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사용/GIMP2010. 1. 13. 21:01
GIF로 저장하기에 애니메이션으로 저장이 보이길래, 가능한가 해서 한번 해보게 되었다.
문제의 GIF 저장화면 - 애니메이션으로 저장

레이어 별로 1프레임으로 저장되며,
아래 레이어부터 위 레이어 순으로 애니메이션 순서로 지정된다.

프레임별로 시간을 지정할수는 없으며,
마지막 저장단계에서 프레임별 시간을 지정해줄 수 있다.


사족 : 물론.. 앞에 것과 마찬가지로 노가다다. 그냥  BeeGIF 쓰는게 나을듯
2009/12/13 - [프로그램 사용] - BeeGIF - 대박 GIF 프로그램!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GIMP2010. 1. 13. 20:58
도장이라던가 이런건 배경이 투명하면 쓰기 좋으니(ppt라던가 doc에 첨부시)
GIMP로 한번 끄적여서 만들어 보게 되었다... (아 귀찮아 -ㅁ-)


Step 1. 이미지를 열고, 레이어를 하나 만들어 준 후,
           이미지를 전체 선택한뒤 잘라내기 + 붙여넣기 하면 "떠있는 선택(붙여 넣은 레이어)" 가 되는데
           "레이어 - 레이어 고정(A)" 을 눌러 새 레이어로 만들어 준다.
           그리고 배경 레이어는 전체 선택후 삭제하고, 눈을 클릭해서 보이지 않도록 설정한다.




Step 2. 투명하게 할 부분을 잘 선택하고 나서 삭제한다.



Step 3. 파일을 저장하되 확장자를 GIF로 해주면 아래와 같은 대화상자가 열린다.
           "보이는 레이어 합치기"를 선택후 내보내기(E)를 클릭한다.


Step 4. 윈도우 기본 내장 이미지 뷰어로 보면 배경이 흰색으로 나온다.(분간이 안됨)



Step 5. 파워포인트에 아무거나 그리고 파일을 드래그 해서 이미지를 표시한 화면.
           위에서 흰색으로 나왔던 부분이 투명하게 적용된것을 알수있다.



주의사항: GIF는 256컬러가 한계이므로, 색상이 많은 사진을 투명으로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사족 : 어려운데 왜 이걸로 하냐고 하면, 그냥 가능한 방법을 찾아보고 싶었을뿐.. 이라고 대답할수 밖에 -ㅁ-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busybox2010. 1. 12. 13:39
# ps
  PID USER       VSZ STAT COMMAND
    1 root      3120 S    init
    2 root         0 SW<  [ksoftirqd/0]
    3 root         0 SW   [watchdog/0]
    4 root         0 SW<  [events/0]

STAT의 값들을 보면 ps의 BSD style의 내용과 같다.

PROCESS STATE CODES
Here are the different values that the s, stat and state output specifiers (header "STAT" or "S") will display to
describe the state of a process.
D    Uninterruptible sleep (usually IO)
R    Running or runnable (on run queue)
S    Interruptible sleep (waiting for an event to complete)
T    Stopped, either by a job control signal or because it is being traced.
W    paging (not valid since the 2.6.xx kernel)
X    dead (should never be seen)
Z    Defunct ("zombie") process, terminated but not reaped by its parent.

For BSD formats and when the stat keyword is used, additional characters may be displayed:
<    high-priority (not nice to other users)
N    low-priority (nice to other users)
L    has pages locked into memory (for real-time and custom IO)
s    is a session leader
l    is multi-threaded (using CLONE_THREAD, like NPTL pthreads do)
+    is in the foreground process group

그냥.. 안드로메다 스타일인가? -ㅁ-

아무튼, busybox의 ps에는 priority가 나오지 않는다.
이경우 수작업으로 확인하려면, /proc/{pid}/stat의 19번째 항목을 확인하면 된다.

stat -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 used by the ps(1) command. Fields are:

1. pid - Process id
2. comm - The executable filename
3. state - R (running), S(sleeping interruptable), D(sleeping), Z(zombie), or T(stopped on a signal).
4. ppid - Parent process ID
5. pgrp - Process group ID
6. session - The process session ID.
7. tty - The tty the process is using
8. tpgid - The process group ID of the owning process of the tty the current process is connected to.
9. flags - Process flags, currently with bugs
10. minflt - Minor faults the process has made
11. cminflt - Minor faults the process and its children have made.
12. majflt
13. cmajflt
14. utime - The number of jiffies (processor time) that this process has been scheduled in user mode
15. stime - in kernel mode
16. cutime - This process and its children in user mode
17. cstime - in kernel mode
18. counter - The maximum time of this processes next time slice.
19. priority - The priority of the nice(1) (process priority) value plus fifteen.
20. timeout - The time in jiffies of the process's next timeout.
21. itrealvalue - The time in jiffies before the next SIGALRM is sent to the process because of an internal timer.
22. starttime - Time the process started after system boot
23. vsize - Virtual memory size
24. rlim - Current limit in bytes of the rss of the process.
25. startcode - The address above which program text can run.
26. endcode - The address below which program text can run.
27. startstack - The address of the start of the stack
28. kstkesp - The current value of esp for the process as found in the kernel stack page.
29. kstkeip - The current 32 bit instruction pointer, EIP.
30. signal - The bitmap of pending signals
31. blocked - The bitmap of blocked signals
32. sigignore - The bitmap of ignored signals
33. sigcatch - The bitmap of catched signals
34. wchan - The channel in which the process is waiting. The "ps -l" command gives somewhat of a list.

[링크 : http://www.comptechdoc.org/os/linux/howlinuxworks/linux_hlproc.html]

# cat /proc/2/stat
2 (ksoftirqd/0) S 1 1 1 0 -1 32832 0 0 0 0 0 332 0 0 10 -5 1 0 5 0 0 4294967295 0 0 0 0 0 0 2147483647 0 0 2314662996 0 0 17 0 0 0

아무튼 이녀석은 -5 nice 값을 가지고, 0보다 우선권을 가지므로 ps에서
<를 출력해서 다른 것들보다 우선순위가 높음을 나타낸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10. 1. 12. 01:14
VLC에서는 웹캠을 입력장치로(캡쳐장비) 인식한다.
입력받은 영상을 파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transcoding을 통해 저장하면 된다.
솔찍히 Amcap 등에 비하면 불편한 면이 없진 않다.


Step 1. 미디어 - 변환/저장 메뉴를 누른다.


Step 2. 갈무리 장치에서 웹캠을 선택하고 변환/저장을 누른다.


Step 3. 반드시 출력 표시를 체크하고 저장할 파일 이름을 고른후 저장할 포맷을 골라준다.
           (출력 표시를 누르지 않으면 화면은 스트리밍 하듯 아무런 화면도 나오지 않으니
           되도록이면 반드시 출력 표시를 설정하고 녹화를 하는것이 유리하다)


Step 4. 저장할 파일의 코덱은 귀찮으면 무난한
           Video - WMV + WMA(ASF)나
           Video - DIV3 + MP3(ASF)로 하면 용량도 적고 쓸만하다.


---

2015.02.17 추가

오랫만에 보니 UI가 꽤나 바뀌엇네...

이전과 거의 동일한데 마지막 단계에서 파일로 저장하기가 기존의 UI와 통합되었다


스트림 출력에서 Next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새 대상에 파일이 뜨고 추가를 눌러주면

찾아보기를 통해 원하는 위치를 지정하면 된다.

트랜스코딩이야 마음이지만.. cpu 성능을 꽤나 잡아 먹기에

되도록이면 MPEG TS부터 조금씩 CPU를 많이 먹는 녀석으로 한단계씩 올려보는 것이 좋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nfs2010. 1. 11. 18:10
mount -t nfs servername:directory local_directory
mount -t nfs serverip:directory local_directory

예를 들어
서버 이름이 ubuntu 이고 ip가 192.168.0.2 라면

mount -t nfs ubuntu:/home/ubunutu /mnt/nfs
mount -t nfs 192.168.0.2:/home/ubunutu /mnt/nfs

이런식으로 마운트 하면 된다.

[링크 : http://www.faqs.org/docs/linux_network/x-087-2-nfs.mountd.html]


만약에
Protocol not supported 에러가 발생한다면

-t nfs 대신
-t nfs4를 해보면 된다고 한다.


그것도 안되면 커널을 다시 빌드해야 한다.

File systems ---> Network File Systems
<*> NFS file system support
[  ]   Provide NFSv3 client support
[  ]   Provide NFSv4 client support (EXPERIMENTAL)

[링크 : http://www.lslnet.com/linux/edosc/36/linux-36266311.htm]

NFSv3 와 NFSv4를 체크해주면 된다. busybox 문제라기 보다는 커널의 문제이다.
Posted by 구차니
pivot table은 Microsoft office의 기능으로
오픈오피스에서는 pilot 이라는 기능으로 들어있다.

피벗으로 할 수 있는 건 데이터의 정렬?
간단하게는 가계부에서 카테고리별로 합계를 낸다거나 이러한 노가다 작업을 자동화 할 수 있다.



[링크 : http://openoffice.blogs.com/openoffice/2006/11/data_pilots_in_.html]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apache2010. 1. 11. 12:18
아파치에서 하는 xml graphic 프로젝트로
xml의 내용을 svg 포맷으로 변환하여 이미지로 출력하는듯 하다.
(머.. 웹서버 깔고 귀차니즘.. 확인안함)

사족 : 저~~얼대 웹브라우저에 탭을 하나 차지하고 있기에 이걸 없애려고 글쓴거라고 할수 없다고는 못함.

[링크 : http://xmlgraphics.apache.org/batik/using/dom-api.html]

'프로그램 사용 > apach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b - apache HTTP server benchmarking tool  (0) 2014.10.10
apache 특정 디렉토리만 인증하기  (0) 2013.04.09
500 internal server error - mediawiki 이전시  (0) 2011.12.18
apache - url rewrite  (2) 2011.04.26
webDAV  (0) 2010.11.19
Posted by 구차니
임베디드 개발하다보면, 크로스 컴파일은 밥먹듯 하는데..
가끔 황당한 오류가 바로 ld 관련 오류이다.

ntfs_3g_usermap-usermap.o: could not read symbols: File in wrong format
collect2: ld returned 1 exit status
make[2]: *** [ntfs-3g.usermap] Error 1
make[1]: *** [all-recursive] Error 1
make: *** [all] Error 2

이녀석은 ntfs-3g 라는 녀석인데, 크로스 컴파일을 하려니 이러한 오류가 발생했다.
조금은 뜬금없기도 하고, 옵션도 문제가 없는데 왜 이러냐면은..


원인 : 크로스 컴파일 이전에 컴파일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호스트에서(i686-linux) 컴파일을 이미 했기 때문!
해결 : 머. make clean 한번 하고 ./configure 다시 해주고..

결론 : 잊지말자 make clean!



사족 : File in wrong format 인건, 당연히 링커가 아키텍쳐가 다른 파일을 조작하려 하니 포맷을 알리가 ㅋㅋ
         이런 경우에는 갸우뚱 하지 말고 make clean 하고 다시 컴파일 하는게 상책이다.

'프로그램 사용 > 실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ssh 사용하도록 설정 실패  (0) 2009.05.10
xgprof - gnome based gprof GUI frontend  (0) 2009.04.27
ponyprog FC9에서 실행 실패 / avrdude 실패  (0) 2009.04.20
kscope OTL  (0) 2009.04.20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10. 1. 6. 11:26

http://m.youtube.com/ 에서 임의의 파일을 재생하려 하면
일단 rtsp 프로토콜에 연결된 프로그램이 없다고 오류가 발생한다.


그래서 VLC에서 재생하면 될 줄 알았더니..
오디오 코덱이 없어서 재생할수 없다고 오류를 발생한다.


[링크 : http://wiki.videolan.org/VLC_Features_Formats]

아무튼 VLC에 이 코덱이 없는건 아니지만, 법적인 문제로 이 코덱을 포함하지 못했으므로
소스를 받아 컴파일을 해서 써야 한다고 한다.
[링크 : http://forum.videolan.org/viewtopic.php?f=7&t=22318]

검색하다 보니 QuickTime 에서도 된다고 하는데,
rtsp 주소를 복사하는 바람에 안되는건지, 아무튼 최신버전을 깔아도 안된다.



20100113 추가
[링크 :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178455]

'프로그램 사용 > VLC'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C configure --help  (0) 2010.01.13
VLC로 웹캠 녹화하기  (4) 2010.01.12
VLC 웹 인터페이스 원격지에서 안될경우  (2) 2009.12.08
VLC를 이용한 웹캠보기  (0) 2009.12.02
VLC 네트워크 플레이 옵션  (4) 2009.11.25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2010. 1. 5. 10:58
웹브라우저에서 모든 영상과 이미지를 video wall 형식으로 보여주는 녀석이다.
윈도우용 Firefox와 IE를 지원한다.(크롬은 베타)

단점 : 한글지원 미흡 / 오프라인 사용불가 / 지원되는 홈페이지가 많지 않음 / 브라우저 지원폭이 좁음



아무튼 cooliris에 빠져 봅시다~!

^ 요녀석
Firefox 에서는 설치하면 검색탭 오른쪽에 런쳐 아이콘이 추가된다.
일단 이 아이콘을 눌러준다 쿡!


휠로 밀어서(위로) 줌아웃/ 휠로 땡겨서(아래) 줌인하면
위와 같이 미리보기 식으로 사용할수도 있다.


그중 하나의 이미지나 동영상을 더블 클릭하면 전체화면이나 동영상 재생이 시작된다.


왼쪽의 My Computer 탭을 이용하면 로컬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이미지를 wall 형식으로 볼 수 있다.(오프라인에서 사용불가)


좌우로 드래그 하거나 아래의 파란색 스크롤 바를 좌우로 움직이면
이런식으로 애니메이션 되어 연속적으로 볼수 있다.


파워 블로거들의 대세를 따라(?) 위의 검색을 youtube로 바꾸고 '소녀시대'로 검색한 화면
한글지원에 문제가 있는지, 한글이 보이지는 않지만 검색은 되어나온다.
(술은 먹었지만 운주운전은 아닌것과 같은 느낌 -ㅁ-)



cooliris.com 으로 IE에서 접속하니 IE에서도 사용 가능하단다!!


[링크 : https://addons.mozilla.org/ko/firefox/addon/5579] <- 파폭 유저
[링크 : http://www.cooliris.com/static/releases/cooliris-win-iefull-release-1.11.6.31225.en-US.msi] <- IE7,8 유저

[링크 : http://www.cooliris.com/product/?ref=start]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