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Network 장비'에 해당되는 글 78건

  1. 2014.11.27 intelligent hub?
  2. 2013.06.19 DM9161 phy address
  3. 2012.12.23 iptime n104-r3
  4. 2012.11.06 USB to RS232 컨버터 데이터 수신 몇바이트 놓칠경우 2
  5. 2012.11.02 LTE vs WIFI(802.11n)
  6. 2012.06.04 WOL / WoWLAN / PME
  7. 2012.02.07 2T2R이 머여? 2
  8. 2011.12.13 IEEE 1394 속도 벤치마크 관련문서들
  9. 2011.12.06 iptime VPN 설정
  10. 2011.11.14 RTSP 포워딩 특성 - Anygate / Iptime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4. 11. 27. 20:28
HUB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가장 익숙(?)한 것은 스위칭 허브와 더미 허브 인 듯 하다.

예전에 구매했던 3com 허브의 경우 크게 분류가 없어서 애매했는데..
2010/12/20 - [하드웨어/Network 장비] - 3com Baseline Switch 2226-SFP Plus 업데이트 하기

위키에 의하면.. Managed switch에 Fully managed 혹은 Enterprise Hub 라고 하면 되려나?
  • Unmanaged switches – these switches have no configuration interface or options. They are plug and play. They are typically the least expensive switches, and therefore often used in a small office/home office environment. Unmanaged switches can be desktop or rack mounted.
  • Managed switches – these switches have one or more methods to modif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Common management methods include: a command-line interface (CLI) accessed via serial consoletelnet or Secure Shell, an embedded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agent allowing management from a remote console or management station, or a web interface for management from a web browser. Examples of configuration changes that one can do from a managed switch include: enabling features such as Spanning Tree Protocol or port mirroring, setting port bandwidth, creating or modifyingVirtual LANs (VLANs), etc. Two sub-classes of managed switches are marketed today:
    • Smart (or intelligent) switches – these are managed switches with a limited set of management features. Likewise "web-managed" switches are switches which fall into a market niche between unmanaged and managed. For a price much lower than a fully managed switch they provide a web interface (and usually no CLI access) and allow configuration of basic settings, such as VLANs, port-bandwidth and duplex.[17]
    • Enterprise Managed (or fully managed) switches – these have a full set of management features, including CLI, SNMP agent, and web interface. They may have additional features to manipulate configurations, such as the ability to display, modify, backup and restore configurations. Compared with smart switches, enterprise switches have more features that can be customized or optimized, and are generally more expensive than smart switches. Enterprise switches are typically found in networks with larger number of switches and connections, where centralized management is a significant savings in administrative time and effort. A stackable switch is a version of enterprise-managed switch.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Network_switch

[링크 : http://kwonhanseung.blogspot.kr/2013/04/04.html]
[링크 : http://bali.pe.kr/wp/?p=522]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z-wave  (0) 2015.09.10
직비(zig-bee) / 블루투스 SPP(Serial Port Profile)  (0) 2015.07.02
DM9161 phy address  (0) 2013.06.19
iptime n104-r3  (0) 2012.12.23
USB to RS232 컨버터 데이터 수신 몇바이트 놓칠경우  (2) 2012.11.06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3. 6. 19. 17:32
DM9161 라는 녀석이 있는데
PHYAD[0] 번을 pull-up 해주면 PHY ADDRESS가 1로 뜨게 된다.
RXD라서 좀 애매한(?) 사용이 되는 느낌이지만
아무튼 PHYADD / PHYADDR / PHYAD 를 바꾸어야 한다면 확인필요 할 듯.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2. 12. 23. 23:30
n604s나 n6004m에 비해서 한가지 마이너한 기능이 있는데
바로 채널 검색 -_- 

n6004m에서는 무선랜 설정에서 "채널 검색"이라는 버튼이 존재하는데


n104-r3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_-


물론 약간의 편법으로 무선 멀티브리지에서 끌어 쓰면 되긴 하지만
저가형으로 내고 이런식으로 막는건 좀... -_-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lligent hub?  (0) 2014.11.27
DM9161 phy address  (0) 2013.06.19
USB to RS232 컨버터 데이터 수신 몇바이트 놓칠경우  (2) 2012.11.06
LTE vs WIFI(802.11n)  (0) 2012.11.02
WOL / WoWLAN / PME  (0) 2012.06.04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2. 11. 6. 16:35
일단, 신버전의 드라이버로 교체하고
(2002년 버전의 경우 FIFO설정만 존재함)
(현재 사용중인 버전을 보니 2010년 7월 12일자)


포트설정 - 고급


BM 관련 설정 - 응답 시간 조정
기본값이 16msec인데 100msec로 하면 빈도는 줄어드나 여전히 조금 놓치는듯..
250ms 로 설정하면 놓치지는 않는듯 하나 체감할 정도로 딜레이가 생기기도 함.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9161 phy address  (0) 2013.06.19
iptime n104-r3  (0) 2012.12.23
LTE vs WIFI(802.11n)  (0) 2012.11.02
WOL / WoWLAN / PME  (0) 2012.06.04
2T2R이 머여?  (2) 2012.02.07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2. 11. 2. 07:59
위키를 찾아보며 비교를 해보니
LTE는 300Mbps
WIFI는 최상조건 600Mbps

하지만 5GHz에 40MHz 4채널 본딩을 해야하니
거의 대부분의 조건에서 WIFI가 진다는 결론 ㅠㅠ
대개 54Mbps 나 108Mbps 정도로 쓰니
LTE의 우세 판정 실효승이라고 해야하나


---
노트북의 버팔로 USB 랜과 iptime N604S를 붙이려고 하니
처음에는 108Mbps로 시도하다가 54Mbps로 붙어버림...
이래저래 802.11n이라고 해도 완전하게 표준화 되어 모든 장비가 고속으로 붙기에는
요원한 실정이기에 실효속도는 54Mbps나 약간 높은 65Mbps 정도인것으로 추측된다.
노트북과 베가 LTE M을 테터링으로 붙이면 65Mbps가 붙는다.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ime n104-r3  (0) 2012.12.23
USB to RS232 컨버터 데이터 수신 몇바이트 놓칠경우  (2) 2012.11.06
WOL / WoWLAN / PME  (0) 2012.06.04
2T2R이 머여?  (2) 2012.02.07
IEEE 1394 속도 벤치마크 관련문서들  (0) 2011.12.13
Posted by 구차니
wol 은 유선랜에서 원격부팅을 지원하고
wowlan은 wol을 무선랜으로 확장한다
그리고 PME는 Power Management Event의 약자로
PCI를 통해 wol신호를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Power_Management_Event ]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B to RS232 컨버터 데이터 수신 몇바이트 놓칠경우  (2) 2012.11.06
LTE vs WIFI(802.11n)  (0) 2012.11.02
2T2R이 머여?  (2) 2012.02.07
IEEE 1394 속도 벤치마크 관련문서들  (0) 2011.12.13
iptime VPN 설정  (0) 2011.12.06
Posted by 구차니
2 Transmitter 2 Receiver 라는데
MIMO와 연관되서 몇개의 스트림(stream)을 지원하냐를 의미한다.
특이(?)하게도 채널이라고 안하고 스트림이라고 하는 이유는 좀 찾아봐야 하려나?

아무튼 요즘 안테나가 4개까지 달린 넘들이 있던데
자세히 보건 아니지만 2.4Ghz / 5Ghz를 지원하는 듀얼밴드 제품으로 안테나 4개 짜리는 2T/2R인듯 하다.


아무튼.. 막상 사려면 비싸 ㅠ.ㅠ
[링크 : http://www.asrock.cn/microsite/Vision3D/wireless.swf]
[링크: http://forums.smallnetbuilder.com/showthread.php?t=2117]

아래 링크가 정리가 잘된듯 !!
[링크 : http://pickle.tistory.com/56 ]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E vs WIFI(802.11n)  (0) 2012.11.02
WOL / WoWLAN / PME  (0) 2012.06.04
IEEE 1394 속도 벤치마크 관련문서들  (0) 2011.12.13
iptime VPN 설정  (0) 2011.12.06
RTSP 포워딩 특성 - Anygate / Iptime  (0) 2011.11.14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1. 12. 13. 16:43
IEEE1394를 이용한 TCP/IP 네트워크는 cpu 부담도 좀 센편인듯 하지만..
그걸 떠나서, 아무래도 생각보다 성능이 안나오는 이유는
1394의 half-duplex 특성과 TCP의 주고받는 특성이 겹쳐서 그런게 아닐까 생각이 된다.

네이버 블로그 글은 20MBps
kldp 글에서는 17MBps
티스토리 글에서는 33.8MBps (270Mbps)
Firenetbench 에서는 60~80MB/s 의 속도를 내는데 (1394b)

조사를 해보니 1394 / 1394a / 1394b 에 따라서 속도도 다르다 보니
신뢰할 만한 속도에 대한 결과가 보이질 않는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IEEE_1394#FireWire_400_.28IEEE_1394-1995.29]
[링크 : http://blog.naver.com/sms0909/80003614537]
[링크 : http://sysdoc.doors.ch/UNIBRAIN/FireNetBench.pdf]
[링크 : http://kldp.org/node/42754]
[링크 : http://trip2me.tistory.com/47]

2011/12/07 - [하드웨어/Network 장비] - iperf로 100M 랜 / IEEE1394 대역폭 측정

흠좀무스러운 내용
VISTA에서는 어떤 이유에서인진 모르지만 Firewire를 통한 TCP/IP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링크 : http://searchwindowsserver.techtarget.com/...Firewire-IEEE-1394-in-Vista]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L / WoWLAN / PME  (0) 2012.06.04
2T2R이 머여?  (2) 2012.02.07
iptime VPN 설정  (0) 2011.12.06
RTSP 포워딩 특성 - Anygate / Iptime  (0) 2011.11.14
가상 랜카드는 MAC 어드레스 변경 불가?  (0) 2011.11.06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1. 12. 6. 10:36
자세한 내용은 링크로 대체하고
[링크 : http://www.iptime.co.kr/~iptime/bbs/view.php?id=faq_setup&page=4...]

접속을 하는데 배쨰길래 확인을 해보니


"암호화 MPPE 에서 암호화 없음"을 안해줘서 이런 문제 발생


그나저나.. 두개의 망이 동일한 아이피 대역이다 보니 되는지 안되는지 알수가 없자너!!! ㅠ.ㅠ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1. 11. 14. 14:23
Anygate에 전화할라고 했더니 이거 폭발당했는지 전화도 안되고 -_-
[링크 : http://www.it.co.kr/news/mediaitNewsView.php?nBoardSeq=64&nSeq=2050113&nModeC=1&auth=1]



아무튼 RTSP 포트를 포워딩 해서 외부에서 접속을 하는데
Anygate는 포워딩 해 놓았을 경우, nmap에서 스캔은 되지만 원인불명으로 접속이 되지 않는다 -_-
Iptime 은 문제없음
(D-Link 것도 집에가서 해볼까?)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