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2014. 12. 24. 12:08

결론은.. 실패

그냥 터치패널 드라이버 쪽에서 설정으로 해결 ㅠㅠ


------


[링크 : http://www.thinkwiki.org/wiki/How_to_configure_the_TrackPoint]

[링크 : http://fedoraproject.org/wiki/Input_device_configuration]

[링크 : https://bbs.archlinux.org/viewtopic.php?id=180524]

[링크 : http://linux.die.net/man/1/xinput]



 Option "FlipXY" "boolean"

              Enable/disable swapping the X and Y axes.   This  transformation

              is applied after the InvX, InvY and AngleOffset transformations.

              Default: off.

[링크 : http://manpages.ubuntu.com/manpages/precise/man4/mousedrv.4.html]



[링크 : http://askubuntu.com/questions/246564/xinput-set-prop-does-not-work-for-touchscreen]




$ xinput --list

⎡ Virtual core pointer                          id=2    [master pointer  (3)]

⎜   ↳ Virtual core XTEST pointer                id=4    [slave  pointer  (2)]

⎜   ↳ PS/2 Generic Mouse                        id=10   [slave  pointer  (2)]

⎣ Virtual core keyboard                         id=3    [master keyboard (2)]

    ↳ Virtual core XTEST keyboard               id=5    [slave  keyboard (3)]

    ↳ Video Bus                                 id=6    [slave  keyboard (3)]

    ↳ Power Button                              id=7    [slave  keyboard (3)]

    ↳ Sleep Button                              id=8    [slave  keyboard (3)]

    ↳ AT Translated Set 2 keyboard              id=9    [slave  keyboard (3)]


$ xinput --list 10

PS/2 Generic Mouse                              id=10   [slave  pointer  (2)]

        Reporting 3 classes:

                Class originated from: 10. Type: XIButtonClass

                Buttons supported: 5

                Button labels: "Button Left" "Button Middle" "Button Right" "Button Wheel Up" "Button Wheel Down"

                Button state:

                Class originated from: 10. Type: XIValuatorClass

                Detail for Valuator 0:

                  Label: Rel X

                  Range: -1.000000 - -1.000000

                  Resolution: 1 units/m

                  Mode: relative

                Class originated from: 10. Type: XIValuatorClass

                Detail for Valuator 1:

                  Label: Rel Y

                  Range: -1.000000 - -1.000000

                  Resolution: 1 units/m

                  Mode: relative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ghtdm 실행하지 않도록 하기  (0) 2014.12.24
우분투 Atom Z510 하드웨어 지원 중단  (0) 2014.12.24
dd / progress  (0) 2014.12.22
udev rule  (0) 2014.12.18
플래시용 파일 시스템과 EXT4  (0) 2014.12.14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컴퓨터2014. 12. 23. 22:27

그래봤자 넌 분해당할 운명이지 ㅋㅋㅋ

일단 외관상으로는 무광 검정과 유광 흰색의 차이?





Y와 D가 문제였는데

펜타그래프 방식이라 한쪽으로 부품을 몰아 버리고. 키 하나를 포기 ㅠㅠ

그래서 버려진.. T 키 ㅠㅠ



고급스러웠을지도 모르는 우레탄 무광이지만

세월의 흔적으로 인해 싼티로 전락 ㅠㅠ


Posted by 구차니
embeded2014. 12. 23. 22:10

회사에서 이런저런 이유로(?) 검색

일단.. 플래시들은 핀수를 줄이기 위해 BYTE 모드와 WORD 모드가 있는데

BYTE 모드는 21비트 어드레싱

WORD 모드는 20비트 어드레싱을 사용한다.

핀수로는

21 + 8

20 + 16 이라서

실제로는 7핀 정도 밖에 안줄어 들어서 무슨 큰 의미가 있겠냐 마는..



DQ15는 16비트 모드에서는 MSB 인데 8비트 모드에서는 주소의 LSB로 쓰인다.

그런데.. 이렇게만 써있으니 이해가 영 어려운게 사실...


A0–A19 20 addresses

DQ0–DQ14 15 data inputs/outputs

DQ15/A-1 DQ15 (data input/output, word mode), A-1 (LSB address input, byte mode)



섹터의 주소를 보면

바이트 모드에서 FFFF 인게 워드모드에서는 7FFF로

0x1111 1111 과 0x0111 1111 로 MSB가 하나 더 추가 된 주소로 출력되며

16번지 이후 섹터에서는 20비트가 아닌 21 비트로 어드레싱을 하여야만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링크 : http://www.spansion.com/Support/Datasheets/S29AL016J_00.pdf]

'embed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computer C.H.I.P?  (0) 2015.05.27
PowerQUICC  (0) 2015.04.02
mmu와 rtos  (0) 2014.12.10
ltib / rc.conf  (0) 2014.11.24
Z80 M6800  (0) 2014.01.27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php2014. 12. 23. 14:32

simplexml의 

SimpleXMLElement::asXML 을 이용해 xml로 저장을 하면

well-fored XML로 저장이 되지 않고

엔터 처리도 없이 주르르르륵 한줄로만 출력된다.


이걸 해결하려면.. dom_import_simplexml을 통해 

DOMElement로 변환하고 설정후 출력하면 된다고 한다.

(테스트 필요)


$dom = dom_import_simplexml($simpleXml)->ownerDocument;

$dom->formatOutput = true;

echo $dom->saveXML();


[링크 : http://php.net/manual/ro/function.dom-import-simplexml.php]

[링크 : http://php.net/manual/en/simplexmlelement.asxml.php]


[링크 : http://www.f15ijp.com/2010/12/simplexml-save-formated-output/]

[링크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191167/format-output-of-simplexml-asxml]



+2015.01.29

$xmlDoc = new DomDocument('1.0', 'utf-8');

$xmlDoc->formatOutput = true;

$xmlInfo = $xmlDoc -> saveXML();


깔끔하게 해결?


'Programming > p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 웹 다국어 지원 트릭  (0) 2015.02.02
php 콘솔 디버깅  (0) 2015.01.13
php simpleXML  (0) 2014.12.22
xcache 1.3.2 for php 5.3.22 for ARM  (0) 2014.11.11
lighttpd + php 퍼미션 문제  (0) 2014.10.21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C Win32 MFC2014. 12. 23. 09:24

windows for dd 를 감싸서 먼가 만들려고 하는데

이 녀석이.. 장치 접근명을 필요로 해서 그걸 받아오는 게 필요하다.


일단.. USB 장치목록으로 받아와서 FLASH DRIVE나 MEMORY READER로 하는게 나을까

아니면 식별자로 USB 메모리로 인식한 것 중에 dd --list 와 결합하는게 나을까 고민중..


[링크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2478006/how-get-device-harddisk-partion-information-qt]

[링크 :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desktop/aa364993(v=vs.85).aspx]

[링크 : http://www.ftdichip.com/.../AN_152_Detecting_USB_%20Device_Insertion_and_Removal.pdf]

[링크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2036077/usb-api-for-windows]

[링크 :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hardware/ff540174(v=vs.85).aspx]

[링크 :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cc542456.aspx]

'Programming > C Win32 MF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돈의 카오스 - 교차참조 헤더  (0) 2015.05.11
#ifdef 와 #ifdef ()의 차이  (0) 2015.04.13
printf POSIX 확장 %1$d  (0) 2014.12.09
include guard  (0) 2014.11.05
vc++ vector와 Vector 차이점?  (0) 2014.07.03
Posted by 구차니
Linux2014. 12. 22. 17:56

표준 dd의 경우 USR1 시그널을 통해서 현재 진행상태를 받아올 수 있다고 한다.


$ date; sudo dd if=/dev/sdd of=dump_512M.dd bs=16M count=32  ;date

2014. 12. 23. (화) 08:27:02 KST

16+0 레코드 들어옴

15+0 레코드 나감

251658240 바이트 (252 MB) 복사됨, 17.3061 초, 14.5 MB/초

18+0 레코드 들어옴

17+0 레코드 나감

285212672 바이트 (285 MB) 복사됨, 19.4872 초, 14.6 MB/초

27+0 레코드 들어옴

26+0 레코드 나감

436207616 바이트 (436 MB) 복사됨, 29.3058 초, 14.9 MB/초

32+0 레코드 들어옴

32+0 레코드 나감

536870912 바이트 (537 MB) 복사됨, 35.0506 초, 15.3 MB/초

2014. 12. 23. (화) 08:27:38 KST


$ ps -ef | grep dd

root     27180 26796  0 08:27 pts/1    00:00:00 sudo dd if=/dev/sdd of=dump_512M.dd bs=16M count=32

root     27181 27180 16 08:27 pts/1    00:00:00 dd if=/dev/sdd of=dump_512M.dd bs=16M count=32


minimonk@devmini:~/temp$ kill -USR1 27180

minimonk@devmini:~/temp$ kill -USR1 27180

minimonk@devmini:~/temp$ kill -USR1 27180


[링크 : http://askubuntu.com/questions/215505/how-do-you-monitor-the-progress-of-dd]

[링크 : http://linuxcommando.blogspot.kr/2008/06/show-progress-during-dd-copy.html]



dd for windows


일본에서 만든 GUI

블럭 사이즈라던가 카운트를 못써서 디스크 전체만 빼낼수 있어 아쉽다.


[링크 : http://www.si-linux.co.jp/techinfo/index.php?DD%20for%20Windows] << GUI


윈도우 포트에서는 --progress 옵션을 제공하는데 M 단위로만 출력을 한다.

D:\>dd of=\\?\Device\Harddisk5\Partition0 if=test.dd bs=1M --progress

rawwrite dd for windows version 0.6beta3.

Written by John Newbigin <jn@it.swin.edu.au>

This program is covered by terms of the GPL Version 2.


1,886M

1886+0 records in

1886+0 records out


[링크 : http://www.chrysocome.net/dd] <<  원본에 가까운 것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Atom Z510 하드웨어 지원 중단  (0) 2014.12.24
linux X-window 축 뒤집기  (0) 2014.12.24
udev rule  (0) 2014.12.18
플래시용 파일 시스템과 EXT4  (0) 2014.12.14
TTY / PTS 약자  (0) 2014.12.14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qt2014. 12. 22. 17:07

DOM 이던 SAX던 잘못 생각하고 있었던 듯..


SAX는 스트림을 통해서 메모리에 올리기 부담 스러운 녀석을

순차적으로 읽어 원하는 데이터 구조로 넣을수 있는데 반해


DOM은 한번에 읽어들여 DOM tree를 생성하나

DOM 트리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빼내기 위해서는 Dom tree API를 이용해서 탐색해야 하기에

둘다 동일하게 탐색용 함수를 생성해야 하는 건 동일하다



만약 DOM tree를 경량화 하기 위해

별도의 array로 사용한다고 하면

DOM을 굳이 쓸 필요 없이 SAX로 데이터를 빼내는 것도 방법이 될 수도 있겠다


단, Array를 XML 타입으로 출력할 메소드가 별도로 필요는 하겠지만..


[링크 : https://techbase.kde.org/Development/Tutorials/QtDOM_Tutorial]

[링크 : http://qt-project.org/doc/qt-4.8/xml-dom-tml.html]

'Programming >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 4.8.5 neon 활성화 하기  (1) 2015.01.15
qt 5.4 cross compile 시도!!  (0) 2015.01.12
qt 4.8.5 임베디드 빌드 옵션  (0) 2014.12.16
qt 5.3 html5 v8  (0) 2014.12.16
php - c shared memory  (0) 2014.12.16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php2014. 12. 22. 16:28

php에 xml을 파싱하기 위한 파서/API로

php 컴파일 시 --enable-simplexml 옵션을 주어야 사용이 가능한 라이브러리이다.

꽤 가볍고 DOM / SAX를 둘다 지원해서 php에서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용도로

많이들 사용되는 듯 하다.



[링크 : http://php.net/manual/en/book.simplexml.php]

[링크 : http://php.net/manual/en/simplexml.examples-basic.php] 영문

[링크 : http://php.net/manual/kr/simplexml.examples-basic.php] 국문

'Programming > p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 콘솔 디버깅  (0) 2015.01.13
php simpleXML saveXML 정렬하기 (well-formed XML)  (0) 2014.12.23
xcache 1.3.2 for php 5.3.22 for ARM  (0) 2014.11.11
lighttpd + php 퍼미션 문제  (0) 2014.10.21
php.ini extension_dir  (0) 2014.10.20
Posted by 구차니

완전 공장 초기화 후

내장 메모리 포맷해버리는 바람에 날아갔어서 당황했는데

그냥 삼성에서 받으면 된다.


일단 안내는.. 삼성모바일 닷컴이라는데

거기서 헤메다가는 답이 안나올거 같으니..


[링크 : http://www.samsung.com/sec/support/model/SHV-E120KTSKC-downloads?downloadName=SW]

[링크 : http://ramses8.tistory.com/576]

Posted by 구차니

결론. 그거나 그거나...

우리 아내는 내가 만나기 전에 비싸게 최상급 핵 폐기물을 질렀고

남편은 안좋은걸 알고 마이너스 폰으로 질렀으나 도찐개찐 핵 폐기물을 질렀... ㅋㅋㅋ



갤럭시 S2 HD LTE

베가 LTE M

AP 퀄컴 스냅드래곤 S3 APQ8060

        ISM/333MHz LPDDR2 / 모뎀 없음 / 2011년

CPU 퀄컴 스콜피온 아키텍처 1.512 GHz 듀얼 코어 

GPU 퀄컴 아드레노 220 266 MHz

화면 약 4.52" (11.48 cm) 슈퍼 AMOLED 플러스 

해상도 480 × 800

RAM 용량 1 GB

AP 퀄컴 스냅드래곤 S3 MSM8660

        ISM/333MHz LPDDR2 / 모뎀 있음 / 2010년 3

CPU 퀄컴 스콜피온 아키텍처 1.5 GHz 듀얼 코어

GPU 퀄컴 아드레노 220 266 MHz

화면 4.5" 샤프 IPS HD LCD

해상도 1280 ×800 (HD)

RAM 1 GB DDR2 SDRAM


CPU는 모뎀이 있냐 없냐인데

있건 없건.. 둘다 코어는 동일한거 같으니 이래저래 핵 폐기물? ㅋㅋㅋ


APQ8060 45nm ARMv7 최대 1.7GHz 듀얼코어 스콜피온 L2: 512KB 아드레노 220 싱글채널 500MHz  

ISM/333MHz LPDDR2

모뎀 없음

2011년

MSM8660 45nm ARMv7 최대 1.7GHz 듀얼코어 스콜피온 L2: 512KB 아드레노 220 싱글채널 500MHz 

ISM/333MHz LPDDR2

GSM, WCDMA/UMTS, CDMA2000

2010년 3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삼성_갤럭시_S_II_LTE]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팬택_베가_LTE_M]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스냅드래곤]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