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2009. 6. 8. 16:57
dmidecode라는 녀석이 있는데..
문제는 BIOS가 있어야 사용이 가능하다.
다르게 말하자면 BIOS가 없는 임베디드에서는 사용불가.. OTL

# ./dmidecode
# dmidecode 2.10
# No SMBIOS nor DMI entry point found, sorry.

[링크 : http://www.nongnu.org/dmidecode/]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관련 정보 얻어내기  (2) 2009.06.09
하드디스크 정보 얻어내기(model명)  (0) 2009.06.08
리눅스에서 hex edit 하기  (0) 2009.05.28
ghex - gnome hex editor  (0) 2009.05.28
for문의 효과 - 코드사이즈 줄이기(리눅스)  (0) 2009.05.27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6. 2. 00:09
우연히(!) Geforce2 MX가 생겼고! 그래서 compiz가 떠올랐다!

그래서 그래픽 카드를 꼽고 주물럭 주물럭 해봤는데
처음에는 쉽게 되겠지 했는데.. 의외로 안되서 당황했다 -ㅁ-

일단 설치해야 하는 녀석은 ccsm 이라는 녀석과 desktop effects 라는 녀석이다.

그리고 바탕화면 오른쪽 클릭을 해서
모양새 기본 설정을 열고 - 화면효과에서 보통이나 많이를 체크해준다.


이녀석은 휠클릭으로 큐브를 나타내고(페도라와는 많이 달랐다 ㅠ.ㅠ)


기본적으로 창을 드래그하면 이렇게 출렁인다.


물론.. 당연한것일지도 모르겠지만, vnc로(혹은 vino-server)로는 보이지 않고
접속시 첫 화면만 보이고 갱신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ssh 터널링으로도 안된다.. 흐음...

아무튼 vnc를 통해 볼수는 없어도 마우스나 키보드는 제어가 가능하긴하다
(난 모니터 하나에 두대를 물려쓰고 우분투는 vnc로 접속해서 쓰는데,
 vnc로 보이지 않아 vnc를 띄우고 모니터는 우분투로(D-SUB 출력) 하고 위의 화면을 캡쳐했다. -.-v
 그리고 compiz 구동시 윈도우 매니저가 compiz가 되면서 실제로 캡쳐시에는
 프로그램 제목이 짤린채 내용만 캡쳐 된다.)

 compiz 구동시 캡쳐한 모양새 기본 설정화면의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 이름이 출력되지 않았다.



Posted by 구차니
Linux/Fedora Core2009. 6. 1. 18:59
간만에(?!) 업데이트도 하고, HP 스캐너 프로그램 설치해 볼려고 했더니 배를 째길래
콘솔에서 입력을 해봤더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을 했다.

Error: Cannot find a valid baseurl for repo: updates


검색을 해보니 2년 전에 repository가 종료되었으니 FC10으로 갈아 타라고 되어있다..
미네랄 ㄱ-

게다가.. FC8까지 올해 1월에 종료..
니미럴 ㄱ-


[링크 :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linux-general-1/]





2010.01.26 추가
/etc/yum.conf
/etc/yum.repos.d
에 yum 관련 설정파일들이 존재한다.
Posted by 구차니
Linux2009. 5. 28. 15:12
frhed에 너무 편해져 있어서인지.. 막상 리눅스에서 헥사 편집을 하려니 막막하다
아무튼 검색을 해보니

vi를 헥사편집기로 전환할수도 있고
:%!xxd       << hex 모드로
:%!xxd -r     << hex 모드에서 빠져나옴

[링크 : http://mwultong.blogspot.com/2007/08/vim-vi-hex-viewer-hex-editor-xxd.html]

heme라는 헥사편집기도 있는데 pctools 느낌이 난다.



[heme : http://heme.sourceforge.net/]
[발견 : http://coffeenix.net/board_view.php?bd_code=1340]
Posted by 구차니
Linux2009. 5. 28. 15:06


위의 사진은 공식 페이지에서 슬쩍..
그런데 어디서 많이 보던 디자인이다 싶긴한데.. frhex보단 조금 불편할 것 같기도 하고..
아무튼.. 서버도 ubuntu로 바꾸어 버릴까 고민이 드는 하루다.




[링크 : http://live.gnome.org/Ghex]
[링크 : http://ftp.gnome.org/pub/GNOME/sources/ghex/2.24/]
Posted by 구차니
Linux2009. 5. 27. 09:57
저번에 윈도우에서 Release mode로 컴파일 할때는 용량 변화가 전혀 없었는데..
리눅스에서 한번 혹시나? 하는 마음에 해보게 되었다.

-rw-rw-r-- 1 morpheuz dev   98 May 27 09:51 for.c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idx;

	for(idx = 0; idx < 5; idx++)
	printf("%X\n",idx);
}

-rw-rw-r-- 1 morpheuz dev  166 May 27 09:52 iter.c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idx = 0;

	printf("%X\n",idx++);
	printf("%X\n",idx++);
	printf("%X\n",idx++);
	printf("%X\n",idx++);
	printf("%X\n",idx++);
}

-rw-rw-r-- 1 morpheuz dev   98 May 27 09:51 for.c
-rwxrwxr-x 1 morpheuz dev 4749 May 27 09:52 for.o
-rw-rw-r-- 1 morpheuz dev 1446 Apr 13 17:19 iter.c
-rwxrwxr-x 1 morpheuz dev 4830 May 27 09:52 iter.o

리눅스에서는 윈도우와 다르게 for문에 의한 용량 감소가 확연히 눈에 띈다
Posted by 구차니
Linux2009. 5. 13. 11:26
configure를 하려는데 저런 뜬금없는 에러가 발생을 했다. (libjpeg 빌드 관련)
한번 검색을 해보니 CR/LF 문제로 인해서

dos2unix를 유틸리티로 CR/LF 변환을 해주어야 한다고 한다.

[링크 : http://www.snort.org/docs/faq/1Q05/node124.html]

$ dos2unix --help
dos2unix Copyright (c) 1994-1995 Benjamin Lin
         Copyright (c) 1998      Bernd Johannes Wuebben (Version 3.0)
         Copyright (c) 1998      Christian Wurll (Version 3.1)
Usage: dos2unix [-hkqV] [-c convmode] [-o file ...] [-n infile outfile ...]
 -h --help        give this help
 -k --keepdate    keep output file date
 -q --quiet       quiet mode, suppress all warnings
                  always on in stdin->stdout mode
 -V --version     display version number
 -c --convmode    conversion mode
 convmode         ASCII, 7bit, ISO, Mac, default to ASCII
 -l --newline     add additional newline in all but Mac convmode
 -o --oldfile     write to old file
 file ...         files to convert in old file mode
 -n --newfile     write to new file
 infile           original file in new file mode
 outfile          output file in new file mode

Posted by 구차니
Linux2009. 5. 12. 14:10
7.6 Relative item in date strings

Relative items adjust a date (or the current date if none) forward or backward. The effects of relative items accumulate. Here are some examples:

1 year
1 year ago
3 years
2 days

The unit of time displacement may be selected by the string `year' or `month' for moving by whole years or months. These are fuzzy units, as years and months are not all of equal duration. More precise units are `fortnight' which is worth 14 days, `week' worth 7 days, `day' worth 24 hours, `hour' worth 60 minutes, `minute' or `min' worth 60 seconds, and `second' or `sec' worth one second. An `s' suffix on these units is accepted and ignored.

The unit of time may be preceded by a multiplier, given as an optionally signed number. Unsigned numbers are taken as positively signed. No number at all implies 1 for a multiplier. Following a relative item by the string `ago' is equivalent to preceding the unit by a multiplier with value -1.

The string `tomorrow' is worth one day in the future (equivalent to `day'), the string `yesterday' is worth one day in the past (equivalent to `day ago').

The strings `now' or `today' are relative items corresponding to zero-valued time displacement, these strings come from the fact a zero-valued time displacement represents the current time when not otherwise change by previous items. They may be used to stress other items, like in `12:00 today'. The string `this' also has the meaning of a zero-valued time displacement, but is preferred in date strings like `this thursday'.

[링크 :  http://sunsite.ualberta.ca/Documentation/Gnu/tar-1.13/html_chapter/tar_7.html#SEC111]

date --date=now
date --date=today # same thing
date --date='3 seconds'
date --date='3 seconds ago'
date --date='4 hours'
date --date='tomorrow'
date --date='1 day'
date --date='1 days'
date --date='yesterday'
date --date='1 day ago'
date --date='1 days ago'
date --date='1 week'
date --date='1 fortnight'
date --date='1 month'
date --date='1 year'

[링크 : http://www.linuxforums.org/forum/linux-programming-scripting/111764-yesterdays-date-linux.html]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5. 7. 23:35
문득.. 방화벽에서 특정포트를 열어줄려고 습관적으로
$ ps -ef | grep iptable
을 실행했는데... 없다!!
iptables가 없다는건.. 방화벽이 없는건가!?!? 라는 생각에 검색을 해보니
오래전 우분투 5.x 대 이야기들, 그리고 없다라는 이야기마저도 존재하는데..


아무튼 요 근래 문서로 발견한 내용중에
$ sudo ufw enable
이라는 내용을 발견하였다.
[링크 : http://ubuntu.or.kr/viewtopic.php?p=16788]


그래서 ufw를 검색해보니
위키가 나오고 나름 편하게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으로 보인다.
[링크 : https://wiki.ubuntu.com/UbuntuFirewall]

 The default firewall configuration tool for Ubuntu is ufw. Developed to ease iptables firewall configuration, ufw provides a user friendly way to create an IPv4 or IPv6 host-based firewall.

ufw by default is initially disabled. From the ufw man page:

“ ufw is not intended to provide complete firewall functionality via its command interface, but instead provides an easy way to add or remove simple rules. It is currently mainly used for host-based firewalls. ”


[출처 : https://help.ubuntu.com/9.04/serverguide/C/firewall.html]


그래도.. 아쉬운건.. 페도라에서 사용하던 방화벽/ SELinux 설정용 프로그램이 안보인다는 점..
그리고... 방화벽이 없다는 사실은 웬지.. 충격적이다.
(가짜 진실에 속아 왔던 것일까?)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에서 rpm 설치하기 - install rpm package on ubuntu  (0) 2009.08.31
ubuntu에서 compiz 돌리기  (2) 2009.06.02
ubuntu에 cvs / svn 설치하기  (0) 2009.04.30
ubuntu 내장 VNC 서버 - vino-server  (0) 2009.04.30
삼바 설치하기  (0) 2009.04.29
Posted by 구차니
Linux2009. 5. 7. 00:30
$ update-rc.d
usage: update-rc.d [-n] [-f] <basename> remove
       update-rc.d [-n] <basename> defaults [NN | SS KK]
       update-rc.d [-n] <basename> start|stop NN runlvl [runlvl] [...] .
                -n: not really
                -f: force

$ man update-rc.d
NAME
       update-rc.d - install and remove System-V style init script links

SYNOPSIS
       update-rc.d [-n] [-f] name remove

       update-rc.d [-n] name defaults [NN | SS KK]

       update-rc.d   [-n]   name   start|stop  NN  runlevel  [runlevel]...   .
              start|stop NN runlevel [runlevel]...  . ...

예를 들어 svnserve를 구동하기 위해 /etc/init.d/svnserve 구동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이것을 런레벨 마다 S00svnserve / K00svnserve 이런식으로 복사를 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노가다성 작업을 자동화 시켜주는 유틸리티이다.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