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그 중, 실수로 떼어내게 되면, View - Dock * 메뉴로 붙여주면 된다.
그리고 파형을 보는 방법으로 4가지가 존재하며 기본값은 Waveform 이다.
Waveform (dB) 과의 차이점은 Waveform (dB)는 log=지수적으로 표현이 되었다는 점이다.
Waveform (dB)의 경우 좀더 크게 보인다)
Spectrum은 방송에서 많이 보던 그런 모양이다
음. 이녀석은 도움말에 의하면(젠장 복사가 안돼!)
| highlights the contour of the fundamental frequncy(musical pitch) of the audio, using the Enhanced Autocorrelation(EAC) algorithm. |
내가 보기에는 Spectrum에서 나타나는 값중 특정 대역만 표시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머하는데 쓰이는거지..)
아무튼, Invert 와 Reverse가 헷갈리는데
Invert는 u가 n 으로 보이게 되는 식으로 위아래가 뒤바뀌는 것이고
Reverse 시간적으로 앞과 뒤가 바뀌는 것이다(예전 서태지 노래중에 피가 모자라~ 이런용도로 사용가능)
그리고 추가적으로 Change Speed 와 Change Tempo 가 어학에서 쓰일만 한데,
Change Speed는 주파수가 달라지므로 1/2배속으로 하면 굵은 목소리로 나오는데 비해
Change Tempo는 주파수가 달라지지 않도록 느리게 하지만 약간 끊어지는 느낌이 나므로, 적절하게 사용하면 될듯하다.
2010/04/14 - [프로그램 사용] - open source audio recorder
2010/07/08 - [개소리 왈왈/토익이 싫어] - 토익 LC 강사님의 팁
'프로그램 사용 > audac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udacity로 묵음 삽입하기 (0) | 2014.12.19 |
|---|---|
| audacity로 샘플링 레이트 변경하기 (0) | 2014.12.18 |
| audacity - spectrum analyze + Frequency Width (4) | 2011.05.23 |
| audacity 구간반복하기 (2) | 2010.08.12 |
| open source audio recorder (2) | 2010.04.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