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keditor와 fckeditor의 차이점은 모르겠지만..
결론은 FCKeidotr는 이전의 CKEditor 였던 2 버전 이후로 단종되었고 버전 3부터 시작되었다.. 인가?

What is FCKeditor and how does it compare to CKEditor?
FCKeditor, discontinued after version 2, is the previous version of CKEditor, which started with version 3. The new CKEditor was redesigned from the ground up, offering more features, enhanced security and better integration.

Should I upgrade from FCKeditor?
Yes. FCKeditor was discontinued in 2010. Not only does our new version offer more features, it is also more stable and secure. The CKEditor core team has stopped supporting FCKeditor so each new browser update increases the risk of problems with it. It is strongly advised you switch to the latest version of CKEditor.
 
[링크 : http://ckeditor.com/support/faq/fckeditor

2008년 글인데.. 그 동안 많이 나아졌겠지만..
ckeditor는 ckfinder를 같이 써줘야 할 듯..
[링크 : http://www.yunsobi.com/blog/392]
Posted by 구차니
전보다는 mingw가 빨라졌는지 속도가 꽤 나온다. (3~5MiB)
$ git clone git://git.kernel.org/pub/scm/linux/kernel/git/torvalds/linux.git
Cloning into 'linux'...
remote: Counting objects: 3656409, done.
remote: Compressing objects: 100% (555211/555211), done.
Receiving objects:  16% (592016/3656409), 302.04 MiB | 3.47 MiB/s 

mingw git port
[링크 : http://git-scm.com/downloads]
[링크 : http://msysgit.github.io/]

이녀석.. 설치과정이 너~~~무 길다 -_-











메뉴는 Init / Gui / Bash 세가지


Gui를 누르면 먼가 좀.. TortoriseHg 같은 UI가 나온다 -_-a


궁금해서 추가해보지만 안된다 ㅠㅠ


걍 bash에서 명령어 복/붙 해서 해보니 한참 걸리네..


git history 하니 이렇게 이쁘게 쫜!


git gui



tortoise git
[링크 : https://code.google.com/p/tortoisegit/]

만만한 거부기!








확실히.. git 보단 조금은 단간한 설치 과정.
그리고 익숙한 context menu!


git clone을 통해서 svn checkout 하듯 받아 오면 되는데
Load Putty Key는 체크는 되어있지만 별 상관은 없는듯 하다.


위에서 mingw로 linux에 받고 있어서 일단 linux2로 받는데 속도는 mingw를 쓰는지 거의 동일하게 나온다.


show log


와.. 냅뒀더니 미친듯이 메모리 / 하드를 긁어대네.. 메모리 4기가인데 이거 머하는 짓이야!!! ㅠㅠ


2010/03/18 - [프로그램 사용/CVS / SVN / GIT / Mercurial] - GIT는 리눅스에서 받으시는걸 추천합니다. 

후덜덜. 리눅스 커널을 받았더니 총 1.37 기가


소스 자체는 530 메가 밖(에 일리가 있나!!!!)에 안된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2014. 6. 26. 14:37



nx7폴더 내의 ugii_env_ug.dat 파일에서 UGII_SMP_ENABLE을 찾아 주석을 삭제하거나
1로 설정해 주면된다.
###########################################################################
#
#  MISCELLANEOUS
#
#  This variable enables Symmetric Multi-processing (SMP) on systems
#  with multiple CPU's or that support hyperthreading.  Performance will
#  be improved in certain Parasolid operations, such as Mass Properties,
#  Booleans and silhouette generation.  This option is only supported on
#  platforms where Parasolid supports multi-threading.
#
#     Set to 0 to disable SMP
#     Set to 1 to enable SMP
#     Unset will take the Parasolid default
# UGII_SMP_ENABLE = 1

[링크: http://h20331.www2.hp.com/Hpsub/downloads/Tech_Tips_NX_PrefV4.pdf]
[링크: http://cs.summit.no/.../System%20requirements%20guidelines%20NX%208%205.pdf]
Posted by 구차니

아무래도 익숙한.. tortoise 가 있으니 일단 사용
설치후 우클릭 하면 컨텍스트 메뉴에 Hg workbench와 TortoiseHg가 추가되는데
TortoiseHg의  Create Repository Here 하면 저장소 겸 워킹 카피가 생성된다.
SVN처럼 저장소와 워킹 카피가 별도로 존재하는 개념이 아닌 하나의 통합된 개념이다. 


Hg command 에서 보이듯,
해당 폴더를 초기화 시켜준다.

생성완료!


생성 이후에는 .hg 라는 폴더와 .hgignore 가 생성된다.
그리고 소스를 현재 위치에 넣어주면 사용은 끝! 


우클릭에서 Hg workbench를 누르면


SVN의 history 와 repository browser를 합쳐 놓은 듯한 워크벤치
중앙의 ### filter text ### 아래의 아이콘을 누르면
현재 리비전에 변경이 생긴 목록과 전체 소스 트리를 번갈아 볼 수 있다.
설명서를 안본것도 문제지만 이렇게 눈에 안들어 오다니 -_-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oracle2014. 6. 17. 16:02
오라클 공식 select 문법 구조
[링크 : http://docs.oracle.com/cd/B19306_01/server.102/b14200/statements_10002.htm]
[링크 : http://docs.oracle.com/cd/B19306_01/server.102/b14200/img/subquery.gif


[ subquery_factoring_clause ]
SELECT
   [ hint ]
   [ { { DISTINCT | UNIQUE }
     | ALL
     }
   ]
   select_list
   FROM { table_reference [, table_reference ]...
               | join_clause
               | ( join_clause ) 
               }
   [ where_clause ]
   [ hierarchical_query_clause ]
   [ group_by_clause ]
   [ HAVING condition ]
   [ model_clause ]
   [ { UNION [ ALL ]
     | INTERSECT
     | MINUS
     }
     (subquery)
   ]
   [ order_by_clause ]
[링크 : http://docs.oracle.com/cd/B19306_01/server.102/b14200/img_text/subquery.htm]  

hierarchical
[ START WITH condition ]
CONNECT BY [ NOCYCLE ] condition
[링크 : http://docs.oracle.com/cd/B19306_01/server.102/b14200/img_text/hierarchical_query_clause.htm]

outer join
[ query_partition_clause ]
{ outer_join_type JOIN
| NATURAL [ outer_join_type ] JOIN
}
table_reference [ query_partition_clause ]
[ ON condition
| USING ( column [, column ]...)
]
[링크 : http://docs.oracle.com/cd/B19306_01/server.102/b14200/img_text/outer_join_clause.htm]


inner join
{ [ INNER ] JOIN table_reference
    { ON condition
    | USING (column [, column ]...)
    }
| { CROSS
  | NATURAL [ INNER ]
  }
  JOIN table_reference
}
[링크 : http://docs.oracle.com/cd/B19306_01/server.102/b14200/img_text/inner_cross_join_clause.htm] 

'프로그램 사용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order by  (0) 2014.06.01
sql outer join  (0) 2014.06.01
sql group by  (0) 2014.05.30
sql distinct  (0) 2014.05.29
oracle 대소문자 구분없이 검색하기  (0) 2014.05.28
Posted by 구차니
apmsetup은 구 버전의 php를 사용하고 있어서
신버전 pydio가 요구하는 php 버전을 만족하지 못해 xampp로 설치한다.

다운로드는 아래
[링크 : http://sourceforge.net/projects/xampp/files/]
[링크 : http://sourceforge.net/projects/ajaxplorer/files/pydio/stable-channel/


테스트 환경
OS : Windows 7 64bit 한글
APP : XAMPP 1.8.3.3 / Pydio 5.2.3


Step 1. 귀찮다 걍 깐다.. 근데 윈도우 디펜더 때문에 경고하는 거 같은데 귀챦으니 걍 Yes


Step 2. 걍 누른다.


Step 3. 기본값은 이렇지만 Pydio는 php만 있으면 되므로


Mysql이라던가 FTP라던가 다 빼버리고 설치


Step 4. 귀찮으니 걍 기본 설정으로 궈궈


Step 5. 난 착한 아이가 아니니 Learn more 는 체크 끄고


Step 6. 걍 누르면 깔리겠지


Step 7. 열심히 깔려주세요


Step 8. 일단 제어판은 실행해주는게 편하니 냅두고 Finish


Step 9. Start 누르면 아파치가 실행된다.


설정파일은 우측의 Explorer을 통해서 conf 폴더 갈수도 있지만
이렇게 간단하게 연결이 되어있어서 편하긴 한데... pydio를 하면서 apache / php 설정을 건드릴 일은 크게 없으니..


Step 10. 일단 기본 경로로 설치했기에
c:\xampp\htdocs가 웹페이지 루트가 되고 이 곳에 pydio를 받아서 압축 해제후
편리하게 pydio 라던가 원하는 폴더명으로 변경해준다.






가장 아래의 Step 18~20을 먼저 하면 좋다.

php.ini
기본 설정
session.gc_maxlifetime=1440
post_max_size=8M
upload_max_filesize=2M 

변경(세션 유지 시간 2시간, 업로드 다운로드 4G 까지 설정)
단 인터넷 속도가 느릴 경우를 고려해서 세션 유지 시간을 더 늘릴필요가 있다. 

session.gc_maxlifetime=7200
post_max_size=4G
upload_max_filesize=4G 



bootstrap_conf.php
추가

define("AJXP_LOCALE", ""); 





Step 12. 걍 http://localhost/pydio 로 접속한다.
그리고 상단에 click here to continue to Pydio를 누르면 설치 시작!


Step 13. 한글지원과는 전혀 상관없는 옵션이니 편한대로 설정


Step 14.  관리자 계정을 설정하고


기본언어는 표시될 메뉴 언어이니 적당히 골라주고


가장 가볍게 사용할거라서 DB없이 사용할 것이기에 No DB로 설정한다.


추가계정은 나중에 해도 되니 일단 패스


설정이 되는 중이니 냅둔다.


Step 15. 위에서 생성한 계정으로 로그인 한다.


Step 16. 로그인 하면 이제 이런식으로 대시보드가 뜨는데 설정으로 궈궈


Step 17. 하드 디스크 상에 경로를 복사해서 붙여 넣어주면 되나
아래와 같이 경로상에 한글이 들어가면 안되는 것으로 보여진다.(옵션을 어떻게 바꾸면 될지도 모르지만..)
그냥 단순하게 사용하려면 c:\sharedDocs 이런식으로 영문으로 폴더를 생성하고 그 경로를 넣어준다.



Step 18. 한글로 된 폴더나 파일이 있을 경우 에러가 발생하게 되는데

pydio의 bootstrap_conf.php의 해당 라인에 define("AJXP_LOCALE", "");을 추가해주면 된다.


Step 19. 업로드 파일 용량 제한
2011/01/03 - [프로그램 사용/ajaxplorer] - ajaxplorer 외부에서 업로드시 용량제한

Step 20. 로그인 세션 유지 시간 제한
2011/07/28 - [프로그램 사용/ajaxplorer] - Ajaxplorer 세션 자동종료 막기 혹은 시간 늘리기





session.gc_maxlifetime=7200
post_max_size=4G
upload_max_filesize=4G 


Posted by 구차니
실험적으로 mercurial을 홀로 써보는 중..
도움이 되는 문서 링크이다.


[링크 : http://hginit.com/00.html] 번역본은 아래에
  [링크 : http://blog.daum.net/leejaku/301] Subversion 사용자를 위한 Mecurial 안내서
  [링크 : http://blog.daum.net/leejaku/302] Mercurial 기초 다지기
  [링크 : http://blog.daum.net/leejaku/303] 팀을 위한 Mercurial 셋팅
  [링크 : http://blog.daum.net/leejaku/306] Mercurial 실수를 되돌리는 법
  [링크 : http://blog.daum.net/leejaku/307] Mercurial의 병합
  [링크 : http://blog.daum.net/leejaku/308] Mercurial의 레포지토리 구조

[링크 : http://helloworld.naver.com/helloworld/1011] git vs hg
[링크 : http://tortoisehg.readthedocs.org/en/latest/

'프로그램 사용 > Version Contr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for windows  (0) 2014.06.27
tortoiseHG / mercurial 사용하기  (0) 2014.06.25
svn to git migration 가이드  (0) 2014.06.02
google code - svn, mercurial  (0) 2014.05.24
mercurial SCM  (0) 2014.05.02
Posted by 구차니
조만간 쓸일이 있을듯 한데..
현재 까지 알거나 해본건

as 키워드(alias) - oracle에서는 as 없이(그런데 버전에 따라서 SQL 99를 지원하면 as를 넣어주는게 좋다)
rownum 내장 변수 - mysql에서는 limits 사용

정도?

[링크 : http://visionboy.me/main/board_view.php?no=407&page=1&tb_id=bd6]

Posted by 구차니
svn에 비해서 로컬에서 할 수 있는 작업이 더 늘기에 쓰기 어렵다는데
clone을 통한 다른 revision에 대한 history가 빠르다거나, 인터넷이 끊어져도 커밋할 수 있다거나 등의
장점이 있어서 한번 써보려고 조사중!

[링크 : https://groups.google.com/forum/#!topic/xper/kt1znmz82JA]
[링크 : http://blog.doortts.com/141]

'프로그램 사용 > Version Contr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rtoiseHG / mercurial 사용하기  (0) 2014.06.25
tortoiseHG , git vs mercurial 관련 문서  (0) 2014.06.08
google code - svn, mercurial  (0) 2014.05.24
mercurial SCM  (0) 2014.05.02
git 간편 설명서  (0) 2014.03.06
Posted by 구차니
가장 많이 쓰는건 ASC / DESC 이지만..
값이 null이 있을 경우
null이 먼저 출력되고 양수 / 0 / 음수로 출력이 되어 의도한 것과 다르게 나왔다.
그래서 nulls last를 해줌으로서
원하는 대로 값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ORDER BY { column-Name | ColumnPosition | Expression }
    [ ASC | DESC ]
    [ NULLS FIRST | NULLS LAST ]
    [ , column-Name | ColumnPosition | Expression 
    [ ASC | DESC ]
    [ NULLS FIRST | NULLS LAST ]
    ] * 

ASC
Specifies that the results should be returned in ascending order. If the order is not specified, ASC is the default.
DESC
Specifies that the results should be returned in descending order.
 
[링크 : http://docs.oracle.com/javadb/10.6.2.1/ref/rrefsqlj13658.html


+ 2014.06.02 추가
order by col1, col2 desc 라고 할 경우
col1은 asc col2는 desc로 정렬된다.
위에 BNF을 보면 컬럼명에 따라서 각각 desc nulls last 를 적용해야 한다. 

'프로그램 사용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select  (0) 2014.06.17
sql outer join  (0) 2014.06.01
sql group by  (0) 2014.05.30
sql distinct  (0) 2014.05.29
oracle 대소문자 구분없이 검색하기  (0) 2014.05.28
Posted by 구차니