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버전의 비쥬얼 스튜디오에서 생성한 프로젝트의 경우
해당 버전의 stdafx.h 를 생성하면서 _WIN32_WINNT 의 선언을 끌어 오게 되는데
그로인해 새로운 버전과 충돌이 나면서 컴파일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프로젝트를 컴파일 하면, atlcore.h 파일에서 이 부분이 오류가 난다고 지적을 해주고

그 선언을 추적해보면, sdkddkver.h 에 0x0601로 선언이 되어있다.

하지만, 프로젝트 내의 stdafx.h 에서는 0x0400 으로 선언이 되어 있기 때문에
위의 조건식에서(#if _WIN32_WINNT < 0x0403) 에러가 발생이 되게 된다.

그러므로 이 값을 임의로 수정해주면 되는데, sdkddkver.h 의 값을 끌어오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

[링크 : http://vsts2010.net/411]
Posted by 구차니
단축키가 ctrl-W 에서 ctrl-shift-X 로 바뀌었다 -_-

헉.. 크크크크...크고 아름다워!! (읭?)

Posted by 구차니
음.. 일단 별다른 것을 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30일 사용
그리고 추가적으로 구매하거나 기간연장용 시리얼 키를 넣을수는 있는 듯.
연결되는 페이지는 아래인데 음.. 내가 연장용 시리얼을 받는 곳을 못 찾는듯 싶다.

[링크 : http://www.microsoftstore.co.kr/.../Category/0502?ref_ck=VS2010_TC&WT.mc_id=VS2010_TC]

귀찮으니 번호 없이 고고싱




아래는 사용자 지정시 화면, Visual C++ 과 SQL Server 2008 이 용량을 1.6기가 정도씩 차지한다.
신기한건, 전부 체크를 꺼도 3기가 정도의 용량이 필요하다는 점.(Platform SDK와 .net framework 의 용량이려나?)

아마도 VS2010 은 .net 4.0
          VS2008 은 .net 3.5 인듯 하다.

실행을 하면 한참 하드를 읽다가, 한참뒤에야 이 창이 뜬다...
그리고 정말 오래 걸린다 ㄱ-

처음 비쥬얼 스튜디오를 실행하면 나오는 화면으로, 원하는 언어를 선택한다.
위에서 비베나 웹개발은 다 제외했기에 아래의 몇개 언어만 나왔다.

음.. Visual Studio 6 이후로는 처음이라.. OTL
매.우.생.소.한.화.면

지원하는 프로젝트들, F#이라는 넘은 처음보는데 Silverlight 용이군!

대망(?)의 C# 안해봤으니 먼지 모름 -_-

C++은 이것 아래로 "클래스 라이브러리" 와 "테스트 프로젝트" 두가지가 더 존재한다.

도움말 - 제품등록 을 누르면 나오는 내용으로, 30일 사용가능하다.
"온라인으로 새 키 받기"를 눌러도.. 이상한 페이지만 뜨니 어쩌라구 ㄱ-


음.. social.msdn 쪽을 보니, 홈페이지에서 연장이 가능하다는데
영문페이지에는 존재하지만, 한글 페이지에는 존재하지 않는 버튼이다 ㄱ-
한글 버전 지우고 영문을 설치해야 하려나?


[링크 : http://www.microsoft.com/visualstudio/ko-kr/download]
[링크 : http://www.microsoft.com/visualstudio/en-us/download]
Posted by 구차니
음.. 60일짜리 옵션을 쓰면 30일을 쓴다는건 조삼모사일까
언어도단일까, 말장난일까, 개구라일까? 머지?!?!?!

NOTE: The trial period lasts for 30 days with the option to register the software for an additional 60 days.
참고: 평가판은 추가 60일 동안 소프트웨어를 등록하는 옵션을 사용하여 30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링크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en/details.aspx?...&displaylang=en]
[링크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displayLang=ko]

아무튼, 2008은 90일 2010은 60일 옵션으로 30일 사용이 가능하다고 써있다.
Posted by 구차니
visualSVN은 apache와 svn 서버를 통합한 녀석으로 윈도우용 버전에 free / enterprise 버전이 존재한다.
예전에 아파치 + SVN 통합은 먼가 복잡해서 포기했었는데 이녀석을 한번 시간내서 설치해 봐야겠다.


기능상의 제약이 있지만, 상업용도로도 Standard Edition을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충분한 장점!

[링크 : http://www.phpk.org/archives/181]
[링크 : http://www.visualsvn.com/]

'프로그램 사용 > Version Contr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ache2 리눅스 계정으로 인증하기(PAM)  (0) 2010.11.11
Apache + SVN on Ubuntu 10.04  (0) 2010.11.03
TortoiseSVN tag/branch = copy  (2) 2010.04.30
cvs2svn 사용방법 2  (0) 2010.04.23
svn / svnadmin 도움말  (0) 2010.04.23
Posted by 구차니

으헝헝 SUN 이 Oracle에 인수되고 나니
오픈오피스 로고도 Oracle로 짠~

근데 왠지 어색한건... 기분탓이려나?



2010.09.16 추가
아래는 3.2 버전의 스플래시 화면


Posted by 구차니
메인 패키지는 MinGW, 부분적으로 MSYS와 mingwPORTs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MinGW와 MSYS는 독립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mingwPORT는 MinGW와 MSYS 둘다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MinGW, a contraction of "Minimalist GNU for Windows", is a minimalist development environment for native Microsoft Windows applications.

MinGW includes:

  • A port of the GNU Compiler Collection (GCC), including C, C++, ADA and Fortran compilers;
  • GNU Binutils for Windows (linker, archive manager)
  • MSYS, a fork of Cygwin designed for running configure scripts and Makefiles
  • Community-supported add-on tools and libraries (mingwPORTs)
  • A graphical and a command-line installer for Windows
  • Cross-compilers to build Windows applications on other platforms (e.g. Linux)

MSYS, a contraction of "Minimal SYStem", is a Bourne Shell command line interpreter system. Offered as an alternative to Microsoft's cmd.exe, this provides a general purpose command line environment, which is particularly suited to use with MinGW, for porting of many Open Source applications to the MS-Windows platform; it includes a small selection of Unix tools, chosen to facilitate that objective, and using it is a necessary prerequisite for building mingwPORTs.

mingwPORTs are user contributed additions to the MinGW software collection. Rather than providing these "add-ons" as precompiled binary packages, they are supplied in the form of interactive Bourne shell scripts, which guide the end user through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downloading and patching original source code, then building and installing it. Users who wish to build any application from a mingwPORT must first install both MinGW and MSYS.


[링크 : http://mingw.org/]


아래의 링크에서 자동화된 MinGW 인스톨러를 다운로드 하고
[링크 : http://sourceforge.net/downloads/mingw/Automated%20MinGW%20Installer/mingw-get-inst/]

mingw-get-inst.exe을 실행하니 기본값으로 C Compiler만 설정되어 있다.

GCC만 설치하면, gcc / gdb / gcov / gprof 등은 설치되나,
make는 빠지므로 별도로 설치를 해야한다.

그런 이유로, GCC 와 MSYS를 선택하여 설치하면 gcc / make 가 설치되며
이경우 전체설치 용량은 108MB 를 차지한다.

사족 : 가끔 MinGW를 민구로 읽으면 어떨까? 라는 생각이 든다 -_-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2010. 9. 7. 12:20
빵집이 다 좋은데.. ISO/UDF는 지원을 하지 않아 아쉬움이 있다.


머.. 아쉬운대로 ISO/UDF를 위해 7zip 설치!

[링크 : http://koc2000.tistory.com/entry/Extract-ISO-UDF-Image-File-2]
Posted by 구차니
현재 2010과 2008에 대한 Express 버전을 받을수 있으며,
2010-All은 ISO, 2010-Visual-CPP는 웹설치 버전이다.(취향에 따라! 하지만 All이 좋을듯)

2010-All English ISO는 694MB 정도의 용량이다.
2008-All English ISO는 749MB 정도인데 음.. 2008을 쓰는게 좋을려나?

[링크 : http://www.microsoft.com/express/Downloads/#2010-All]
[링크 : http://www.microsoft.com/express/Downloads/#2010-Visual-CPP]
Posted by 구차니
전부받을 필요는 없고, 필요한 버전을 골라 받으면된다.
대부분 x86용일테니 GRMSDK_EN_DVD.iso로 받으면 될듯하다.(드물게 64bit용을 받을지도?)

Microsoft Windows SDK for Windows 7 and .NET Framework 4 (ISO)

x86      ISO File Name: GRMSDK_EN_DVD.iso
x64      ISO File Name: GRMSDKX_EN_DVD.iso
Itanium ISO File Name: GRMSDKIAI_EN_DVD.iso

[링크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en/details.aspx?FamilyID=35AEDA01-421D-4BA5-B44B-543DC8C33A20&displayLang=en]

Microsoft Windows SDK for Windows 7 and .NET Framework 3.5 SP1 (ISO)

x86     ISO File Name: GRMSDK_EN_DVD.iso
AMD64 ISO File Name: GRMSDKX_EN_DVD.iso
Itanium ISOFile Name: GRMSDKIAI_EN_DVD.iso

[링크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en/details.aspx?familyid=71DEB800-C591-4F97-A900-BEA146E4FAE1&displaylang=en]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