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사용/nfs2012. 6. 8. 19:52
집에와서 공유기 빼고 해보니 자~알 된다 -_-
아마도 공유기(D-LINK DI-524) 모델이 1024번 이하에 대해서 제대로 열어주지 못하는게 아닐까 조금 의심이 된다.
showmount 시에 RPC timeout이 된 것 봐서는 111번 포트를 매~우 유력한 후보로...

--- 삭제(백업용) ---
회사는 둘다 KT 망을 사용하는데
동일 건물이라서 그런지 nfs를 붙이는데 아무런 이상이 없다.(물론 둘다 10.04 LTS ubuntu desktop)
하지만 집의 녀석과 붙이려니 요런 에러를 뱉어주신다.  (12.04 LTS ubuntu desktop)
  mount 에서는    mount.nfs: access denied by server while mounting
  dmesg 에서는   nfsd: last server has exited, flushing export cache 

이래저래 고민을 해보니.. 집은 SK(구, 하나로 케이블) 라서 인가? 이런 고민도 드는데..
강제로 -o vers=3 를 통해 구버전으로 맞춰줘도 여전한걸 보니..
1024번 이하의 포트를 막아둔게 아닐까라는 의심이 새록새록..

 반대 방향으로 해보니 된다... 도대체 머가 문제지 -_- 
혹시.. no_subtree_check 이녀석 문제인가? << 이건 아님 ㅠ.ㅠ

no_subtree_check
This option disables subtree checking, which has mild security implications, but can improve reliability in some circumstances.
If a subdirectory of a filesystem is exported, but the whole filesystem isn't then whenever a NFS request arrives, the server must check not only that the accessed file is in the appropriate filesystem (which is easy) but also that it is in the exported tree (which is harder). This check is called the subtree_check.

In order to perform this check, the server must include som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file in the "filehandle" that is given to the client. This can cause problems with accessing files that are renamed while a client has them open (though in many simple cases it will still work).

subtree checking is also used to make sure that files inside directories to which only root has access can only be accessed if the filesystem is exported with no_root_squash (see below), even if the file itself allows more general access.

As a general guide, a home directory filesystem, which is normally exported at the root and may see lots of file renames, should be exported with subtree checking disabled. A filesystem which is mostly readonly, and at least doesn't see many file renames (e.g. /usr or /var) and for which subdirectories may be exported, should probably be exported with subtree checks enabled.

The default of having subtree checks enabled, can be explicitly requested with subtree_check.

From release 1.1.0 of nfs-utils onwards, the default will be no_subtree_check as subtree_checking tends to cause more problems than it is worth. If you genuinely require subtree checking, you should explicitly put that option in the exports file. If you put neither option, exportfs will warn you that the change is pending.
 
[링크 :  http://linux.die.net/man/5/exports]   

showmount로 해보니 이런 에러 발생 -_-
clnt_create: RPC: Port mapper failure - Timed out 

설마.. 공유기 문제는 아니려나? 

'프로그램 사용 > nf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c: failed to register lockdv1 RPC service (errno 111)  (0) 2015.02.10
nfs mount 시 옵션들  (0) 2012.12.11
showmount  (0) 2012.06.08
ubuntu nfs 지원  (4) 2012.06.06
conflict of nfs file lock and samba  (0) 2011.08.04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nfs2012. 6. 8. 19:47
원격지의 nfs 서버의 exports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 showmount -e [ip_address|url]

[링크 :  http://nixcraft.com/...nfs-server-mount-nfs-access-denied-server-while-mounting-...-shared-folder.html]
[링크 :  http://linux.die.net/man/8/showmount]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nfs2012. 6. 6. 18:28
kernel-nfs-server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고 nfs로 붙이려고 하니
/proc/filesystem에 nfs를 지원하다고 나옴에도 불구하고 붙어지질 않는다.
그런 이유로 nfs를 mount 하기 위해서는  kernel-nfs-server 패키지를 설치해야한다
(/etc/exports를 비워두거나 서비스를 실행하지 않도록 설정필요)

mount: wrong fs type, bad option, bad superblock on server:/path,
       missing codepage or helper program, or other error
       (for several filesystems (e.g. nfs, cifs) you might
       need a /sbin/mount.<type> helper program)
       In some cases useful info is found in syslog - try
       dmesg | tail  or so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12. 6. 5. 21:26
설정파일의 경로는 아래와 같다.

/etc/vlc/lua/.hosts

2009/12/08 - [프로그램 사용/VLC] - VLC 웹 인터페이스 원격지에서 안될경우

'프로그램 사용 > VLC'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C RTSP 데이터 덤프하기?  (0) 2013.02.26
vlc를 이용한 html rtsp 스트리밍 예제  (2) 2013.01.11
VLC codebase axvlc.cab  (2) 2011.11.18
VLC classid  (0) 2011.11.18
VLC로 웹상에서 RTSP 비디오 띄우기  (0) 2011.11.17
Posted by 구차니
phpmyadmin은 database를 편리하게 웹으로 관리하는 도구이다.
별도로 설치하려면 귀찮을 법한데, phpmyadmin 이라는 패키지로 우분투에 존재한다.

 $ sudo apt-get install phpmyadmin

/usr/share/phpmyadmin 에 설치되며
apache 설정에 의해 http://localhost/phpmyadmin 으로 접속이 가능해진다.
로그인 계정은 mysql의 계정과 암호이다.

글쓴당시 최신 버전은 3.5.1 이며
우분투에서 관리되는 버전은 3.4.10.1 이며 한글은 지원되지 않는다.

[링크 :  http://www.phpmyadmin.net/home_page/index.php]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wiki2012. 6. 2. 20:35
1. 서버내 경로 옮기기
$wgScriptPath       = "/mediawiki";
$wgScriptPath       = "";  

위키가 설치된 경로를 의미하는데
만약에 /var/www/mediawiki에 설치 되었다면 /mediawiki 로 입력하게 된다. (우분투 기준, /var/www 가 htdocs일 경우) 
그리고 웹서버에서 mediawiki만 서비스하고 싶다면
/var/www 에 mediawiki 하위 내용을 다 옮긴후 "" 로 빈 경로를 넣어주면 된다.


2. 로고 바꾸기
$wgLogo             = "$wgStylePath/common/images/wiki.png"; 
$wgLogo             = "$wgStylePath/common/images/mediawiki.png"; 

기본 설치시 $wgLogo를 변경해서 아이콘을 변경하라는 로고가 박히는데 그게 wiki.png 파일이다. 
mediawiki.png로 바꾸면 이쁜 꽃모양의 로고로 변경되고 mediawiki상의 경로는
mediawiki/skin/common/images/wiki.png 에 안내 로고가 위치한다. 
Posted by 구차니
sun 이 oracle에 인수당하면서
open office의 로고가 오라클로 바뀌어 마음에 안들었는데
모종의 내막에 의해 오라클과 결별하고 독립 재단으로
기존의 open office를 유지하는게 libre office라고 한다.
스페인어인지 아무튼 libre가 free라는데. freeoffice라고 해도 나쁘진 않으려나?

아무튼, 왜 뜬금없이 이상한 오피스를 우분투에서 넣어두었나
그런데 왜이리 오픈오피스랑 비슷한가 했는데, 그런 이유가 있었던 듯.

다른 문서를 찾아보니
openoffcie는 jre내장이고 libre는 포함하지 않는 장단점이 있다고 한다.

[링크 :  http://www.bloter.net/archives/48888]
[링크 :  http://www.libreoffice.org/download/ ]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wiki2012. 5. 26. 15:26

$ vi LocalSettings.php
require_once( "$IP/extensions/SyntaxHighlight_GeSHi/SyntaxHighlight_GeSHi.php");

[링크 :  http://www.mediawiki.org/wiki/Extension:ASHighlight ]
[링크 :  http://www.mediawiki.org/wiki/Extension:SyntaxHighlight_GeSHi ]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wiki2012. 5. 13. 22:36
1.19.0에서는 개인용으로 위키를 설정할수 있는데
생성된 Localsetting.php 파일을 확인하니 아래와 같은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위에서 부터 순서대로 계정생성 막기 / 편집 막기 / 읽기 막기이다.
$wgGroupPermissions['*']['createaccount'] = false;
$wgGroupPermissions['*']['edit'] = false;
$wgGroupPermissions['*']['read'] = false; 

2010/12/09 - [프로그램 사용/wiki] - mediawiki 사용자 생성 막기 / 금지하기
2010/11/22 - [프로그램 사용/wiki] - mediawiki/dokuwiki 로그인 하지 않으면 내용보지 못하게 하기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wiki2012. 5. 10. 23:42
우비에서 무료로 100M 호스팅을 받는데
미디어 위키에 FCKeditor 하나 했을뿐인데 99MB가 나와서 깜놀 -_-
디렉토리 뒤져보니 언어 메시지 디렉토리가 절반을 쳐묵쳐묵 -_-

/mediawiki/languages$ du -h
392K    ./classes
46M     ./messages
46M     . 

아무튼 삭제하는 방법은 아래글에서 참조해서 해봐야 할 듯 -_-
영어랑 한글만 놔두고 삭제해봐야지 ㅠ.ㅠ

[링크 : http://www.mediawiki.org/wiki/Localisation#Removing_existing_messages]

---
2012.5.14 추가
한글로만 운영하니 삭제해도 전혀 지장이 없다 

'프로그램 사용 > wiki'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diawiki 문법강조  (0) 2012.05.26
mediawiki 1.19.0 개인용 설정  (2) 2012.05.13
mediawiki 1.19.0 + FCKeditor 설치시 오류  (0) 2012.05.10
mediawiki 업그레이드 하기  (0) 2011.12.18
mediawiki 이전하기  (0) 2011.12.18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