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에 해당되는 글 13676건

  1. 2021.06.11 emc2301 fan controller
  2. 2021.06.11 cm4 태워먹음 ㅠㅠ
  3. 2021.06.11 강제 edge 브라우저 이동 끄기
  4. 2021.06.10 cm4 rtc pcf85063a
  5. 2021.06.10 wake on patern matching
  6. 2021.06.10 tensorflow lite yolov4
  7. 2021.06.09 ETH SYNC / IEEE 1588 / PTP 2
  8. 2021.06.09 raspivid camera select
  9. 2021.06.09 bmp280
  10. 2021.06.09 어?! 지름 망 ㅋㅋㅋ TEA5676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1. 6. 11. 15:11

델타 12V 3핀 팬이 있어서 연결해봤는데 속도 조절이 안되는 것 같아서

조금 찾아보니.. 3핀의 경우 

GND / VCC / TACO (타코미터 Tachometer) 핀이고

4핀은

GND / VCC / TACO / PWM

 

그러니까.. 3핀으로도 TACO 핀을 기준으로 VCC를 PWM 으로 제어하면 가능은 하지만

칩에 따라서 VCC를 제어해줄 수 있는 녀석이 아니면 의미없고

 

emc2301의 경우 PWM 핀이 있어 해당 핀에서 내주는 PWM 값으로

4번 핀을 통해 모터에서 값을 받아 속도를 제어야 해주어 한다~ 라는 것

 

TACH 핀과 PWM 핀이 존재하고

TACH는 Tachometer의 약자 480~16000 rpm 까지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까. TACH와 PWM 값을 통해서 피드백 제어를 해주려나?

 

[링크 : https://coolenjoy.net/bbs/cooling/413288?page=476]

[링크 : https://ww1.microchip.com/downloads/en/DeviceDoc/EMC2301-2-3-5-Data-Sheet-DS20006532A.pdf]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칩 안테나 특성(방사패턴)  (0) 2021.08.18
Hall effect sensor  (0) 2021.06.22
dBFS  (0) 2021.01.29
FFT와 고조파(harmonic)  (0) 2020.10.05
Audio Induction Loop  (0) 2020.09.21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21. 6. 11. 14:20

팬 컨트롤러 멀티메터로 재본다고 하다가 쇼트내서

12V 와 신호 선이  쇼트나서

그 여파로 fan controller ic 타서 구멍나고

부가적으로.. -_-

카메라 하나 잡아 먹은 듯..

2개 중에 1개 태워먹었네 흑..

 

$ raspivid -t 0 -cs 0
The driver for the TC358743 HDMI to CSI2 chip you are using is NOT supported.
They were written for a demo purposes only, and are in the firmware on an as-is
basis and therefore requests for support or changes will not be acted on.

 

TC358743 이라는 이상한 명칭이 나와서 보는데 도대체 정체가 멀까.. i2c slave가 보이는데 이게

그 정체 불명의 0xc0 인가?

[링크 : https://toshiba.semicon-storage.com/.../10L02_TC358743_ProdBrief.pdf]

 

+

Fan controller가 0x2F(i2c addr) 0x0C(SMBUS alert) 으로 인식된다고.

한개 칩이 여러개의 i2c 어드레스를 갖기도 하는구나..

[링크 : https://www.microchip.com/wwwproducts/en/EMC2301]

[링크 : https://www.raspberrypi.org/forums/viewtopic.php?t=300491]

'embeded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i pwm 설정  (0) 2021.06.13
edid-decode  (0) 2021.06.11
cm4 rtc pcf85063a  (0) 2021.06.10
ETH SYNC / IEEE 1588 / PTP  (2) 2021.06.09
raspivid camera select  (0) 2021.06.09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1. 6. 11. 11:09

나도 ie11 쓰기 싫다고 ㅠㅠㅠㅠㅠ

근데 이렇게 무조건적으로 ie 켜면 edge로 넘기는건 좀 아닌듯?

 

[링크 : https://extrememanual.net/36971]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PE format  (0) 2022.02.18
윈10 탐색기 복수 확장자 검색하기  (0) 2021.11.22
원격 데스크탑 멀티 모니터  (0) 2020.11.13
원격 데스크톱 바로가기 만들기  (0) 2020.11.10
파워셸로 파일 출력하기  (0) 2020.10.19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21. 6. 10. 20:34

/boot/config.txt 에 아래를 넣어주라는데

dtparam=i2c_vc=on
dtoverlay=i2c-rtc,pcf85063a,i2c_csi_dsi

 

청개구리 피라.. i2c_csi_dsi는 빼고 아래처럼 넣었는데

dmesg에서 pcf로 검색되지도 hwclock으로 되지도 /proc/driver/rtc가 생성되지도 않았다.

dtparam=i2c_vc=on
dtoverlay=i2c-rtc,pcf85063a

 

이것저것 섞어서 하다보니 헷갈리네.. 아무튼 이런 에러도 나오고

$ dmesg | grep pcf
[    6.470302] rtc-pcf85063 1-0051: RTC chip is not present
[    6.470489] rtc-pcf85063: probe of 1-0051 failed with error -121

 

$ lsmod | grep pcf
rtc_pcf85063           16384  0
regmap_i2c             16384  1 rtc_pcf85063

$ ls -al /sys/class/i2c-adapter/i2c-10/new_device
--w------- 1 root root 4096 Jun 11 14:37 /sys/class/i2c-adapter/i2c-10/new_device

 

아무튼 유일하게 효과가 있던건 아래의 새 장치 추가, rtc-pcf85063 모듈을 불러왔을때 인데.

$ sudo su -
# echo pcf85063 0x51 >/sys/class/i2c-adapter/i2c-10/new_device
# modprobe rtc-pcf85063
# exit

 

아무튼 modprobe 로 넣어주면 rtc0로 등록되었다고 뜨고

$ dmesg | tail
[  151.430236] rtc-pcf85063 10-0051: registered as rtc0
[  151.430336] i2c i2c-10: new_device: Instantiated device pcf85063 at 0x51

 

해당 장치를 procfs로 접근하면 시간은 나오는데

$ cat /proc/driver/rtc
rtc_time        : 05:38:03
rtc_date        : 2021-06-11
24hr            : yes

 

그럼에도 hwclock으로는 작동하지 않는다.

$ hwclock --verbose
hwclock from util-linux 2.33.1
System Time: 1623389945.199668
Trying to open: /dev/rtc0
No usable clock interface found.
hwclock: Cannot access the Hardware Clock via any known method.

 

커널에서 설정을 바꾸거나 init 스크립트 바꾸어서 i2c에 등록하고 modprobe 하게 해주어야 할 것 같긴한데..

rtc wake까진 가기 까마득 하구만..

 

[링크 : https://www.raspberrypi.org/forums/viewtopic.php?t=293632]

 

'embeded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edid-decode  (0) 2021.06.11
cm4 태워먹음 ㅠㅠ  (0) 2021.06.11
ETH SYNC / IEEE 1588 / PTP  (2) 2021.06.09
raspivid camera select  (0) 2021.06.09
bmp280  (0) 2021.06.09
Posted by 구차니

시놀로지 NAS 쓰다 보면

절전모드에서 ssh나 samba 접속하면 알아서 켜지는데 그것에 대한 기술명

wake on lan의 하위인지 다른 기술인진 모르겠으나

WoL 처럼 magic packet이 아니라 다른 패턴에서도 매칭되면 깨어나게 해주는 기능.

 

[링크 : https://askubuntu.com/questions/1332960/how-to-check-if-my-device-supports-wake-on-wlan]

[링크 : https://coolenjoy.net/bbs/37/4140?sfl=wr_name%2C1&stx=isaiah&sop=and]

'이론 관련 > 네트워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herCAT - Ethernet for Control Automation Technology  (0) 2021.11.01
WiFi 프로토콜, cipher  (0) 2021.09.27
rs-422  (0) 2021.06.03
FTPS  (0) 2021.02.07
UDP와 MTU?  (0) 2020.09.07
Posted by 구차니

output 텐서의 차원에 대한 정보는 세개 변수에 저장된다.

TfLiteType type;
TfLiteIntArray* dims;
size_t bytes;

 

type은 개별 엘리먼트의 출력 포맷(float라던가 uint8 이라던가)의 변수 크기를 저장하고

dims.size 에는 몇 차원 텐서인지

dims.data[] 에는 차원별 갯수를 저장한다.

dims.size = 4

dims.data[] = [1 7 7 18] 식으로 저장되며

float32형이기에

1*7*7*18*sizeof(float) = 3528 byte로

해당 내용은 bytes에 저장된다.

 

TfLitePtrUnion data;

그리고 그 용량의 데이터는 data에 저장되어 접근을 하면 되는데..

차원을 어떻게 접근해야 하려나.. -_-

 

대충 label_image.cc 예제에서 이런 식으로 출력하면 okay

    printf("dims size[%d]\n",output_dims->size);
    for(int idx = 0; idx < output_dims->size; idx++)
    {
            printf("%d\t",output_dims->data[idx]);
    }

    printf("tensor pos bytes [%d]\n",interpreter->tensor(interpreter->outputs()[0])->bytes);
    printf("tensor per bytes [%d]\n",interpreter->tensor(interpreter->outputs()[1])->bytes);

 

'프로그램 사용 > yolo_tensorfl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tflite typed_tensor(), tensor()  (0) 2021.06.25
tflite yolov4  (0) 2021.06.14
tensorflow lite interpreter->AllocateTensors()  (0) 2021.05.26
tflite common.h  (0) 2021.05.21
imx6q neon tensorlow lite  (0) 2021.05.10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21. 6. 9. 21:38

대충봐서는 랜선을 통해 고정밀 NT P를 구현하는 느낌인데..

어떤식으로 하드웨어가 구성되고

어떤식으로 정보를 입수하는진 감이 안오네..

 

[링크 : https://www.flirkorea.com/discover/iis/machine-vision/precision-system-synchronization-with-the-ieee-1588-precision-time-protocol-ptp/]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Precision_Time_Protocol]

 

+

[링크 : https://www.raspberrypi.org/forums/viewtopic.php?t=295829]

 

+ 210610

[링크 : 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PTP_implementations]

[링크 : https://github.com/raspberrypi/linux/issues/4151]

[링크 : https://cezacx2.tistory.com/1243]

 

 

'embeded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4 태워먹음 ㅠㅠ  (0) 2021.06.11
cm4 rtc pcf85063a  (0) 2021.06.10
raspivid camera select  (0) 2021.06.09
bmp280  (0) 2021.06.09
어?! 지름 망 ㅋㅋㅋ TEA5676  (0) 2021.06.09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21. 6. 9. 19:20

퇴근직전 30분 알차게 딴짓아닌 딴짓을 하고 있었는데

라즈베리 4 compute module 에 CSI 2개 동시 출력은 일단 cs 옵션을 찾아 성공

하지만 듀얼 모니터임에도 각각 모니터에 띄울수가 없어서 멘붕 중

--camselect,    -cs
Selects which camera to use on a multi-camera system. Use 0 or 1.

[링크 : https://www.raspberrypi.org/documentation/raspbian/applications/camera.md]

 

 

dn 옵션까진 찾았는데 0,1,2 만 시도했는데 안되서 좌절..

There was this commit. I think it can be done by just adding "-dn 7" to raspivid to display the preview on the second HDMI monitor.

[링크 : https://www.raspberrypi.org/forums/viewtopic.php?t=298292]

 

7까지 갈 생각은 못했네 -_-

도대체 저 인덱스는 어디서 굴러나온건지 소스에서 봐도 이해가 안되네?

Allows options like -dn 7 to push the preview onto HDMI1.
Values are Dispmanx display enums, therefore predominantly
0 = DSI/DPI LCD
2 = HDMI0
3 = SDTV
7 = HDMI1
Behaviour should the chosen display not be present should be to
revert to the primary display that is present.

[링크 : https://github.com/raspberrypi/userland/commit/2549c149d8aa7f18ff201a1c0429cb26f9e2535a]

 

+

2021.06.10

-dn 7 하니 HDMI1로 출력 잘된다.

다만 -3d sbs 옵션을 하는데 단일 카메라로만 되서

2개 카메라를 scaling 후 합치는건 따로 소스를 수정해 봐야 할지도?

'embeded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4 rtc pcf85063a  (0) 2021.06.10
ETH SYNC / IEEE 1588 / PTP  (2) 2021.06.09
bmp280  (0) 2021.06.09
어?! 지름 망 ㅋㅋㅋ TEA5676  (0) 2021.06.09
cm4 io board / rpiboot  (2) 2021.06.09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21. 6. 9. 19:18

글들을 찾다보니 BME 시리즈를 알게 되었는데 얘는 습도까지 측정이 가능하다고.

[링크 : https://zelkun.tistory.com/entry/024-Arduino-아두이노-bme280-bmp280-센서모듈...]

 

일단 라이브러리는 찾았는데.. 언제 써보나?

[링크 : https://github.com/pimoroni/bmp280-python]

 

새끼 손톱 정도 크기인데

오른쪽 보드는 BMP280 보드. 얘는 그래도 2.54mm 인데 TEA5767은 2.0mm 피치 인듯.

그나저나 5개 정도 핀.. 커야 12mm * 12mm 인데 내 실력으로는 납땜이 불가능 ㅠㅠ

 

BMP280은  BMP180 보다 더 작아지고 전기도 더 조금 먹고 더 정밀해졌다.

[링크 : https://cdn-shop.adafruit.com/datasheets/BST-BMP280-DS001-11.pdf]

 

+

2021.06.12

거실 온도계는 25도. 포탈상의 온도는 22도.

일단 그래도 집에 있는 빨간색 구형 온도계 믿을만 하겠지?

bmp180 보다는 신뢰할만한 값인것 같은데. 땜질하다 열 받아서 그런 오차값이 나온걸까? 아니면 장비 편차일까?

$ python3 temperature-and-pressure.py
temperature-and-pressure.py - Displays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Press Ctrl+C to exit!


23.85*C 875.68hPa
25.99*C 1009.53hPa
26.00*C 1009.53hPa
26.01*C 1009.54hPa
26.02*C 1009.53hPa
26.02*C 1009.53hPa
26.02*C 1009.53hPa

 

$ python3 ./dump-calibration.py
dump-calibration.py - Dumps calibration data.

Press Ctrl+C to exit!


dig_p1 = 36547
dig_p2 = -10872
dig_p3 = 3024
dig_p4 = 665
dig_p5 = 345
dig_p6 = -7
dig_p7 = 15500
dig_p8 = -14600
dig_p9 = 6000
dig_t1 = 28077
dig_t2 = 26730
dig_t3 = -1000

 

$ python3 ./relative-altitude.py
relative-altitude.py - Calculates relative altitude from pressure.

Press Ctrl+C to exit!


Collecting baseline values for 100 seconds. Do not move the sensor!

Relative altitude: -0.32 metres
Relative altitude: -0.30 metres
Relative altitude: -0.19 metres
Relative altitude: -0.18 metres
Relative altitude: -0.22 metres
Relative altitude: -0.10 metres

 

두 녀석은 왜 안되는걸까?

$ python3 ./compensated-temperature.py
compensated-temperature.py - Use the CPU temperature to compensate temperature
readings from the BMP280 sensor. Method adapted from Initial State's Enviro pHAT
review: https://medium.com/@InitialState/tutorial-review-enviro-phat-for-raspberry-pi-4cd6d8c63441

Press Ctrl+C to exit!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ompensated-temperature.py", line 36, in <module>
    cpu_temp = get_cpu_temperature()
  File "./compensated-temperature.py", line 28, in get_cpu_temperature
    return float(output[output.index('=') + 1:output.rindex("'")])
TypeError: argument should be integer or bytes-like object, not 'str'

 

$ python3 ./temperature-forced-mode.py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temperature-forced-mode.py", line 16, in <module>
    bmp280.setup(mode="forced")
TypeError: setup() got an unexpected keyword argument 'mode'

'embeded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H SYNC / IEEE 1588 / PTP  (2) 2021.06.09
raspivid camera select  (0) 2021.06.09
어?! 지름 망 ㅋㅋㅋ TEA5676  (0) 2021.06.09
cm4 io board / rpiboot  (2) 2021.06.09
라즈베리 Zero용 CSI FPCB 케이블 도착  (0) 2021.06.08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21. 6. 9. 17:31

TEA5676 크진 않을거라고 생각했지만

그래도 보드까지 해서 1cm 정도 밖에 안되면 내 똥손으로는 땜을 할 수 가 없잖아 ㅠㅠ

아무튼 다른 보드랑 비교해보니 2mm pitch 핀헤더 1개 정도 되니 대충 12mm * 12mm 정도 되는 느낌.

 

[링크 : https://os.mbed.com/users/edodm85/notebook/radio-fm-tea5767/]

 

+

2022.08.08

[링크 : https://ko.aliexpress.com/item/1833463780.html?spm=a2g0o.ppclist.product.4.2275Gtd2Gtd2jm&pdp_npi=2%40dis%21KRW%21%E2%82%A9%201%2C873%21%E2%82%A9%2019%21%21%21%21%21%402101d1c316599250757271873ebc61%2151070340715%21btf&_t=pvid%3A5838401c-83f3-46ef-8232-97347aa07f20&afTraceInfo=1833463780__pc__pcBridgePPC__xxxxxx__1659925075&gatewayAdapt=glo2kor]

'embeded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spivid camera select  (0) 2021.06.09
bmp280  (0) 2021.06.09
cm4 io board / rpiboot  (2) 2021.06.09
라즈베리 Zero용 CSI FPCB 케이블 도착  (0) 2021.06.08
라즈베리 i2c 센서 작동 확인  (0) 2021.06.05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