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Storage2015. 5. 3. 22:16

간만에 업데이트가 있어서 해주는데

이번 버전은 보안 업뎃뿐인지 바로 리부팅 후 접속이 가능하다.



NAS를 구석에 쳐박을 예정인지라 놀고 있던 시끄러운 시게이트 하드를 달고

볼륨 구성! 4+2TB



일단.. 3시 즈음에 하드를 달고 볼륨을 구성을 했는데 8시 즈음에 구성이 완료되었던걸 봐서는..

단일 하드로 볼륨만 추가하고 기본 디스크의 RAID로 구성하지 않아서 빠른걸수도 있고

DS213j가 DS213+ 보다 의외로 빠른 것일수도 있고... 변수는 두개라 어느게 맞을진 알수가 없다 -_ㅠ


아무튼. 둘다 데이터 보호 없음 후덜덜덜덜 ㅠㅠ 무셔무셔


'하드웨어 > 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nology DS213j 보안 어드바이저  (0) 2015.05.08
ds213j file station 스트리밍  (0) 2015.05.06
wear leveling SD cards - sandisk extreme pro SDHC  (0) 2015.04.08
DS213+ RAID 복구  (0) 2015.04.03
Synology DS213j setup  (0) 2015.03.29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torage2015. 4. 8. 15:38

헐.. SD에서 wear leveling을 지원하다니!!


[링크 : http://www.sandisk.co.kr/products/memory-cards/sd/extremepro-sdxc-sdhc-uhs-1-95mbs/]


근데 왜 microSD 규격에는 wear leveling이 빠진걸까 ㅠㅠ

[링크 : http://www.sandisk.co.kr/products/memory-cards/microsd/extremepro-uhs-i/?capacity=64GB]


아무튼.. SD 규격 상으로는 wear leveling이 없기에

제조사에서 확장기능으로 wear leveling을 지원하는 듯.

[링크 : http://wiki.openmoko.org/wiki/MicroSD]




+

산업용으로 파나소닉에서 microSD용 wear leveling(static) 지원

[링크 : http://panasonic.net/avc/sdcard/industrial_sd/lineup.html]

    [링크 : http://reprage.com/post/what-are-the-best-sd-cards-to-use-in-a-raspberry-pi/]


트레센드도 있긴한데.. 은근 안보이네.. 딱 이거 하나 발견..

[링크 : http://kr.transcend-info.com/Products/No-287]

'하드웨어 > 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213j file station 스트리밍  (0) 2015.05.06
synology DS213J가 더 빠른가..?  (0) 2015.05.03
DS213+ RAID 복구  (0) 2015.04.03
Synology DS213j setup  (0) 2015.03.29
Synology DS213j get!  (0) 2015.03.28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torage2015. 4. 3. 22:24

2TB 복구하는데 한 10시간 걸림 -_-a



---

hot swap이 지원되는지 확신이 없어서 종료후 하드 장착하고 켜니 초기화 되지 않음으로 뜨고


RAID가 문제가 생겼으니 일단 관리를 눌러서


수리 밖에 활성화 되는게 없으니 일단 다음!


새로 꽂은 디스크가 인식되어 있으니


생각하니 귀찮으니 확인-다음


mkfs정도로 생각했는데...


먼가 오래 걸리는 기분?


패리티 확인중이라면서

속도가 엄청 느리게 하드도 거의 별로 깜박이지 않는데.. 멀하는진 모르겠다.


'하드웨어 > 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nology DS213J가 더 빠른가..?  (0) 2015.05.03
wear leveling SD cards - sandisk extreme pro SDHC  (0) 2015.04.08
Synology DS213j setup  (0) 2015.03.29
Synology DS213j get!  (0) 2015.03.28
sd/sdhc 규격  (0) 2014.09.17
Posted by 구차니

213+는 회사에서 쓰던건데..

[링크 : http://cache.freescale.com/files/32bit/doc/fact_sheet/QP1022FS.pdf]

[링크 : http://www.marvell.com/embedded-processors/armada-300/assets/Marvell_ARMADA_370_SoC.pdf]


213+는 파워PC 계열 듀얼코어 1.07GHz

213j는 ARMv7 계열 싱글코어 1.2GHz / 3000DMIPS


라고 하는데..

일단 ARMv7 계열이라 그런지..

체감상으로는 DS213+와 DS213j의 성능 차이를 크게 느끼진 못하겠고

홈페이지 응답속도 에서는 오히려 DS213j가 더 빠른 느낌이라고 해야 하려나?







머.. 결론은

어느걸 쓰던 상관없지만

일단 비용은 213j가 더 낮고 핫스왑 제공되지 않으며 케이스를 분리해야 해서

가정에서는 213j를 회사에서는 213+ 가 낫지 않을까 생각된다.


DS213j

[    1.870457] Calibrating delay loop... 1196.85 BogoMIPS (lpj=5984256)

[    1.960431] pid_max: default: 32768 minimum: 301

[    1.960533] Security Framework initialized

[    1.960568] AppArmor: AppArmor initialized

[    1.960608] Mount-cache hash table entries: 512

[    1.960906] CPU: Testing write buffer coherency: ok

[    1.961556] devtmpfs: initialized

[    1.964637] xor: measuring software checksum speed

[    2.010402]    arm4regs  :  1226.000 MB/sec

[    2.060402]    8regs     :   727.600 MB/sec

[    2.110400]    32regs    :   876.400 MB/sec

[    2.110409] xor: using function: arm4regs (1226.000 MB/sec)


DS213+

[    0.115205] Processor 1 found.

[    0.206825] clockevent: decrementer mult[11111112] shift[32] cpu[1]

[    0.206848] Brought up 2 CPUs

[    0.209905] devtmpfs: initialized

[    0.213603] xor: measuring software checksum speed

[    0.238314]    8regs     :  1260.000 MB/sec

[    0.262412]    8regs_prefetch:  1091.000 MB/sec

[    0.286854]    32regs    :  1354.000 MB/sec

[    0.310949]    32regs_prefetch:  1201.000 MB/sec

[    0.315468] xor: using function: 32regs (1354.000 MB/sec)


> cat /proc/cpuinfo
processor       : 0
cpu             : e500v2
clock           : 1066.666000MHz
revision        : 5.1 (pvr 8021 1151)
bogomips        : 133.33

processor       : 1
cpu             : e500v2
clock           : 1066.666000MHz
revision        : 5.1 (pvr 8021 1151)
bogomips        : 133.33

total bogomips  : 266.66
timebase        : 66666667
platform        : P1022 DS
model           : fsl,P1022
Memory          : 512 MB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torage2015. 3. 29. 00:08

찾기 힘드니까.. 일단은 까는게 좋은 Synology Assistant

초기값이면 DiskStation으로 접속하면 될 거 같기도 하다.

(나중에 설치 이후 네트워크 환경에서 \\DiskStation이 보여서)


그 다음은 별다른 설명은 없이 쭈욱!




















아무튼 설치이후 용량 큰파일들 옮기는 테스트를 해보니

거의 로컬 하드 속도에 근접하게 나오긴 하지만 약간 부족한 느낌?

로컬 - 로컬로는 100MB/s 찍어 줬는데 60MB/s 정도 찍어주긴 한다.



역시 기가비트는... 조금 벅찬가..


일단 벤치마크 상으로도 쓰는건 이정도가 한계라고 했으니

이따가 내려 받아 보면 알겠지?


Write 65.6MB/s

Read 84.5MB/s

[링크 : http://us.hardware.info/.../synology-ds213j-review-deluxe-entry-level-nas-performance...r]

'하드웨어 > 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ar leveling SD cards - sandisk extreme pro SDHC  (0) 2015.04.08
DS213+ RAID 복구  (0) 2015.04.03
Synology DS213j get!  (0) 2015.03.28
sd/sdhc 규격  (0) 2014.09.17
synology 삼바 + NFS + 삼바가 win7에서 느릴경우  (0) 2013.09.11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torage2015. 3. 28. 23:50

12만원에 중고로 업어옴


일단 오면서 검색을 해봤지만..

전에 구매해봤던 DS213+ 보다는 확연이 마이너 모델


DS213 < DS213j < DS213+

이런식으로 모델이 업그레이드 되고

DS213+는 듀얼 코어 모델(1GHz)

나머지는 싱글 코어 모델(1.2Ghz) 이다.



아무래도... 웹서버라던가 이런거 까진 무리하게 돌리긴 힘들거 같고

메뉴얼 상으로는 다운로드 속도 100MB/s 지원한다고 하지만

벤치마크 찾아 보니 60MB/s(Write) 80MB/s(Read) 인거 보면 꽤 괜찮은 듯

디자인도 나름 깔끔



DS213+에 비해서 조잡하다고 해야하려나?

좋게 말하면 단가를 낮추기 위한거고 나쁘게 말하면.. hot swap bay도 사라져서

문제가 발생하면 일일이 나사를 풀어서 쑈를 해야 한다 -_ㅠ


그리고.. 꽂은 위치는 HDD 2 대개 아래가 1이지 않나 -ㅁ-?


'하드웨어 > 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213+ RAID 복구  (0) 2015.04.03
Synology DS213j setup  (0) 2015.03.29
sd/sdhc 규격  (0) 2014.09.17
synology 삼바 + NFS + 삼바가 win7에서 느릴경우  (0) 2013.09.11
Synology NAS DS213+ 설치  (0) 2013.08.26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5. 3. 19. 16:10

하드를 구매하려고 검색을 하다 보니

HBA 미포함 이라는 문구가 보여서 검색


이녀석은 미포함


이녀석은 포함


포함된 녀석 설명 캡쳐


아무튼 HBA는 원래 Fiber Channel로 묶이는 서버 내부(?) 통신을 위한 규격인데

그 확장 기능중에 하나로 스토리지 인터페이스가 SATA냐 IDE냐 등으로 갈리는 듯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Host_adapter]


그리고 요즘 신기술(?)로 각광받는 가상화에

하드등과 같은 IO들도 가상화 되어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으로 발전되어 간다.

[링크 : http://ciscocloud.tistory.com/5]

[링크 : http://www.terms.co.kr/HBA.htm]



그러니까 결론은..

과거에 대용량 하드 나오면서 IDE 카드 구매했던것 같은 과도기적인 현상이라고 하면 되려나?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PU-6050 / ADXL345  (2) 2016.03.25
HBM - High Bandwidth Memory  (0) 2015.06.17
LG NAS N2R1 + Mediawiki 성능  (0) 2014.10.10
LG NAS N2R1DD2 리셋  (0) 2014.09.23
자전거 속도계 센서  (0) 2013.12.14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4. 11. 27. 20:28
HUB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가장 익숙(?)한 것은 스위칭 허브와 더미 허브 인 듯 하다.

예전에 구매했던 3com 허브의 경우 크게 분류가 없어서 애매했는데..
2010/12/20 - [하드웨어/Network 장비] - 3com Baseline Switch 2226-SFP Plus 업데이트 하기

위키에 의하면.. Managed switch에 Fully managed 혹은 Enterprise Hub 라고 하면 되려나?
  • Unmanaged switches – these switches have no configuration interface or options. They are plug and play. They are typically the least expensive switches, and therefore often used in a small office/home office environment. Unmanaged switches can be desktop or rack mounted.
  • Managed switches – these switches have one or more methods to modif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Common management methods include: a command-line interface (CLI) accessed via serial consoletelnet or Secure Shell, an embedded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agent allowing management from a remote console or management station, or a web interface for management from a web browser. Examples of configuration changes that one can do from a managed switch include: enabling features such as Spanning Tree Protocol or port mirroring, setting port bandwidth, creating or modifyingVirtual LANs (VLANs), etc. Two sub-classes of managed switches are marketed today:
    • Smart (or intelligent) switches – these are managed switches with a limited set of management features. Likewise "web-managed" switches are switches which fall into a market niche between unmanaged and managed. For a price much lower than a fully managed switch they provide a web interface (and usually no CLI access) and allow configuration of basic settings, such as VLANs, port-bandwidth and duplex.[17]
    • Enterprise Managed (or fully managed) switches – these have a full set of management features, including CLI, SNMP agent, and web interface. They may have additional features to manipulate configurations, such as the ability to display, modify, backup and restore configurations. Compared with smart switches, enterprise switches have more features that can be customized or optimized, and are generally more expensive than smart switches. Enterprise switches are typically found in networks with larger number of switches and connections, where centralized management is a significant savings in administrative time and effort. A stackable switch is a version of enterprise-managed switch.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Network_switch

[링크 : http://kwonhanseung.blogspot.kr/2013/04/04.html]
[링크 : http://bali.pe.kr/wp/?p=522]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z-wave  (0) 2015.09.10
직비(zig-bee) / 블루투스 SPP(Serial Port Profile)  (0) 2015.07.02
DM9161 phy address  (0) 2013.06.19
iptime n104-r3  (0) 2012.12.23
USB to RS232 컨버터 데이터 수신 몇바이트 놓칠경우  (2) 2012.11.06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4. 10. 10. 17:22



 

페이지 하나 띄우는데 못해도 30초..
하.. 쓰란거야 말란거야 -_ㅠ
(NAS지 웹서버가 아니란다?) 



결론 : 걍 NAS 만으로도 버거워 하는 애란다. 노인학대 하지마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HBM - High Bandwidth Memory  (0) 2015.06.17
HBA - Host Bus Adaptor  (0) 2015.03.19
LG NAS N2R1DD2 리셋  (0) 2014.09.23
자전거 속도계 센서  (0) 2013.12.14
OV7725  (0) 2013.06.20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4. 9. 23. 10:08
<- -> 버튼 동시 누르고 전원 on!
찹 쉽죠잉

(왜 메뉴얼에서는 도무지 찾지를 못하니 ㅠㅠ)

[링크 : http://forum.nas-central.org/viewtopic.php?f=259&t=6125]
[링크 : http://www.lg.com/us/data-storage/lg-N2R1DD2]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HBA - Host Bus Adaptor  (0) 2015.03.19
LG NAS N2R1 + Mediawiki 성능  (0) 2014.10.10
자전거 속도계 센서  (0) 2013.12.14
OV7725  (0) 2013.06.20
80GB 구형 삼성 하드 분해  (2) 2012.10.13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