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사용'에 해당되는 글 2314건

  1. 2023.02.10 cifs mount 실패시 설치 패키지
  2. 2023.02.07 FFT 분석 기법
  3. 2023.01.26 gcc tree vectorize
  4. 2023.01.05 minicom lf에 cr 붙이기
  5. 2022.12.07 cmake ninja, cmake 옵션주기
  6. 2022.12.06 gcc fstack-protector-strong
  7. 2022.11.16 fft window 함수
  8. 2022.11.16 fftw @ 22Hz sine파 대충 돌려보니
  9. 2022.11.08 libvncserver without password
  10. 2022.11.04 real to complex

cifs 마운트 하려는 데 아래와 같은 이상한(?) 에러가 뜨길래 찾아보니

mount: /mnt: bad option; for several filesystems (e.g. nfs, cifs) you might need a /sbin/mount.<type> helper program.

 

아래와 같은 패키지가 설치되지 않으면 마운트가 안된다고 한다.

samba 패키지는 서버/클라이언트라 마운트랑 상관이 없다.

$ sudo apt install cifs-utils

[링크 : https://askubuntu.com/questions/946132/error-mounting-samba-network-drive-wrong-fs-type-bad-option]

'프로그램 사용 > SMB(Samba)'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s samba warn  (0) 2019.03.17
smb 와 selinux 설정  (0) 2019.02.14
smb 서비스 속도향상하기(SSD-bcache, AIO)  (0) 2019.02.01
samba acpi s3 wake up  (0) 2017.08.11
삼바 서버 자동 접속 끊기(timeout) - 검색중  (0) 2017.05.31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 > fft, fftw' 카테고리의 다른 글

FFT 윈도우, 오버랩  (0) 2023.03.23
cabs()  (0) 2023.02.15
fft window 함수  (0) 2022.11.16
fftw @ 22Hz sine파 대충 돌려보니  (0) 2022.11.16
real to complex  (0) 2022.11.04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gcc2023. 1. 26. 19:55

필수

-O3 -ftree-vectorize

(-O2 에서는 -ftree-vectorize가 적용되지 않는다.)

 

옵션(?)

-mfpu=neon -fopt-info-vec[-all]

 

neon을 지정안해주어도 cortex-a9 에서 vfp로 되는진 모르겠지만

약간 변환되는게 있고

neon을 지정해주면 많이 늘어난다

 

[링크 : https://developer.arm.../Compiling-NEON-Instructions/Vectorization/Enabling-auto-vectorization-in-GCC-compiler]

'프로그램 사용 > gcc'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c cortex-a9 double형 neon 연산 가속  (3) 2023.08.08
gcc fstack-protector-strong  (0) 2022.12.06
gcc vectorization 실패  (0) 2022.06.02
gcc / 문자열 선언  (0) 2022.03.17
static link  (0) 2022.02.07
Posted by 구차니

Add carriage Return을 활성화 해주면 자동으로  lf에 cr을 붙여주는 듯.

(ctrl - a,z - u)

 

[링크 : https://unix.stackexchange.com/questions/283924/]

'프로그램 사용 > minic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nicom color  (0) 2024.11.06
minicom에서 stty로 터미널 폭 조절하기  (0) 2023.10.24
minicom 16진수로 보기  (0) 2022.08.25
minicom 로그 저장하기  (0) 2021.09.16
minicom timestamp  (0) 2021.09.16
Posted by 구차니

-G Ninja 하면 Makefile 이 생성되지 않고 build.ninja만 생성된다.

빌드시 자잘한(?) 옵션은 -Doption=value 식으로 주면 ok

cmake.exe -G "Ninja" -DBUILD_TESTING=ON -DCMAKE_CXX_COMPILER=ccache

[링크 : https://github.com/LibVNC/libvncserver/issues/448]

'프로그램 사용 > make, config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kefile 매크로(?)  (0) 2023.08.28
make 조건식  (0) 2023.08.16
cmake 옵션 확인  (0) 2021.01.20
cmake 빌드 에러시  (0) 2021.01.19
make order  (0) 2016.06.16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gcc2022. 12. 6. 16:59

fno 되어있어서 웬지 눈에 익숙한 느낌인데 

-fno-stack-protector

 

새로운게 보여서 찾아보니

말 그대로 stack 오버런이 발생하는지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고 한다.

[링크 : https://m.blog.naver.com/neos_rtos/220688072708]

[링크 : https://developer.arm.com/documentation/101754/0618/armclang-Reference/armclang-Command-line-Options/-fstack-protector---fstack-protector-all---fstack-protector-strong---fno-stack-protector]

'프로그램 사용 > gcc'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c cortex-a9 double형 neon 연산 가속  (3) 2023.08.08
gcc tree vectorize  (0) 2023.01.26
gcc vectorization 실패  (0) 2022.06.02
gcc / 문자열 선언  (0) 2022.03.17
static link  (0) 2022.02.07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 > fft, fftw'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bs()  (0) 2023.02.15
FFT 분석 기법  (0) 2023.02.07
fftw @ 22Hz sine파 대충 돌려보니  (0) 2022.11.16
real to complex  (0) 2022.11.04
fftw wisdom  (0) 2022.11.04
Posted by 구차니

요건.. sin() 함수를 이용해서 만든 입력 신호(원본)

대충.. 22.5Hz 되는 것 같은데..

 

fftw 결과의 첫번째 값.. 이게 허수부인지 실수부인지 모르겠다

a+bi 식이니 a 쪽이라 실수부 라고 봐야 할 것 같긴한데..

 

앞 부분만 잘라서 보니 대충.. 22 근처에 피크 하나 발생

 

요건.. 아마도 허수부

 

실수부와는 반대 형태로 발생

 

sqrt(a^2 + b^2) 로 계산해보니

 

23 앞뒤로 샤프하게 주파수 하나 발생한게 보이긴 한데..

 

이걸 10*log(n) 으로 줘보니.. 40dB 라고 보면 되려나? 단위가 어떻게 되는지 감이 안온다.

 

부분만 보면.. 23 근처에 peak로 뜨긴 한데..

 

16000sampling/sec 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생성한거라..

결과로 나오는 8khz 대역중 22hz 하나에 peak로 뜨는건.. 너무 무리하게 sharp한 결과를 바라는것 같고..

아니면 window 크기를 조절해서 더 샤프하게 분석이 가능한가 궁금하기도 하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675457/how-to-generate-the-audio-spectrum-using-fft-in-c#comment5156988_4675457

+

The data is an array of type fftw_complex, which is by default a double[2] composed of the real (in[i][0]) and imaginary (in[i][1]) parts of a complex number.

[링크 : https://www.fftw.org/fftw3_doc/Complex-One_002dDimensional-DFTs.html]

 

 복소수(複素數, 영어: complex number)는 {\displaystyle a+bi}a+bi ({\displaystyle a,b}a,b는 실수) 꼴의 수이다.

[링크 : https://ko.wikipedia.org/wiki/복소수]

'프로그램 사용 > fft, fftw' 카테고리의 다른 글

FFT 분석 기법  (0) 2023.02.07
fft window 함수  (0) 2022.11.16
real to complex  (0) 2022.11.04
fftw wisdom  (0) 2022.11.04
FFT  (0) 2022.10.24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NC2022. 11. 8. 15:23

 

 

int main(int argc,char** argv)
{
  rfbScreenInfoPtr rfbScreen = rfbGetScreen(&argc,argv,maxx,maxy,8,3,bpp);
  if(!rfbScreen)
    return 1;
  rfbScreen->desktopName = "LibVNCServer Example";
  rfbScreen->frameBuffer = (char*)malloc(maxx*maxy*bpp);
  rfbScreen->alwaysShared = TRUE;
  rfbScreen->ptrAddEvent = doptr;
  rfbScreen->kbdAddEvent = dokey;
  rfbScreen->newClientHook = newclient;
  rfbScreen->httpDir = "../webclients";
  rfbScreen->httpEnableProxyConnect = TRUE;

[링크: https://github.com/LibVNC/libvncserver/blob/master/examples/example.c]

 

    server->authPasswdData = (void *)passwords;
    server->passwordCheck = rfbCheckPasswordByList;

[링크 : https://libvnc.github.io/doc/html/structrfb_screen_info.html#a0d709aef47e215065642eb6d0f6de633]

'프로그램 사용 > VNC'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bvncserver 기본 인자  (0) 2022.11.04
libvncserver 종료 절차  (0) 2022.11.01
libvncserver 로그인  (0) 2022.09.26
libvncserver 접속 끊어짐 문제  (0) 2022.08.16
libvncserver websocket example  (0) 2022.08.12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 > fft, fftw' 카테고리의 다른 글

fft window 함수  (0) 2022.11.16
fftw @ 22Hz sine파 대충 돌려보니  (0) 2022.11.16
fftw wisdom  (0) 2022.11.04
FFT  (0) 2022.10.24
fftw 예제 와 복소수 처리  (0) 2022.10.19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