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Ubuntu2009. 4. 25. 00:42
X11이 가동중이라면(다르게 말해서 Gnome이나 KDE 등이 실행중이라면, 혹은 runlevel이 5라면)
localhost:0.0 은 사용중이므로 사용할 수가 없다.
(그러니까 기본값인 5900은 실질적으로 X윈도우가 기본 구동되는 우분투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그런 이유로 다른 포트로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데..
시스템 > 기본 설정 > 원격 데스크탑 설정을 눌러주면 아래와 같이 실행된다.

공유에서 다른 사용자가 데스크탑을 볼 수 있도록 합니다.
다른 사용자가 데스크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합니다. 를 체크해준 후
아래의 확인을 하도록 물어보기는 끄고, 사용자가 이 암호를 입력하여야 합니다 를 체크하고 암호를 입력해줍니다.


그리고 고급 탭에서는
보조 포트 사용을 해준다음, 5901이나 5902등, 5900번을 피해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로컬 연결만 허용은, SSH 터널링 등을 통해서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그냥 vnc로 바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체크를 꺼주어야 합니다.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gnome-avrdude 컴파일하기  (6) 2009.04.27
ubuntu와 fedora의 비교  (0) 2009.04.26
kscope on Ubuntu 8.10  (0) 2009.04.24
우분투 설치중  (6) 2009.04.24
ubuntu 8.10 설치 실패.. 아놔 CD 관리 ㅠ.ㅠ  (2) 2009.04.23
Posted by 구차니
Linux2009. 4. 24. 14:56
$ addr2line --help
Usage: addr2line [option(s)] [addr(s)]
 Convert addresses into line number/file name pairs.
 If no addresses are specified on the command line, they will be read from stdin
 The options are:
  @<file>                Read options from <file>
  -b --target=<bfdname>  Set the binary file format
  -e --exe=<executable>  Set the input file name (default is a.out)
  -i --inlines           Unwind inlined functions
  -j --section=<name>    Read section-relative offsets instead of addresses
  -s --basenames         Strip directory names
  -f --functions         Show function names
  -C --demangle[=style]  Demangle function names
  -h --help              Display this information
  -v --version           Display the program's version

addr2line: supported targets: elf32-i386 a.out-i386-linux efi-app-ia32 elf32-little elf32-big srec symbolsrec tekhex binary ihex trad-core
Report bugs to <URL:http://www.sourceware.org/bugzilla/> and hjl@lucon.org

$ addr2line -e a.out -f 0xaaaaaaa
이런식으로 사용하면 함수 이름이 뿅 하고 나오나?

[발견  :  http://blog.naver.com/carnola?Redirect=Log&logNo=70033330562]
Posted by 구차니
Linux2009. 4. 24. 14:11
352 static int handle_unaligned_access(u16 instruction, struct pt_regs *regs)
353 {
354 u_int rm;
355 int ret, index;
356
357 index = (instruction>>8)&15; /* 0x0F00 */
358 rm = regs->regs[index];
359
360 /* shout about the first ten userspace fixups */
361 if (user_mode(regs) && handle_unaligned_notify_count>0) {
362 handle_unaligned_notify_count--;
363
364 printk("Fixing up unaligned userspace access in \"%s\" pid=%d pc=0x%p ins=0x%04hx\n",
365 current->comm,current->pid,(u16*)regs->pc,instruction);
366 }
...
487 }


[링크 : http://www.gelato.unsw.edu.au/lxr/source/arch/sh/kernel/traps.c]

Fixing up unaligned userspace access in "stbmw.out" pid=378 pc=0x29aa1848 ins=0x6111
이러한 커널 경고 메시지가 나올 때
PID는 Process ID
PC는 Program counter
INS는 INStruction 을 의미한다.


Fixing up unaligned userspace access in "sh" pid=48 pc=0x0ccda168 ins=0x60f0
Fixing up unaligned userspace access in "sh" pid=48 pc=0x0ccd9eac ins=0x9015

DissAddr Obj Code Dissassembly

0CCDA158 6893 MOV R9,R8
0CCDA15A 410B JSR @R1
0CCDA15C 7801 ADD #H'01,R8
0CCDA15E 64A2 MOV.L @R10,R4
0CCDA160 3488 SUB R8,R4
0CCDA162 D13C MOV.L @(H'00F0:8,PC),R1
0CCDA164 410B JSR @R1
0CCDA166 0009 NOP
0CCDA168 60F0 MOV.B @R15,R0 ## Faulting Address
0CCDA16A 8809 CMP/EQ #H'09,R0
0CCDA16C 8904 BT @H'CCDA178:8
0CCDA16E 9162 MOV.W @(H'00C4:8,PC),R1
0CCDA170 31FC ADD R15,R1
0CCDA172 9061 MOV.W @(H'00C2:8,PC),R0
0CCDA174 5119 MOV.L @(H'24:4,R1),R1
0CCDA176 0F16 MOV.L R1,@(R0,R15)
0CCDA178 AE21 BRA @H'CCD9DBE:12
0CCDA17A 0009 NOP

[링크 : http://markmail.org/message/yfqbcoa6xumlk6pdb+state:results]

그나저나.. so 파일로 분산해서 사용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4. 24. 01:32
kate 패키지가 패키지 매니저에서 제대로 설치 되지 않기 때문에
kscope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다.

그런 이유로 아래의 패키지를 받아서 설치 해야 한다.

kate_3.5.9.dfsg.1-6_alpha.deb 822 KB 2008년 12월 16일 18시 32분 00초
kate_3.5.9.dfsg.1-6_amd64.deb 819 KB 2008년 12월 05일 00시 17분 00초
kate_3.5.9.dfsg.1-6_arm.deb 773 KB 2008년 12월 05일 21시 17분 00초
kate_3.5.9.dfsg.1-6_armel.deb 778 KB 2008년 12월 04일 23시 47분 00초
kate_3.5.9.dfsg.1-6_hppa.deb 840 KB 2008년 12월 09일 06시 47분 00초
kate_3.5.9.dfsg.1-6_i386.deb 806 KB 2008년 12월 03일 21시 17분 00초
kate_3.5.9.dfsg.1-6_ia64.deb 919 KB 2008년 12월 04일 06시 17분 00초
kate_3.5.9.dfsg.1-6_mips.deb 769 KB 2008년 12월 04일 09시 17분 00초
kate_3.5.9.dfsg.1-6_mipsel.deb 763 KB 2008년 12월 04일 21시 32분 00초
kate_3.5.9.dfsg.1-6_powerpc.deb 822 KB 2008년 12월 04일 14시 02분 00초
kate_3.5.9.dfsg.1-6_s390.deb 829 KB 2008년 12월 04일 11시 17분 00초
kate_3.5.9.dfsg.1-6_sparc.deb 790 KB 2008년 12월 04일 21시 32분 00초

[링크 : ftp://ftp.debian.org/debian/pool/main/k/kdebase/]

나의 경우에는 펜티엄4 이므로 i386을 설치 하면된다.

$ file /usr/local/lib/*
libkateinterfaces.so.0:     symbolic link to `libkateinterfaces.so.0.0.0'
libkateinterfaces.so.0.0.0: ELF 64-bit LSB shared object, x86-64, version 1 (SYSV), dynamically linked, stripped
libkateutils.so.0:          ELF 64-bit LSB shared object, x86-64, version 1 (SYSV), dynamically linked, stripped
python2.5:                  setgid directory

i386 패키지를 섩치하면 x86-64 버전으로 설치가 된다.


그리고  kscope를 실행하면~


쨔잔~ 이렇게 나온다(아직 쓸줄은 모른다 ㅠ.ㅠ)


[발견 : http://mtsparrow.blogspot.com/2009/02/ubuntu-810-64bit-kscope.html]
[원본 : http://blog.naver.com/sglinux2418/60214557]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gnome-avrdude 컴파일하기  (6) 2009.04.27
ubuntu와 fedora의 비교  (0) 2009.04.26
Ubuntu에 VNC 설정하기  (0) 2009.04.25
우분투 설치중  (6) 2009.04.24
ubuntu 8.10 설치 실패.. 아놔 CD 관리 ㅠ.ㅠ  (2) 2009.04.23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4. 24. 00:52

페도라를 쓰다가 처음으로 우분투를 설치해봤다.
예전에는 항상 USBLive로만 했는데, 처음으로 정식 설치를 했다.

일단 될지 안될지 모르지만, KCachegrind를 설치 하기 위해서 패키지 매니저에서 업데이트를 했는데...
페도라에서는 거의 CPU 가 항상 90에서 100%를 찍었는데(yum을 통한 업데이트시)
우분투는 평균적으로 50% 정도를 찍는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플래시도 잘나오고 ... 이거 물건이잖아! 라는 느낌 -ㅁ-!


그런데.. 페도라에서 너무 익숙해져 있어서였는지 모르겠지만...
tree라던가 mc 라던가 디렉토리 구조라던가 너무 달라서 적응이 안된다.
desktop을 지향하면서 만든 ubuntu의 한계라고 할수도 있겠지만.. 아무튼 페도라에서 있던 웬만한 명령어들이
웬만해서는 다 안된다는 건 참... 답답하다고 해야 하나..
아무튼 익숙해져 봐야겠다.. OTL


예상대로.. kscope는 libkateinterface.so.0 가 없다고 안된다.. 머.. 보나마나 강제로 연결해줘도 버전 문제로
안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니.. 이거참... KDE 3.3을 어떻게 설치 해야 하나?

meld는 요렇고롱 잘되고

Kcachegrind도 잘되는데

왜...!!! Kscope만 안될까 ㅠ.ㅠ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gnome-avrdude 컴파일하기  (6) 2009.04.27
ubuntu와 fedora의 비교  (0) 2009.04.26
Ubuntu에 VNC 설정하기  (0) 2009.04.25
kscope on Ubuntu 8.10  (0) 2009.04.24
ubuntu 8.10 설치 실패.. 아놔 CD 관리 ㅠ.ㅠ  (2) 2009.04.23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4. 23. 01:07
어제는 우분투 8.10 바람이 불어서 설치 해볼려고 했더니..
32% 에서 cd 못 읽는다고 배째는 센스.. OTL
하도 굴렸더니 그러려니 해야지머... (CD가 없어서 DVD로 구웠는데 ㅠ.ㅠ)

아무튼 LiveCD 모드로 구동되서 확인해본 패키지 모음들

KCachegrind - Valgrind의 GUI 버전이라고 해야 하나.. 프로파일링쪽이다.

Kscope - 이녀석은 소스 분석쪽이다. 리눅스 계의 Source Insight라고 해야 하나?
Cscope의 GUI 버전

Meld - Python 기반의 비교툴. Araxis 보다 더 좋아 보인다 ㅠ.ㅠ

시냅틱 패키지 매니저 에서 컴파일러 모음
build-essential 이거 하나면 전부 설치 된다고 한다.


개고생하면서 계속 실패 중인... Kscope와 KCachegind 그리고 Meld...
이렇게 쉽게 할 수 있다는 사실에 오~ 초~~~ 쇼크~ OTL

우분투로 바로 전향 고고싱?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gnome-avrdude 컴파일하기  (6) 2009.04.27
ubuntu와 fedora의 비교  (0) 2009.04.26
Ubuntu에 VNC 설정하기  (0) 2009.04.25
kscope on Ubuntu 8.10  (0) 2009.04.24
우분투 설치중  (6) 2009.04.24
Posted by 구차니
Linux2009. 4. 15. 18:03
$ cat /etc/X11/xinit/xinput.d/ko_KR
XIM=nabi
XIM_PROGRAM="/usr/bin/nabi"
XIM_ARGS=
GTK_IM_MODULE=xim
DEPENDS=

X11에서 IM(Input Method)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나의 경우에는
SCIM을 사용하므로 GTK_IM_MODULE에서는 scim 이라고 쳐주면 된다고 한다.

vnc 등에서도 scim을 IM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export GTK_IM_MODULE=scim
이라고 입력해주면 된다고 한다.

[발견 : http://hwsj.tistory.com/306]
[링크 : http://kldp.org/node/59667]
Posted by 구차니
Linux2009. 4. 14. 11:56
int fd;
int rand_val;

fd = open("/dev/random", O_RDONLY);
read(fd,&rand_val,sizeof(int));
close(fd);

조인시에 의하면 조용한 시스템에서는 랜덤값이 안 바뀌는 문제가 있을 수도 있으니 주의하라고 하지만..
우리 시스템은 조용할리가 없기에 -ㅁ- random() 보다는 이녀석을 써볼까 생각중이다.

[링크 : http://www.joinc.co.kr/modules/moniwiki/wiki.php/article/random]


테스트 이후 : 커널에서 random device 사용이 설정이 안되어 있는지, read시에 무한루프 걸리는 듯 하다.
Posted by 구차니
Linux2009. 4. 12. 19:03

< startx and .xinitrc >

If you use the startx command for starting up the X Window System, you'll need to edit a file called .xinitrc that is located in your home directory. If the file already is there, just open it with your favorite text editor. If you don't have such a file in your home directory, create a new file with that name. Note the dot in the file name - it shows you that the file is a hidden file and doesn't show when you do a normal directory listing.

If you already have a .xinitrc file in your home directory, it may be a huge scary-looking text file with a lot of text that makes just as much sense as a file produced with a random number generator and encrypted after writing. If you want to make a backup of this file, rename it to something like .xinitrc.backup or whatever you wish:
mv .xinitrc .xinitrc.backup

Now you can use your text editor for creating a new, blank .xinitrc file. Although the file may be a complicated multi-line geeky script, it can be very simple, too. In its simplest it just contains a single line with the name of your new window manager. So, add a line like this to your file:
exec windowmanager
where windowmanager is the command that starts the window manager you want to be your default. For example, to make Window Maker your default window manager, you'd have a line like this:
exec wmaker

The commands for starting some popular window managers and desktop environments are:

  • KDE = startkde
  • Gnome = gnome-session
  • Blackbox = blackbox
  • FVWM = fvwm (or, for FVWM2 it's fvwm2, surprise)
  • Window Maker = wmaker
  • IceWM = icewm

After editing the .xinitrc file, save your changes. The next time you do a startx, the new window manager will be your default.


[출처 : http://www.tuxfiles.org/linuxhelp/changeman.html]


startx 라고 하면 리눅스에서 Xwindow가 구동이 되는데
어떠한 원리로 KDE나 Gnome 혹은 그 외의 윈도우 매니저가 선택이 되는지 궁금해서 찾아보게 되었지만
실제로 얻어낸 정보는 KDE 실행 파일이름(혹은 스크립트) Gnome 실행 파일이름 뿐이다..

]$ startx
xauth:  creating new authority file /home/morpheuz/.serverauth.3128

X.Org X Server 1.4.99.901 (1.5.0 RC 1)
Release Date: 5 September 2007
X Protocol Version 11, Revision 0
Build Operating System: Linux 2.6.18-53.1.14.el5xen i686
Current Operating System: Linux localhost.localdomain 2.6.25-14.fc9.i686 #1 SMP Thu May 1 06:28:41 EDT 2008 i686
Build Date: 06 May 2008  03:35:07PM
Build ID: xorg-x11-server 1.4.99.901-29.20080415.fc9
        Before reporting problems, check http://wiki.x.org
        to make sure that you have the latest version.
Module Loader present
Markers: (--) probed, (**) from config file, (==) default setting,
        (++) from command line, (!!) notice, (II) informational,
        (WW) warning, (EE) error, (NI) not implemented, (??) unknown.
(==) Log file: "/var/log/Xorg.0.log", Time: Mon Apr 13 00:10:44 2009
(==) Using config file: "/etc/X11/xorg.conf"

(EE) Failed to initialize GLX extension (NVIDIA X driver not found)
expected keysym, got XF86Info: line 914 of inet
expected keysym, got XF86Info: line 914 of inet
Started none
SESSION_MANAGER=local/unix:@/tmp/.ICE-unix/3316,unix/unix:/tmp/.ICE-unix/3316
** Message: another SSH agent is running at: /tmp/ssh-cwskYs3316/agent.3316
Window manager warning: Failed to read saved session file /home/morpheuz/.metacity/sessions/default1.ms: Failed to open file '/home/morpheuz/.metacity/sessions/default1.ms': No such file or directory
Failure: Module initalization failed

** (nm-applet:3382): WARNING **: <WARN>  applet_dbus_manager_start_service(): Could not acquire the NetworkManagerUserSettings service.
  Message: 'Connection ":1.102" is not allowed to own the service "org.freedesktop.NetworkManagerUserSettings" due to security policies in the configuration file'


(nm-applet:3382): GLib-GObject-CRITICAL **: g_object_unref: assertion `G_IS_OBJECT (object)' failed
system-config-printer-applet: failed to start NewPrinterNotification service

** (nautilus:3343): WARNING **: Unable to add monitor: Not supported


도대체.. 어떤 파일이나 어떠한 환경변수를 사용하여 그것을 설정하는지 알 수가 없다.
Posted by 구차니
Linux/Fedora Core2009. 4. 6. 21:47
여기저기 찾아 보다가 결국에는 GG 때리고 말았는데..
2008년 2월 문서로, KDE에서 kdm을 사용할때는 되는데 GNOME에서 gdm으로는
XDMCP가 열리지 않는 버그가 있다고 한다.
아무튼.. KDE로 시도를 해보던가, 아니면 포기를 하던가 해야겠다..

아니면.. FC6에서는 제대로 되려나..

[링크 : http://forums.fedoraforum.org/showthread.php?t=188130]


아무튼
/etc/X11/gdm/gdm.conf의 에서
/etc/gdm/gdm.conf로 위치가 옮겨졌다.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