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이 조금 낚시인가?
윈도우에서 net view 라고 명령창에서 치면 현재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목록이 나오는데
특정 호스트를 nbtstat -a [hostname] 으로 하면 목록이 나오는데,
거기에 <1D> 라는 녀석이 있는게 (로컬) 마스터 브라우저이다.

C:\>nbtstat -a localhost

로컬 영역 연결:
Node IpAddress: [192.168.10.96] Scope Id: []

           NetBIOS Remote Machine Name Table

       Name               Type         Status
    ---------------------------------------------
    LOCALHOST      <00>  UNIQUE      Registered
    LOCALHOST      <03>  UNIQUE      Registered
    LOCALHOST      <20>  UNIQUE      Registered
    WORKGROUP      <1E>  GROUP       Registered
    WORKGROUP      <00>  GROUP       Registered

    MAC Address = 00-00-00-00-00-00


workgroup
or
nt_domain
<1B> unique Domain Master Browser
This name identifies the Domain Master Browser (DMB).

A Samba server can behave as a DMB without also being a Primary Domain Controller (PDC). The existence of a PDC promotes the Workgroup to NT Domain status, in which case we write nt_domain<1B> instead of workgroup<1B>. If there is a PDC, it must provide the DMB service for the NT Domain.

Domain Controllers (both Primary and Backup) register the nt_domain<1C> Internet Group name. Registration of the nt_domain<1B> name effectively distinguishes the PDC from all of the other DCs in the domain. The NBNS will ensure that the IP address of the (unique) <1B> name is the first in the list of IP addresses

nt_domain <1C> Internet group Domain Controller
Every domain controller in the NT Domain will register this group name. The NBNS (WINS server) is expected to store all of the IP addresses associated with the name, though it will report at most 25 IP addresses in a NAME QUERY RESPONSE.

The first entry in the list should be the IP address of the Primary Domain Controller (PDC). The rest of the IPs are ordered most recent first. This is atypical handling for group names under WINS. WINS (and, therefore, any NBNS which is WINS-compatible) will usually report only the limited broadcast address (255.255.255.255) when queried for a group name.

workgroup <1D> LAN unique Local Master Browser
This name identifies the Local Master Browser (LMB, sometimes called simply "Master Browser") for a subnet. WINS servers (and any NBNS which is WINS-compatible) will accept registration for <1D> unique names, but when queried will always reply with a NEGATIVE NAME QUERY RESPONSE. As a result, the LMB name is unique within its local subnet only.
workgroup <1E> group Browser Election Service
Every node that is capable of acting as a browser registers this group name so that it can listen for election announcements.
\x01\x02__MSBROWSE__\x02 <01> group Local Master Browser
This group name is registered by all Local Master Browsers (LMBs). It allows LMBs on a local LAN to find one another in order to exchange Browse Lists. This is how Browse Lists for multiple Workgroups and/or NT Domains are combined.


[링크 : http://www.antionline.com/showthread.php?t=247089]
[링크 : http://ubiqx.org/cifs/Appendix-C.html]
Posted by 구차니

deadtime (G)


The value of the parameter (a decimal integer) represents the number of minutes of inactivity before a connection is considered dead, and it is disconnected. The deadtime only takes effect if the number of open files is zero.

This is useful to stop a server's resources being exhausted by a large number of inactive connections.

Most clients have an auto-reconnect feature when a connection is broken so in most cases this parameter should be transparent to users.

Using this parameter with a timeout of a few minutes is recommended for most systems.

A deadtime of zero indicates that no auto-disconnection should be performed.

Default: deadtime = 0

Example: deadtime = 15



keepalive (G)


The value of the parameter (an integer) represents the number of seconds between keepalive packets. If this parameter is zero, no keepalive packets will be sent. Keepalive packets, if sent, allow the server to tell whether a client is still present and responding.

Keepalives should, in general, not be needed if the socket has the SO_KEEPALIVE attribute set on it by default. (see socket options). Basically you should only use this option if you strike difficulties.

Default: keepalive = 300

Example: keepalive = 600



[링크 : http://us1.samba.org/samba/docs/man/manpages-3/smb.conf.5.html]

아래의 문서에서 keepalive 와 deadtime 발견
[링크 : http://xbmc.org/forum/showthread.php?t=312]

deadtime은 분단위로,
keepalive는 초단위로 설정한다.


Posted by 구차니
첫째... 삼바 계정 공유에 쓰기 권한이 없는 경우...
둘째... 삼바 계정과 공유한 디렉토리의 소유권이 다른 경우.
세째... 삼바 계정이 해당 공유 디렉토리에 쓰기 권한 없는 경우

[링크 : http://kldp.org/node/64194]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i2009. 10. 29. 15:17
FC6 사용자인데(응?)
root로 들어가서 vi를 하면 아무리 해도 Syntax High light가 작동하지를 않는다.
물론 whereis로 검색을 해봐도 vi는 하나뿐인데 왜그런가 해서 검색을 해봤더니



Ok, I fixed it... all I had to do was to add an alias for vi pointing to /usr/bin/vim in my /root/.bashrc file. Root was using /bin/vi which is the Small version, while other accounts were aliasing vi as vim, which is why it was working... I was also able to get syntax to work as root by using just "vim filename" instead of vi... Silly me... Thanks for pointing me in the right direction Tony! :)

[링크 : http://www.nabble.com/Unable-to-get-syntax-highlighting-to-work-for-root-account-td15767467.html]

$ alias
alias l.='ls -d .* --color=tty'
alias ll='ls -l --color=tty'
alias ls='ls --color=tty'
alias mc='. /usr/share/mc/bin/mc-wrapper.sh'
alias vi='vim'
alias which='alias | /usr/bin/which --tty-only --read-alias --show-dot --show-tilde'

일반 유저에서 alias를 실행해보니, vi가 설정되어 있었다.
그런데 root는 이러한 부분이 없었다.

# alias
alias cp='cp -i'
alias l.='ls -d .* --color=tty'
alias ll='ls -l --color=tty'
alias ls='ls --color=tty'
alias mc='. /usr/share/mc/bin/mc-wrapper.sh'
alias mv='mv -i'
alias rm='rm -i'
alias which='alias | /usr/bin/which --tty-only --read-alias --show-dot --show-tilde'

root는 안전을 위해 rm이나 mv에 -i(interative) 옵션을 기본으로 붙이게 해놨다.

'프로그램 사용 > vi'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 에서 명령어 실행하기  (0) 2010.01.28
vi set commands  (0) 2010.01.27
vimdiff  (0) 2009.10.29
VI 자동 줄 정렬  (0) 2009.10.06
vi auto indent  (0) 2009.10.06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i2009. 10. 29. 14:54
vi 스타일의 syntax highlight를 지원하는 diff 프로그램이다.
(말만 거창하지 간단하게 말하면 윈도우용 diff 프로그램처럼 나온다는 의미)



[링크 : http://amjith.blogspot.com/2007/07/visual-diff-tools-in-linux.html]
[링크 : http://linux.die.net/man/1/vimdiff]



1) vim a.c
2) :diffs b.c (:diffsplit b.c 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wJ

vi에서 diff 모드로 변환하는 방법

$ ll /usr/bin/vi*
-rwxr-xr-x 1 root root 2737228 Sep 29  2006 /usr/bin/vim
lrwxrwxrwx 1 root root       3 Jul 22 01:14 /usr/bin/vimdiff -> vim

vi는 리눅스 프로그램답게(?)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명을 바꿈으로
mode를 바꾸어 실행하는 trick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링크 : http://kldp.org/node/1155]



'프로그램 사용 > vi'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 set commands  (0) 2010.01.27
root는 왜 vi에서 컬러로 안나오나요?(how enable syntax high light on root)  (0) 2009.10.29
VI 자동 줄 정렬  (0) 2009.10.06
vi auto indent  (0) 2009.10.06
busybox 1.14.3 vi editor  (0) 2009.09.16
Posted by 구차니
컴퓨팅 환경 설정 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있는데

아래의 Maintain enough work for an additional 이라는 것이, WU을 미리 받아 놓는 것으로 생각이 된다.
기본값은 0.25인데 하루의 25% 즉 8시간 분량을 미리 받아 놓는 것이다.


boinc manager의 고급-환경설정에서 "네트워크 사용량"에 보면
추가 작업 버퍼라는 것이 존재하고 0.25일로 설정이 되어있다.

물론 웹기반으로 설정하고, 다운 받으면 설정이 바뀌겠지만,
한대만 별도로 설정을 하려면 이곳에서 설정을 바꾸어 주어도 된다.

'프로그램 사용 > BOINC - seti@ho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ti@home 랭킹  (2) 2009.11.09
BOINC 버전업  (0) 2009.11.04
BOINC 에서 GPU 항상 사용하도록 설정하기  (0) 2009.10.18
seti@home cuda 연산  (2) 2009.10.17
seti@home boinc cuda 연산  (0) 2009.10.17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iperf2009. 10. 22. 09:46
말그대로 대역폭을 측정하는 툴이라고 한다.
최대로 쑤셔넣고 테스트 하므로, 아무도 없는 시간에 하는데 좋다는 경고의 문구까지..
아무튼 linux 용이지만, 윈도우 버전도 있다고 하는데..
아직 써볼일은 없다 -ㅁ-
[링크 : http://muyoul.blogspot.com/2007/02/iperf.html]


[링크 : http://sourceforge.net/projects/iperf/]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Iperf]

'프로그램 사용 > iperf'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erf3  (0) 2023.07.28
iperf udp 테스트  (0) 2022.03.14
iperf로 100M 랜 / IEEE1394 대역폭 측정  (2) 2011.12.07
Posted by 구차니
아무생각없이

mount -t cifs -o user=guest,password=guest 로 했더니

 CIFS VFS: Send error in SessSetup = -13
 CIFS VFS: Send error in SessSetup = -13
mount: mounting \\server\share on /mnt/samba failed: Permission denied

이런 에러가 발생한다.

아무튼 제어판 - 관리도구 - 컴퓨터 관리 에서 확인해보니

Guest User 등록 정보

Guest Group 등록 정보

아무튼 검색을 해보니, 기본적으로 윈도우 간에 파일 공유는 guest 로 로그인을 한다고 하는데,
윈도우 끼리는 접속이 되는데 삼바에서는 guest로 접속이 되지 않는다. 흐음.. 기본 암호가 다르게 쳐서 그런가?

아무튼 guest 대신에 임의의 아이디를 만들면 접속에 이상이 없다.
Posted by 구차니

고급 - 환경설정 에 들어오면 위의 화면이 나오는데,
왜 3분 냅둬야 그렇게 되었는지 궁금했는데.. 위의 설정에 나와있었다.. OTL
아.. 죠낸 부끄부끄 *-_-*

아무튼 "컴퓨터를 사용하는 동안 GPU 사용" 에 체크를 하면 항상 GPU로 연산을 한다.
(체감상으로.. 파이어폭스도 조금 버벅대지는 느낌이.. OTL)

[링크 : http://210.218.8.126/zseti/zboard.php?id=setihelp&no=4810]

'프로그램 사용 > BOINC - seti@ho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INC 버전업  (0) 2009.11.04
seti@home boinc manger 설정하기 - WU 미리 받아 놓기  (0) 2009.10.28
seti@home cuda 연산  (2) 2009.10.17
seti@home boinc cuda 연산  (0) 2009.10.17
cuda로 돌린 credit  (0) 2009.10.16
Posted by 구차니
BOINC에서 CUDA는  2~3분 동안 키보드 / 마우스 입력이 없으면 가동하기 시작한다.

  2:40:18 2:40:20 2:40:23 2:40:25
CPU 22.827 22.834 22.845 22.848
  0.007 0.011 0.003
CPU 18.912 18.92 18.929 18.932
  0.008 0.009 0.003
GPU 14.197 14.378 14.539 14.659
  0.181 0.161 0.12

사진이 연사가 안되서 -ㅁ- 2초에 한번 대충 찍혔는데
CPU로는 1초에 0.003 정도 오르던게
GPU로는 0.06 정도 오른다. GPU가 대략 20배 이상 빨리 오른다.




촛점 안 맞으니 열심히 보진 말고 대충 저 %가 올라가는 매너 없는 속도를 감상!


 시작 차이 %/sec
CPU 23.5590 23.6540 0.0950 0.0026
CPU 19.4100 19.5000 0.0900 0.0025
GPU 25.0510 27.0260 1.9750 0.0549




boinc cuda faq에 의하면

Q) Does SETI@home run GPU and CPU versions simultaneously?
    No. If BOINC determines your CPU is capable of running the CUDA version,
    only the CUDA version of SETI@home will run. One copy will run on each GPU you have installed.
    If you want to keep your CPUs occupied at the same time, you can join another BOINC project.

    The BOINC developers expect the capability to run CPU and GPU jobs simultaneously
    for the same application will be added in the next couple months.

[링크 : http://setiathome.berkeley.edu/cuda_faq.php]

라고 되어있는데, 언제 마지막 수정되었는지 안나와있지만, 동시에 CPU / GPU가 가동되도록 패치는 된 듯 하다.
이런 잠수함 패치 같으니라구 ㄱ-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