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Network 장비2025. 2. 11. 23:27

MAC은 QLogic 소유

 

OUI: F4:E9:D4

Vendor name: QLogic Corporation 
Initial registration: 17 November 2015

[링크 : https://maclookup.app/macaddress/F4E9D4/mac-address-details]

 

OUI: 00:0E:1E
Vendor name: QLogic Corporation 
Initial registration: 12 February 2004

[링크 : https://maclookup.app/macaddress/000e1e/mac-address-details]

 

LP 버전

 

표준 브라켓 버전

 

device를 골라서 들어가면 되는데

NIC 포트 별로 개별 device로 힌다는건 물리적으로 두개의 칩을 브릿지 칩을 통해 하나로 구현한 형태인가?

 

메인메뉴

하드웨어 설정, MBA, iSCSI, FCoE, NIC 파티션...? 생소한 단어가 넘쳐나네

 

하드웨어 설정에서 Multi-Function Mode는 SF와 NPAR 두가지로 가능하다.

SF 에서는 Number of VFs per PF 라는 항목이 하나 추가된다.

 

 

MBA는 무엇의 약자인지 찾아봐야겠는데.. 아무튼 부팅시 opROM 실행여부와 몇초를 잡을지 등을 선택할 수 있다.

 

iSCSI는 듣기만 했지 써본적은 없는데..

 

iSCSI 설정에서는 DHCP 나 CHAP 등 인증이나 ip 관련 내용이 보인다.

그러면.. 얘가 iSCSI 스토리지 쪽이 되는건가.. 아니면 호스트가 되는건가?(HBA Boot Mode)

 

Initiator Parameters.. 찾아보니 이건 사용하는 쪽 설정으로 보인다.

[링크 : https://blog.naver.com/hanajava/221413180832]

 

위의 링크에 의하면 target은 저장공간이 있는 곳이라고 한다.

 

메뉴얼을 봐야겠네.. 먼말인지 모르겠다!!

 

FCoE (Fibre Channel over Ethernet) 설정

[링크 : https://kr.bitwar.net/course/tips/3096.html]

 

음.. FCoE 타겟으로 부팅하기..? HDD, LUN? HBA Boot Mode? FCoE도 iSCSI 처럼 쓰이는건가?

위 링크를 참조하니 SAN(Storage Area Network)에서 FC를 쓴다고 하니.. iSCSI 처럼 쓰이는걸 맞다고 볼 수 있...나?

 

펑!(머리 터지는 소리)

 

최상위 메뉴의 NIC Partition 공부가 필요해..

 

위에서 PF#0 을 들어가니 먼가 메뉴가 또 나온다.

도대체 먼 소리여...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npar(NIC Partitioning)  (0) 2025.02.19
BCM957810A1008G 메뉴얼  (0) 2025.02.11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0) 2025.02.10
DCBX ?  (0) 2025.02.03
ethtool wol mode  (0) 2024.08.07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25. 2. 10. 12:12

모델명은 A와 B로 나뉘고 서로의 rx/tx 파장이 교차된다.

BIDI SFP-LX20ADI-C /  Tx 1310 nm / Rx 1550 nm

BIDI SFP-LX20BDI-C / Tx 1550 nm / RX 1310 nm

 

그래서 다른 색상끼리 광 케이블을 연결해야 통신이 된다. 신기하네..

[링크 : http://etradingkorea.com/sub/product/prd_all.asp?s_cate=101117]

 

찾아보니 GBIC은 구세대(?) 녀석이고, SFP나 GBIC을 포함하는 상위 카테고리는 "광 트랜시버"

SFP 이거나 GBIC 이거나 다른거 이거나 식이 되는 듯.

[링크 : https://blog.naver.com/onsystems/223272549791]

[링크 : https://m.blog.naver.com/91nomatter/222601979273]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BCM957810A1008G 메뉴얼  (0) 2025.02.11
BCM957810A1008G boot oprom  (0) 2025.02.11
DCBX ?  (0) 2025.02.03
ethtool wol mode  (0) 2024.08.07
802.11ah HaLow  (0) 2023.11.27
Posted by 구차니

140page에 이런 문장이 있어서 검색

3. Ensure DCB/DCBX is enabled on the device. FCoE boot is only supported on DCBX capable configurations. As such, DCB/DCBX must be enabled, and the directly attached link peer must also be DCBX capable with parameters that allow for full DCBX synchronization.

[링크 : https://dl.dell.com/manuals/all-products/esuprt_ser_stor_net/esuprt_pedge_srvr_ethnt_nic/broadcom-netxtreme-adapters_owner's%20manual2_en-us.pdf]

 

DCBX(Data Center Bridging Capability Exchange Protocol)는 LLDP(Link Layer Data Protocol)의 확장입니다

[링크 : https://www.juniper.net/documentation/kr/ko/software/junos/traffic-mgmt-qfx/topics/concept/fibre-channel-dcbx-understanding.html]

 

Data center bridging (DCB) is a set of enhancements to the Ethernet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 for use in data center environments, in particular for use with clustering and storage area networks.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Data_center_bridging]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BCM957810A1008G boot oprom  (0) 2025.02.11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0) 2025.02.10
ethtool wol mode  (0) 2024.08.07
802.11ah HaLow  (0) 2023.11.27
ubutun 22.04 에서 USB3.0 기가랜 속도 차이  (0) 2023.07.28
Posted by 구차니

라즈베리 파이에서 확인

$ sudo ethtool eth0
Settings for eth0:
Supported ports: [ TP  MII ]
Supported link modes:   10baseT/Half 10baseT/Full
                        100baseT/Half 100baseT/Full
Supported pause frame use: Symmetric Receive-only
Supports auto-negotiation: Yes
Supported FEC modes: Not reported
Advertised link modes:  10baseT/Half 10baseT/Full
                        100baseT/Half 100baseT/Full
Advertised pause frame use: No
Advertised auto-negotiation: Yes
Advertised FEC modes: Not reported
Link partner advertised link modes:  10baseT/Half 10baseT/Full
                                     100baseT/Half 100baseT/Full
Link partner advertised pause frame use: Symmetric Receive-only
Link partner advertised auto-negotiation: Yes
Link partner advertised FEC modes: Not reported
Speed: 100Mb/s
Duplex: Full
Auto-negotiation: on
Port: Twisted Pair
PHYAD: 1
Transceiver: internal
MDI-X: Unknown
Supports Wake-on: pumbag
Wake-on: d
        Current message level: 0x00000007 (7)
                               drv probe link
Link detected: yes

$ sudo ethtool -s eth0 wol u
$ sudo ethtool eth0 | grep -i wake
Supports Wake-on: pumbag
Wake-on: u

 

The Wake-on values define what activity triggers wake up:

d (disabled)
p (PHY activity)
u (unicast activity)
m (multicast activity)
b (broadcast activity)
a (ARP activity)
g (magic packet activity)

[링크 : https://unix.stackexchange.com/questions/421325/wake-on-lan-via-ssh]

 

+

2024.08.16

3세대 데스크탑을 이용해서 테스트 해보니,

wake by PCI-E를 활성화 해주어야 하고 위의 명령을 주고 나서 종료한뒤 ssh 시도하면 다시 켜진다.

시놀로지 부럽지 않네? ㅎㅎ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0) 2025.02.10
DCBX ?  (0) 2025.02.03
802.11ah HaLow  (0) 2023.11.27
ubutun 22.04 에서 USB3.0 기가랜 속도 차이  (0) 2023.07.28
케이블 규격(S/UTP, SF/UTP)  (0) 2022.06.20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23. 11. 27. 12:19

ALFA AHPI7292S 라는 장비가 굴러다녀(?) 찾아보는데

 

Newracom™ NRC7292 WiFi HaLow™ SoC (IEEE 802.11ah draft 8.0 compliant)

[링크 : https://www.alfa.com.tw/products/ahpi7292s?variant=36473961283656]

 

802.11ah draft 버전으로 1GHz 미만에서 Wi-Fi HaLow 라는 이름으로

장거리 저전력 IoT 통신을 제공하는 녀석이라고 한다.

 

[링크 : https://www.wi-fi.org/ko/discover-wi-fi/wi-fi-certified-halow]

 

와이파이 헤일로라고 부른다고 한다.(HaLow 니까 하-로우인줄..)

[링크 : https://m.blog.naver.com/ntower/221159368361]

 

이론상 16MHz 대역을 쓰면 최대 234Mbit/s 가지 가능하다고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IEEE_802.11ah]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BX ?  (0) 2025.02.03
ethtool wol mode  (0) 2024.08.07
ubutun 22.04 에서 USB3.0 기가랜 속도 차이  (0) 2023.07.28
케이블 규격(S/UTP, SF/UTP)  (0) 2022.06.20
rs485 2선 연결  (0) 2021.12.13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23. 7. 28. 14:40

next USB3.0 GBE를 이용해서 테스트 하는데 최대 속도가 이상하게 낮게 나와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다른 장치로 바꾸어 해보니 속도가 오른다. 드라이버 문제인가?

 

next 220gu3

Bus 001 Device 043: ID 0bda:8153 Realtek Semiconductor Corp. RTL8153 Gigabit Ethernet Adapter

[  5] 252.01-253.00 sec  42.6 MBytes   358 Mbits/sec                            
[  5] 253.00-254.00 sec  42.5 MBytes   357 Mbits/sec                            
[  5] 254.00-255.01 sec  42.5 MBytes   356 Mbits/sec                            
[  5] 255.01-256.01 sec  42.5 MBytes   356 Mbits/sec                            
[  5] 256.01-257.00 sec  42.4 MBytes   356 Mbits/sec                            
[  5] 257.00-258.01 sec  42.6 MBytes   357 Mbits/sec    

[링크 : https://prod.danawa.com/info/?pcode=3941237]

 

iptime u100plus

Bus 002 Device 032: ID 0b95:1790 ASIX Electronics Corp. AX88179 Gigabit Ethernet

[  5]   4.00-5.00   sec  92.8 MBytes   779 Mbits/sec                            
[  5]   5.00-6.00   sec  95.0 MBytes   797 Mbits/sec                            
[  5]   6.00-7.00   sec  94.9 MBytes   796 Mbits/sec                            
[  5]   7.00-8.00   sec  95.0 MBytes   797 Mbits/sec   

[링크 : https://prod.danawa.com/info/?pcode=15017636]

 

 

비슷한 사례가 있나 찾아보는데, 오히려 realtek 쪽이 더 좋게 나왔다고

머가 잘못설계된 녀석인가?

[링크 : https://tomcore.io/docs/articles/RaspberryPI/raspberry-pi-4b-usb-network-performance/]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htool wol mode  (0) 2024.08.07
802.11ah HaLow  (0) 2023.11.27
케이블 규격(S/UTP, SF/UTP)  (0) 2022.06.20
rs485 2선 연결  (0) 2021.12.13
rs232 to rs485 무전원 컨버터 전원공급 방법 RI(ring indicator)  (0) 2021.12.08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22. 6. 20. 16:32

SF/UTP라는 명칭은 ISO/IEC11801 명칭을 따르는 것이고

SFTP/ STP 등으로 산업에서 사용된다고 한다.

 

대충 보니.. 케이블 자체 실드, twisted pair 실드 로 나뉘는 듯

[링크 : https://www.universalnetworks.co.uk/faq/what-does-utp-s-utp-ftp-stp-and-sftp-mean/]

 

SF/UTP면 Twisted Pair 에는 실드가 없어야 하는데.. 표가 잘못된걸려나?

[링크 : https://www.icbanq.com/P008126501]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21. 12. 13. 18:12

T+/- 와 T+/-를 연결해 주면 되는구나..

맨날 헷갈리네 -_ㅠ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21. 12. 8. 14:35

무전원 컨버터들이 보이는데.. RI 핀을 통해서 받는건지

아니면 RX,TX 선에서 전기를 뽑아쓰는건진 모르겠네

 

 

9번 핀 RI 신호 250 mA +5 VDC 가 제공 됩니다.

[링크 : http://www.ezdaq.com/goods/view?no=366]

 

- RS232 제어 신호를 이용 무전원 동작 가능
- 무전원으로 사용이 간편하여 시험용으로 권장

[링크 : http://www.esysmall.com/detail_prod.asp?prod_Id=3736]

 

PC나 각종 시리얼장치의 RS232 커넥터에 연결하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단 RTS, DTR 핀이 활성화 되어있어야 됨) 

[링크 : https://www.comfile.co.kr/download/etc/rs232auto_manual.pdf]

 

(8) RI (Ring Indicator)

: 상대편 모뎀이 통신을 하기위해서 먼저 전화를 걸어 오면 전화 벨이 울린다. 이때 이 신호를 모뎀이 인식하여 컴퓨터 또는 터미널에게 알려주는 신호이며 일반적으로 컴퓨터가 이 신호를 받게 되면 전화벨 신호에 응답하는 프로그램을 인터럽터 등을 통해서 호출한다.

[링크 : https://m.blog.naver.com/lhk0523/140141741583]

 

USB to RS232 재보니 4번, 7번 핀에 -6.4V가 뜨는데

4번은 DTR이고 7번은 RTS

4번 - 6번 꼬아서 연결하고, 7번 - 8번 꼬아서 연결하여 통신하는 것 같은데

4,7 과 GND 하면 12볼트 뺴낼수 있는건가?

 

[링크 : https://www.sollae.co.kr/ko/download/pds_files/an_flowcontrol_ko.pdf]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블 규격(S/UTP, SF/UTP)  (0) 2022.06.20
rs485 2선 연결  (0) 2021.12.13
win10 시대의 pl2303HX 칩 (UART / TTL)  (0) 2021.01.28
채널 본딩...  (0) 2019.03.08
TLS 하드웨어 가속  (0) 2019.02.07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21. 1. 28. 17:14

위조칩으로 인해서 막은건 기억을 했는데

이제는 인식은 하되 장치명을 이상하게 띄우고

시리얼 포트를 연결하지 않게 나온다.

 

물론 리눅스는 그런거 없이 잘 됨 ㅋ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485 2선 연결  (0) 2021.12.13
rs232 to rs485 무전원 컨버터 전원공급 방법 RI(ring indicator)  (0) 2021.12.08
채널 본딩...  (0) 2019.03.08
TLS 하드웨어 가속  (0) 2019.02.07
iptime port trunk / link aggregation  (0) 2019.01.24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