이 저장되지 않던 문제도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

 

왼쪽의 사이드 바는 목차가 있긴한데 펜으로 쓸때도 적용이 가능한진 모르겠지만

PDF annotation 기능으로는 쓸만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PDF 를 drag&drop 으로 해당 pdf 어노테이션 하면 더 좋았을 텐데

그점은 xournal이나 xournal++ 이나 둘 다 안되니 상관없나..

 

+

조금 더 써보니 선택영역에 대한 정비율 확대/축소가 기본값이라 더 좋다.

정비율이 아닐때는 좌/하 이렇게 두번 해주어야 하지만, 정비율을 더 많이 쓰니 나에게는 유리한 듯.

 

+

저장시에 xopp 라는 확장자로만 저장이 가능하다.

xournal의 xoj를 불러올수는 있지만 그 포맷으로 저장을 못하는건 좀 뼈아프다.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node.js2020. 9. 16. 10:31

jsmpeg의 경우 mpeg1ts를 이용하여 화질이 좀 아쉬워서

h.264를 지원하면 좋을것 같아서 찾아보니 broadway라는 것이 걸려나왔다.

 

요즘은 크롬으로 대동단결에 하드웨어 h.264는 기본 제공에 가깝고 webgl 가속이면 전체 cpu 사용율도 떨어질테니

좋을것 같긴한데.. 제약사항을 좀 더 봐야 할 듯

 

jsmpeg 처럼 websocket 등으로 스트리밍을 재생을 못하고 전체 파일을 받아야만 한다면 좀 곤란한데..

The video player first needs to download the entire video before it can start playing, thus appearing to be a bit slow at first, so have patience.

[링크 : https://github.com/mbebenita/Broadway]

    [링크 : https://github.com/wangdxh/websocketvideostream]

'Programming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8.04 / nodej.s 18.x 실패  (0) 2022.05.19
웹소켓  (0) 2022.03.25
node.js array.sort() 주의사항  (0) 2020.02.01
node.js postgresql transaction  (0) 2020.01.31
for 에서 async, await  (0) 2020.01.30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torage2020. 9. 15. 21:56

하드를 뽑고 시스템 초기화 하고

암호를 걸지 않았는데

 

이전에 raid5로 구성되었던 하드 4개를 가져와서

켜보니 이전 암호로 로그인이 된다.

 

다만 호스트네임이나 아이피 설정등은 그대로 유지된다.

 

도대체 어떻게 되어먹은 상황이지 -ㅁ-?

'하드웨어 > 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link dns-343  (2) 2020.10.31
intel Entry Storage System SS4000-E 초기화  (0) 2020.10.25
synology DS213j 소비전력  (2) 2020.09.14
d-link DNS-343  (0) 2020.09.14
시놀로지 외부 스토리지 연결하기  (0) 2020.09.09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c# & winform2020. 9. 15. 10:58

라이브러리가 빵빵하니 편하네

(근데 외울게 좀 길다? ㅠㅠ)

 

string hexString = "8E2";
int num = Int32.Parse(hexString, System.Globalization.NumberStyles.HexNumber);
Console.WriteLine(num);
//Output: 2274

[링크 : https://docs.microsoft.com/.../how-to-convert-between-hexadecimal-strings-and-numeric-types]

'Programming > c# & win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ono) on ubuntu  (0) 2020.09.21
c# 변수형  (0) 2020.09.18
c# tcp binary  (0) 2020.09.14
c# 에서 함수 인자로 포인터 사용을 못함?  (0) 2020.09.14
c# winform에서 #define 대신...?  (0) 2020.09.14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컴퓨터2020. 9. 14. 22:55

어제 사서 개봉했는데

벌써 좌클릭, 휠 클릭이 소리는 나는데 안눌릴때가 존재한다.

머냐.. -_- 5천원이 그렇지 머 라고 하기에는 너무 빠른 불량인데?

그 와중에 다 버려버려서 교환 환불도 안될거 같고

끄응...

'개소리 왈왈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ormbook 14 pro 64GB 모델  (0) 2020.10.05
G840에 이어 G860..  (0) 2020.09.22
지름신님 조합(?)  (0) 2020.09.10
올데이 그램 배터리 장난 아니네?  (0) 2020.09.10
오늘의 줍줍  (2) 2020.08.20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torage2020. 9. 14. 21:48

OFF 0.3W
booting 초기 5.5W
2HDD / 14W

2HDD idle 6W -> 4.3W

 

--

d-link 보다 이거 보니 정말 조금 먹네.. 라는 생각이..

idle 시에는 3.5W 정도 먹는다고 스펙상 적혀있긴한데

그거 테스트 하자고 잠들때까지 기다리려면 너무 오래걸리는데 ㅠㅠ

(설겆이와 각종 집안일로 30분 때우고 옴! ㅋ)

'하드웨어 > 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l Entry Storage System SS4000-E 초기화  (0) 2020.10.25
d-link dns-343 이상하네?  (0) 2020.09.15
d-link DNS-343  (0) 2020.09.14
시놀로지 외부 스토리지 연결하기  (0) 2020.09.09
D-Link DNS-343 대실망쇼 -_-  (0) 2020.09.08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torage2020. 9. 14. 21:16

흐음.. 결국에 들고는 왔는데 이 계륵을 어떻게 쓸것인가...

하드 하나도 연결하지 않고 부팅시 13W~11W 오락가락 한다.

 

idle 모드 들어가면 얼마나 떨어지려나?

 

그자너나 미친듯한 파워 뒷면에도 써있긴 하지만

19V 7.89A 대략 150W 급.. 역률 계산하면 좀 낮긴 하겠지만

너무 오버 스펙 어댑터 아닌가?

 

그리고 켜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2W 미만으로 먹는다.

(와.. 2W면 라즈베리 대기전력인데.. 켜지도 않은 주제에 이렇게 먹다니)

 

 

OFF 2W

booting 초기 13W

2HDD 초기 26W

4HDD 초기 42W -> 34W -> 39W -> 35W

 

어라.. 4테라 인식한다?

다만 JBOD 으로 생성시 삼바나 FTP가 안되는 것 봐서는 단일 스토리지 용량 제한이 있어서

드라이브 용량은 인식했지만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4TB 빼내고 JBOD도 생성해 봐야겠네..

 

OLED 일부다 타버린 상황..  DISK IS FULL! 메시지가 완전 선명하게 보인다(다른 메시지일 경우)

 

19V/7.89A.. 대충 130W 나오는거 같은데 말이 되는건가 ㄷㄷ

 

+

회사에서 할때는 다 만들고 리부팅 안뜨고 뻗더니

리셋하고 나서 그런가 정상적으로 뜨네?

'하드웨어 > 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link dns-343 이상하네?  (0) 2020.09.15
synology DS213j 소비전력  (2) 2020.09.14
시놀로지 외부 스토리지 연결하기  (0) 2020.09.09
D-Link DNS-343 대실망쇼 -_-  (0) 2020.09.08
시놀로지 로그인 시도 차단하기  (2) 2019.07.30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c# & winform2020. 9. 14. 19:17

아무생각없이 tcp 예제를 찾아서 했더니

문자열 스트림을 하는 예제였는지 왜 바이너리는 전송이안돼!!! 이러고 있었네 -_ㅠ

 

[링크 : https://docs.microsoft.com/ko-kr/dotnet/api/system.io.binarywriter?view=netcore-3.1]

    [링크 : https://blog.naver.com/kimsung4752/221178705895]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