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사용/nfs2009. 12. 22. 17:26
검색은 해봤지만, 딱히 추천할 만한 조합은 아니라고 한다.

NFS is known for having locking problems. That is why it is never used for shared directories. Usually you would mount an NFS directory read only or as a home folder where only one user can open and lock each file.

I recommend dropping NFS and using only Samba shares. Samba handles file locking very well and it also has user authentication whereas NFS handles only host based authentication. Plus Windows utilities for NFS are very rare and poor in design.

Samba is called The NFS Bloodbath. NFS has litteraly been fazed out by Samba. Another very promissing file sharing method is sshfs which is user based and with high encryption (excellent sharing directories over WAN connections).

[링크 :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linux-software-2/samba-on-nfs-file-locking-476005/]

No, it will always be both slower and more dangerous to run Samba on an
NFS client.  Slower, because the traffic must traverse 2 network links.
More dangerous, because Samba cannot detect NFS access to the files it
shares, and therefore Oplocks break.

Always run just one file-server, sharing out multiple protocols (if possible).


[링크 : http://www.unixresources.net/linux/lf/56/archive/00/00/06/13/61337.html]


아무튼 현재 겪고 있는 증상은,
smbtree 명령을 이용해서 NFS Client에서 네트워크를 검색하면
\\LOCALHOST와 NFS 서버의 이름만 나온다는 점이다.
Posted by 구차니
SPNEGO (Simple and Protected GSSAPI Negotiation Mechanism) is a GSSAPI "pseudo mechanism" that is used to negotiate one of a number of possible real mechanisms.

NTLMSSP (NT LAN Manager Security Support Provider) is a binary messaging protocol used by the Microsoft Security Support Provider Interface to facilitate NTLM challenge-response authentication and to negotiate integrity and confidentiality options.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SPNEGO]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NTLMSSP]



# smbtree -N
added interface eth0 ip=192.168.10.116 bcast=192.168.10.255 netmask=255.255.255.0
Connecting to host=192.168.10.10
Connecting to 192.168.10.10 at port 445
Connecting to 192.168.10.10 at port 139
Doing spnego session setup (blob length=58)
got OID=1.3.6.1.4.1.311.2.2.10
got principal=NONE
Got challenge flags:
Got NTLMSSP neg_flags=0x608a8215
NTLMSSP: Set final flags:
Got NTLMSSP neg_flags=0x60088215
NTLMSSP Sign/Seal - Initialising with flags:
Got NTLMSSP neg_flags=0x60088215
SPNEGO login failed: Logon failure
name_resolve_bcast: Attempting broadcast lookup for name __MSBROWSE__<0x1>
Got a positive name query response from 192.168.10.2 ( 192.168.10.2 )
Got a positive name query response from 192.168.10.241 ( 192.168.10.241 )
Connecting to host=192.168.10.97
Connecting to 192.168.10.97 at port 445
Doing spnego session setup (blob length=16)
server didn't supply a full spnego negprot
Got challenge flags:
Got NTLMSSP neg_flags=0x628a8215
NTLMSSP: Set final flags:
Got NTLMSSP neg_flags=0x60088215
NTLMSSP Sign/Seal - Initialising with flags:
Got NTLMSSP neg_flags=0x60088215
SPNEGO login failed: Logon failure

smbtree에서 트리를 못 받아와서
log level = 3 으로 해서 출력을 해보니 기묘한 약자가 나와서 조사를 해보았다.
(그런데.. 해결책은 어디로.. OTL)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nfs2009. 12. 19. 11:25
공식문서는 발견하지 못했는데
간단하게 설명을 하자면,  NFS 공유를 통해 열어 놓은 파일을 삭제했을때
파일을 삭제하기 위해 임시 파일을 만든후,
원본을 삭제하고, 이미 공유중인 파일은 숨겨진 파일로 공유가 되는것으로 생각이 된다.

When files on an nfs shared filesystem are deleted while processes still have them open,
the nfs server renames them to .nfsXXXXX files.
Find those processes and make them close the shared files before you delete them.

[링크 : http://unix.derkeiler.com/Newsgroups/comp.unix.aix/2006-04/msg00094.html]

This is quite common -- the file you are trying to delete is still
open, and because of that the NFS server has to keep it around,
so it renames the file to .nfs

You need to figure out what's holding the file open. It could be
that there is a process that is still using it, or it could be that
the file is actually a shared library which got "stuck" in memory.

[링크 : http://dbaspot.com/forums/aix/345512-hidden-nfs-files-aix5-2-a.html]


결론은, 임베디드 개발을 위해 사용하는 NFS에서 이러한 파일들이 생성될 경우 그냥 삭제해주어도 상관은 없다.
Posted by 구차니
smb.conf 파일에서

log level = [0..100]

으로 설정하면 된다.
(소스 상에서는 100까지 존재한다.)

[링크 : http://www.samba.org/samba/docs/man/Samba-HOWTO-Collection/bugreport.html]


Option

Parameters

Function

Default

Scope

log file

string (fully-qualified filename)

Sets the name and location of the log file that Samba is to use. Uses standard variables.

Specified in Samba makefile

Global

log level

(debug level)

numerical (0-10)

Sets the amount of log/debug messages that are sent to the log file. 0 is none, 3 is considerable.

1

Global

max log size

numerical (size in KB)

Sets the maximum size of log file. After the log exceeds this size, the file will be renamed to .bak and a new log file started.

5000

Global


이 문서에 의하면 [0...10] 그리고 기본은 1이라고 한다.
[링크 : http://oreilly.com/catalog/samba/chapter/book/ch04_08.html#ch04-92838]



참고로 10 level로 하면 로그파일의 용량이 대책이 서지않는다.
디버깅 용도라며나 max log size를 기본값으로 사용하거나, 적절하게 키워주는 것이 좋을듯 하다.
(단지 브라우징하고, 파일 하나 복사하는데 1.5MB의 로그 파일이 생성되었다.)
Posted by 구차니


Step 1. 일단 아래의 한글언어팩을 다운받는다.
           http://www.sugarforge.org/projects/koreanlanguage

Step 2. 위의 언어팩을 다운받고, 압축을 푼뒤
           C:\Program Files\sugarcrm-5.5.0\htdocs\include
           C:\Program Files\sugarcrm-5.5.0\htdocs\modules 에 덮어씌운다.
           귀찮으면 압축을 C:\Program Files\sugarcrm-5.5.0\htdocs\ 에 풀어도 된다.

Step 3. 한글화 및 기본 언어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기본설치시 경로인) C:\Program Files\sugarcrm-5.5.0\htdocs\sugarcrm\config.php 를 손을 봐야 한다.

154   'default_language' => 'en_us',

196   'languages' =>
197   array (
198     'en_us' => 'English (US)',
199   ),

위의 원본을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154   'default_language' => 'ko',

196   'languages' =>
197   array (
198     'ko' => 'Korean (KO)',
199     'en_us' => 'English (US)',
200   ),

그러면 한글화 끝!
한가지 아쉬운점은, 현재 버전은 5.5 이고, 한글화 패치의 버전은 4.5 라는 점이다.

다운로드는 용량이 적은 APM 통합패키지를 받자.

[링크 : http://www.sugarcrm.com/crm/download/sugar-suite.html] << sugarCRM APM 통합버전 다운로드
[링크 : http://www.sugarforge.org/projects/koreanlanguage] << 한글 패치





사족 : 이러다가.. 이녀석도 한글화 하겠다고 덤비게 되는건.......... 아니겠지??? OTL
Posted by 구차니
CRM 관련 open source 물색중인데,
일단 귀차니즘으로 인해, 윈도우에서 돌아가는걸 찾게 되었다.

이녀석은 ERP로 검색한것중에 상단에 나오는 녀석인데,
윈도우에서 APM 서버와 통합되어 설치된다. (Apache, Mysql , PHP)

설치 완료후, DB 성생으로 인해 4분 정도 걸린다고 커피나 먹고 오라는 친절한 멘트!

설레이는 첫 로그인! admin / admin이 기본 이다.
영어만 지원하는게 아쉬운 점

메인 페이지. 폼난다!(그러나.. 쓸줄은 모른다 ㅠ.ㅠ)

샘플데이터를 이용한 구매기안 페이지(역시 먼지 모름)

위의 메뉴에서 Send Email With PDF 를 누르면 나오는 화면,
FCKEditor로 WYSIWYG을 지원한다.

Export to PDF를 누르면 나오는 화면

저렴한 용량!

[링크 : http://sourceforge.net/projects/vtigercrm/]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2009. 12. 13. 17:22

대박깔끔하고, 사용이 간편한 GIF 프로그램입니다.
아이콘이라던가 UI라던가 매우 마음에 드는 무료프로그램입니다.

2009.12.14 추가
기업/관공서/학교에서도 무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링크 : http://blog.naver.com/faith3love/80096311510] << 개발자 블로그
[링크 : http://www.makeshop.co.kr/main/special_pluspage.html?num=19]

'프로그램 사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oliris (piclens)  (6) 2010.01.05
Fast Picture Viewer 제한사항  (0) 2009.12.27
rtsp를 지원하는 스트리밍 서버 - live555  (0) 2009.11.13
Free 3D 프로그램  (0) 2009.10.01
BackStreet Browser - 웹페이지 긁어 오기  (4) 2009.09.05
Posted by 구차니
둘다 윈도우 상에서 tftpd32 라는 공개 소프트웨어로 실행하는 것이라 리눅스 서버가 없어도 된다.

tftpd32        [링크 : http://tftpd32.jounin.net/]
PXE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Preboot_Execution_Environment]

XP 설치      [링크 : http://blog.naver.com/3dfx/130038204551]
우분투 설치 [링크 : http://blog.cuwoom.net/117]


나중에 한번 해봐야겠다 ㅠ.ㅠ

'프로그램 사용 > PXE(네트워크 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pxe boot  (0) 2023.06.21
DHCP hostname  (0) 2020.10.14
DHCP / BOOTP / TFTP  (4) 2010.04.27
PXE 부팅하기  (0) 2010.04.25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09. 12. 8. 18:13
기본값으로 설치했을 경우
C:\Program Files\VideoLAN\VLC\http\.hosts
라는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
# Access-list for VLC HTTP interface
# $Id$
#

# localhost
::1
127.0.0.1

# link-local addresses
#fe80::/64

# private addresses
#fc00::/7
#fec0::/10
#10.0.0.0/8
#172.16.0.0/12
#192.168.0.0/16
#169.254.0.0/16

# The world (uncommenting these 2 lines is not quite safe)
#::/0
#0.0.0.0/0

위의 localhost 부분이 자기 스스로 접속하면 되는데,
외부에서는 접속해도 forbidden 이라면서 접속하지 못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만약에 C Class를 허가하고 싶다면 ip/24로 적어주면된다.
(예를 들어 192.168.0.1~255를 허가하고 싶다면
192.168.0.1/24로 하면 된다.)


참고 : 굳이 VLC 죽였다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갱신되는 듯 하다.
Posted by 구차니
Unfortunately the bug is still observed - i did some additional triaging.

* The bug is seen only when the samba share exported is on a vfat file system
    - for ext2 and ext3 the large sized copy succeeds without fail.

* I also tried using the samba package from debian-arm repositories(lenny-stable)
    - but there also the problem is seen.

* Even if the error is thrown up - the file is still being copied in the background - or ftruncate'ing in the background (I suspect it is only ftruncating and filling the space with zeroes because of two reasons - one the md5sums do not match afterwards and two the code seems to be doing the same thing) - but as previously stated adding a patch to always call ftruncate64() in sys_ftruncate() does not fix the problem.

[링크 : http://www.mail-archive.com/ubuntu-bugs@lists.ubuntu.com/msg1902987.html]

SH4 시스템에서 smbd / nmbd 조합으로
USB 메모리를 vfat으로 사용하여, 원격지에서 파일을 복사할경우
20MB 이상의 파일을 복사하려고 시도하면 죽는 문제가 발생했다.

임베디드 장비라서, 메모리 부족 에러와 함께 DMA 에러가 발생했지만,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기전 vfat으로 rw가 아닌 ro로 mount 되는 것을 봐서
다른 문제나 버그가 있는 것으로 생각이 된다.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